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지구칼럼] 허리케인 멜리사 강타 후 AI 딥페이크 영상 '난무'…재난정보 왜곡 심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0월 28일 자메이카를 강타한 역대 최강급 카테고리 5 허리케인 멜리사와 함께, 허리케인 현장보다 더 빠르게 확산한 것은 AI로 생성된 가짜 영상들이었다.

 

호텔 수영장에서 상어가 헤엄치는 장면, 파괴된 공항과 구조 현장 등 실체 없는 장면들이 틱톡, X,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에서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재난 상황의 심각한 왜곡을 불러일으켰다.

 

Reuters, BBC, CNN, Full Fact, WFP, Fast Company, Agence France-Presse에 따르면, 허리케인 멜리사는 북대서양에서 150여 년 만에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 중 하나로, 최고풍속 185마일(295km/h)로 자메이카에 상륙했다. 이로 인해 자메이카에서만 최소 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아이티·쿠바·도미니카공화국 등 인근 국가에서도 수십 명이 사망했다.

 

자메이카의 2만5000명 이상이 긴급 대피소에 머물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77%가 전력 공급이 끊긴 상태다. 특히 세인트 엘리자베스 교구가 피해 '핵심 지역'으로 꼽히며 주택 파괴, 도로 유실, 침수 피해가 심각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등장한 AI 생성 ‘딥페이크’ 허위 콘텐츠는 재난 정보의 신뢰도를 크게 훼손했다. 오픈AI의 Sora 2 등 신기술로 만들어진 영상들은 허리케인의 실제 피해와 무관하게 다수의 가짜 영상을 양산했다. 특히, 상어가 호텔 수영장에서 헤엄친다는 가짜 영상은 200만 조회수를 돌파하는 등 대중을 혼란에 빠뜨렸다.

 

킹스턴 공항 파괴 영상 또한 전혀 사실무근임에도 불구하고 널리 퍼졌다. 팩트체크 기관인 영국 ‘풀팩트’는 AI 탐지 도구를 활용해 99.8% 확률로 많은 이미지와 영상이 인공적으로 생성됐음을 확인했다. 구글의 SynthID 워터마크 기술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퍼진 가짜 병원 파괴 사진을 식별해냈다.​

 

이러한 허위 영상은 공공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지적이다. 오클라호마 대학교 기상학자 에이미 맥거번 교수는 "이처럼 파괴적인 재난 상황에서 정부의 대비 메시지가 가짜 콘텐츠로 희석되면, 국민들의 경각심과 대응 행동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위기 상황에서도 가짜 영상이 진짜 뉴스와 혼재하며 주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자메이카 교육부 장관 다나 모리스 딕슨도 "수많은 왓츠앱 그룹에서 가짜 영상이 유포되고 있다"며 "공식 채널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것"을 촉구했다.​

 

사회적 미디어 플랫폼들은 가짜 영상 확산을 막기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틱톡은 AI로 생성된 허리케인 영상 20여 개를 삭제했으며, 더 많은 계정과 동영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넓게 퍼진 허위 정보는 완전한 차단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재난과 겹친 AI 허위 정보 확산은 향후 자연재해 대응 체계에 새로운 위험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가 만들어내는 초고해상도 가짜 영상과 실시간 뉴스 영상의 구분이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정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능력이 사회 전반에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동시에 정책적으로 SNS 플랫폼의 책임 강화와 AI 콘텐츠 명확 표시, 팩트체크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사이버트럭, 출시 2년 미만에 10번째 리콜…6000여대 부품 결함 무상수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2023년 11월 말 첫 출고된 사이버트럭에 대해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10번째 리콜을 단행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더버지, CNET, 일렉트렉, 매셔블, 아레나EV,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이번 리콜은 2024년식 사이버트럭 6197대를 대상으로 하며,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차량에 선택 사양으로 장착된 오프로드 라이트 바 액세서리에 결함이 발견되어 진행된다. 이 부속품은 불량 프라이머로 부착되어 운행 중 떨어질 위험이 있어, 사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테슬라는 이 부품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사이버트럭은 과거에도 지나치게 밝은 주차등, 강철 트림 부품 이탈, 인버터 결함, 경고등 글자 크기 문제 등 다양한 문제로 여러 차례 리콜을 겪었다. 올해 3월에는 전체 생산 차량 약 4만6000대에 달하는 대규모 리콜도 있었다. 당시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외부 트림 패널 접착 불량으로 인한 부품 이탈 문제였다. 2024년을 포함해 테슬라는 총 10회 리콜을 사이버트럭에 대해 실시하며, 제조 초기 단계부터 품질 문제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판매 측면

[내궁내정] ‘K-AI 어벤져스’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도원결의'…삼성동·깐부치킨·드레스코드·바나나우유·270조원·3각공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0월 30일 저녁, 서울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에서 벌어진 ‘러브샷 치맥 회동’은 단순한 만남을 넘어 글로벌 산업 지형에 새로운 이정표를 그렸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현대차그룹 회장 정의선이 ‘러브샷’으로 우정과 협력의 신호탄을 쏘았고, 치킨과 맥주 사이에서 AI 반도체·자율주행·미래차 등 첨단 기술 협력을 폭넓게 논의했다.​ 이모저모 ① ‘깐부치킨’ 선택의 의미와 현장 분위기 만남의 장소는 엔비디아 측의 희망에 따라 ‘깐부치킨’으로 선정됐으며, 이는 2021년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히트 이후 ‘깐부’라는 한국어의 글로벌 인지도를 반영한다. 황 CEO는 “치킨과 맥주를 친구들과 즐기는 게 최고의 자리”라고 밝혔으며, 회동의 친근함을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는 수백 명의 시민과 취재진이 몰려, 저녁 7시경 경찰이 통행을 통제하고 폴리스라인을 설치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이모저모 ② 패션과 팬서비스, 빅테크 거장들의 '드레스 코드' 황 CEO는 검정 가죽 재킷을 입고 10분 일찍 도착해 시민들과 셀카를 찍는 등 거리감 없는 ‘현장형 CEO’의 면모를 보였다. 정의선 회장은 하얀 티셔츠 차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