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흐림강릉 11.0℃
  • 흐림서울 8.1℃
  • 흐림대전 8.8℃
  • 박무대구 9.5℃
  • 연무울산 11.6℃
  • 구름많음광주 10.1℃
  • 연무부산 13.6℃
  • 흐림고창 8.1℃
  • 구름많음제주 13.2℃
  • 구름많음강화 7.3℃
  • 흐림보은 7.1℃
  • 흐림금산 8.4℃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9.2℃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빅테크

[The Numbers] 트럼프 일가, 가상자산 3개월 새 1조원 손실 '휘청'…비트코인 폭락에 트럼프 미디어·WLFI 토큰 동반급락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상자산 사업에 적극 투자해온 트럼프 일가의 순자산이 최근 3개월간 약 10억 달러(약 1조4715억원) 이상의 대규모 증발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한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를 비롯한 여러 해외 매체들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9월 77억 달러 수준이었던 트럼프 일가 순자산이 67억 달러까지 줄어든 주된 원인은 급격한 코인 가격 변동성과 가상자산 관련 기업 주가 폭락 등 투자 손실에 기인했다.​

 

트럼프 일가 자산 손실의 중심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의 모기업인 트럼프 미디어&테크놀로지그룹(Trump Media & Technology Group)의 지분가치가 급전직하한 점이 있다.

 

이 회사는 2025년 9월 말까지 약 1만1,542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며 약 20억 달러 상당의 가상자산에 투자했으나, 비트코인 가격 하락과 함께 적극 매입한 싱가포르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Crypto.com) 발행 CRO 토큰도 대규모 평가절하를 겪어 주가가 올해 들어 69% 이상 떨어졌다. 이로 인해 트럼프 일가가 신탁을 통해 보유한 트럼프 미디어 지분 가치는 9월 이후 약 8억 달러 증발했다.​

 

차남 에릭 트럼프가 참여한 비트코인 채굴업체 '아메리칸 비트코인'(American Bitcoin Corp) 주가 역시 고점 대비 절반 이상 급락하면서 에릭의 7.5% 지분 평가액이 9월 약 6억3000만 달러에서 최근 3억3000만 달러 이상 줄었다.

 

또한, 트럼프 일가가 설립한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의 WLFI 토큰은 출시 초기 대비 50% 이상 가치가 추락해 장부상 평가금액도 60억 달러에서 31억5000만 달러로 대폭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WLFI 토큰 상당 부분이 거래가 불가능해 실제 손실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 시세 역시 큰 폭 변동을 보였다. 2025년 10월 6일 사상 최고치인 12만6185달러에 달했던 비트코인은 11월 21일 8만1000달러 선까지 급락했다가 24일 8만6000달러 선으로 일부 회복했다. 그러나 이는 최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한 수준이며,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미국 연준 정책과 달러 강세가 가상자산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부 낙관론자들은 비트코인 시세 바닥 확인 후 2026년에 비트코인 가격이 최대 16만 달러 내외까지 상승 가능하다고 전망한다. 비트코인 ETF 자금 흐름과 제도적 지원이 중요한 호재가 될 전망이나,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에 따라 추가 매도 압력 가능성도 지속 제기된다.​

 

트럼프 일가는 큰 손실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에 대한 강한 지지를 표명하며 추가 매수를 권장하는 입장이다. 에릭 트럼프는 최근 “지금이야말로 매수 기회”라며 변동성을 감수하는 투자자가 결국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등 가상자산 옹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