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흐림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4℃
  • 맑음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중국, 우주 파편 피해로 고립된 우주비행사 구조 위한 긴급 무인선저우-22 임무 발사 성공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은 2025년 11월 25일, 텐궁 우주정거장에 고립된 3명의 우주비행사를 구조하기 위해 긴급 무인 우주선 선저우-22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space.com, euronews.com, nbcnews, china.org에 따르면, 이번 발사는 선저우 우주선 역사상 중국 최초의 긴급 우주 임무로, 손상된 선저우-20호 우주선에 대항해 16일 만에 신속하게 준비됐다. 창정-2F Y22 로켓에 탑재된 선저우-22호는 베이징 시간 12시 11분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되어 약 10분 만에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중국유인우주공정판공실(CMSA)은 이 발사가 완전한 성공이었다고 공식 밝혔다.​

 

이번 긴급 발사는 11월 초, 선저우-20호 귀환 캡슐의 관측창에 우주 파편 충돌로 인한 미세 균열이 발견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선저우-20호에 탑승한 우주비행사들의 204일 임무 후 예정되었던 11월 5일 귀환 계획이 9일 지연됐으며, 이들은 대신 11월 14일에 도착한 선저우-21호를 타고 지구로 귀환했다. 이 결정으로 선저우-21호 승무원 3명(장루, 우페이, 장홍장)은 임시로 비상 탈출 수단 없이 우주정거장에 체류하게 되어 긴급 대응이 요구됐다.​

 

선저우-22호는 약 600kg의 식량, 의료 물품, 신선 과일과 채소, 그리고 손상된 선저우-20호 우주선의 균열을 수리할 수 있는 전문 장치를 탑재했다. 중국은 이미 발사 대기 중인 로켓과 우주선을 준비해두는 ‘필요 시 발사’(launch on need)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번 긴급 발사 완료까지 불과 16일이 걸린 점은 전문가들로부터 극찬받고 있다. 미국 RAND 연구소의 얀 오스버그 분석가는 이번 신속 대응 체계를 '상당히 훌륭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임무 계획에 따르면, 선저우-22호는 자동 고속 도킹 방식으로 텐궁 우주정거장에 도착해 선저우-21호 승무원들의 귀환용 우주선 역할을 할 예정이다. 손상된 선저우-20호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에 남아 연구용으로 사용되며, 이후 지구로 귀환해 자세한 평가가 진행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국제사회가 우주 쓰레기 문제와 인명 안전 문제에 더욱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이번 사고는 저궤도에서 시속 약 2만9000km로 이동하는 우주 파편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중국 역시 2007년 우주 군사 실험으로 다량의 우주 쓰레기를 생성한 바 있어 우주 안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긴급 임무 수행은 세계 주요 우주 강국 사이에서 중국이 독자적인 우주비행사 안전 확보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이처럼 선저우-22호 긴급 임무는 중국 우주개발 역사에서 최초의 비상 대응 성공 사례로 기록으며, 앞으로 인류 우주 탐사에서 필수적인 '긴급 구조 및 대체 귀환 수단'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