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흐림고창 3.4℃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K-방산 글로벌 강자로' 한국, 무기수출 2.2%→6.5% '퀀텀점프'…투자 유망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쎄트렉아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이 세계 방산시장에서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자료에 따르면, 2020~2024년 기준 한국의 세계 무기 수출 점유율은 2.2%로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

 

특히 나토(NATO) 회원국 대상 무기 수출 점유율은 프랑스와 함께 6.5%로 공동 2위를 기록하며 미국(64%)의 뒤를 이었다. 이는 글로벌 안보 불안과 군비 경쟁 장기화가 맞물리면서, 2023년 세계 국방비 지출액이 사상 최대인 2조4,430억달러(3,375조원)를 기록한 상황과 궤를 같이 한다.​

 

무기도입비·수출 모두 확대…한국 ‘주요 공급국’ 자리매김

 

한국의 방산 수출액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173억달러(약 24조7,900억원), 2023년 135억달러(약 19조3,400억원)로 2년 연속 100억달러를 돌파했다. 2024년에는 95억달러 수준으로 다소 하락했으나, 폴란드·노르웨이·이집트 등 대형 수출 계약이 이뤄지며 구조적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실제 폴란드와의 계약으로 한국은 K2전차 180대, K9 자주포 672문, FA-50 경공격기 48대, K239 다연장 로켓 천무 288문 등 총 220억달러(약 30조6,000억원) 규모의 무기 공급을 확정했다.​

 

K-2·K-9·FA-50·천궁-II 등 글로벌 베스트셀링 무기체계 출격


한국 방산 경쟁력의 핵심은 K2 전차, K9 자주포, FA-50 전투기, 천궁-II 지대공 미사일 등 세계적 품질의 육·해·공 무기체계에 있다. SIPRI와 다수 매체 분석에 따르면 K2·K9 등 탱크와 야포는 대수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인도된 제품이며, FA-50과 천궁-II는 중동과 동남아시아를 넘어 유럽에서도 인기가 높다. 실제 2022년 폴란드에 K9 자주포 60문 이상, 현대로템이 K2 전차 56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천궁-II 미사일과 다연장로켓 ‘천무’를 수출하는 등 연쇄 공급 계약이 성사됐다.​

 

글로벌 방산시장 판도가 바뀐다

 

세계 각국의 무기도입비는 급증하고 있다. 독일은 2024년 방산 수입액을 전년보다 40% 늘렸고, 폴란드는 GDP의 4% 수준까지 무기 구매액을 높였다. 미국은 2024년 무기 수출액이 3,187억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세계 방산수출(2022년 기준) 상위국은 미국 1위, 프랑스 2위, 한국 공동 2위(나토 대상), 세계시장 점유율은 한국 2.2% 내외로 집계된다. 한국은 2030년까지 점유율 6% 돌파와 세계 4위 방산 수출국 진입을 목표로 세우고 있다.​

 

방산 유망 투자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쎄트렉아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6년 영업이익 3조5,019억원(OPM 4.7%), 순이익 1조2,96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시장 확대와 수출 실적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쎄트렉아이는 올해 연간 매출 2,000억을 넘길 것으로 보이며, 위성 영상 사업에서 초고해상도 시장 진입과 군집위성 신규 발사 프로젝트를 앞두고 있다. 증권업계는 2026~27년 추가 매출 본격화와 신사업 호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시사점


한국은 'K-방산'의 글로벌 부상을 앞세워, 안보 불안 시대 무기 도입·수출 모두에서 주력 공급국으로 급부상했다. 국산 무기체계의 경쟁력과 무기 수출 확대, 그리고 방산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쎄트렉아이 등)의 성장세는 국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품·기술 의존도, 금융 조건, 대형 프로젝트 지속 여부 등은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