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한민국 대통령실 참모진의 부동산 보유 상황이 최근 공개된 가운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소유가 집중적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대통령실 현직 참모진 31명의 36%가 강남 3구에 부동산을 보유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대통령실 참모진 31명 중 11명(35.5%)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서울 강남·서초·송파구에 고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평균 재산은 22억원을 넘으며, 60억원 상위 보유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김상호 비서관은 서울 광진구 아파트와 40억원대 대치동 다세대주택 여러 채를 부부 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발표된 주요 단지별 공직자 소유 현황을 보면, 이들이 보유한 아파트의 TOP10이 모두 강남3구에 소재하고 있었다.
1위는 압구정현대 아파트로 29명이 소유, 2위는 대치동 은마 아파트, 3위는 서초동 삼풍아파트로 조사됐다.
공동 4위는 잠실 엘스, 대치동 미도아파트, 공동 6위는 압구정 한양아파트와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아파트가 차지했다.
공동 8위는 가락동 헬리오시티,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로 나타났다.
비서울 아파트 중 공직자가 많이 보유한 아파트 순위는 1위는 세종시 한솔동 첫마을아파트, 2위는 과천 별양동 주공아파트, 3위는 대전 유성구 엑스포아파트, 공동 4위는 세종시 해밀동 해밀마을2단지, 과천 래미안슈르로 파악됐다.
공직자 평균 재산 중 약 61%는 부동산이며, 한국 부동산 집중 현상은 글로벌 공급/가격 통계 대비 유독 강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도 고위공직자들의 다주택 처분 권고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실효성은 낮았다.
정부는 집값 급등과 거래량 증가에 따른 시장 불안이 심화되자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규제책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통령실 참모진의 부동산 집중 보유는 정책 신뢰도 저하, 시장 불신, 실거래가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통령실 참모진의 부동산 집중 현상은 대한민국 고위공직 사회의 내로남불형 단면을 드러낸다"면서 "부동산 및 자산 불평등, 정책 정당성 논란, 그리고 세대 간 주거 기회의 위축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한국 부동산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