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트럼프 정부 고위직, 4명 중 1명 ‘코인’ 들고 있다 "암호화폐 총보유액 2700억원"…트럼프 709억원, 켄 하워리 대사 1670억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기준 최소 5100만 달러(약 709억원) 상당의 가상화폐 자산을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최근 워싱턴포스트(WP)와 기타 복수의 미국 언론이 공개한 재산 신고 자료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상원 인준을 받은 약 300명) 중 약 70명 이상이 암호화폐 또는 블록체인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4명 중 1명꼴로 코인을 들고있다는 의미다.

 

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인물은 켄 하워리 주덴마크 미 대사(페이팔 공동창업자 출신)로, 최소 1억2200만 달러(약 1670억원)에 달하는 암호화폐 자산을 신고했다.

 

3위부터는 단위가 크게 줄어, J.D. 밴스 부통령은 25만~50만 달러 안팎의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다고 미 CBS, 기타 재산공개자료에서 확인된다. 바이든 행정부의 관료 중에는 최종적으로 가상자산 보유를 공식 신고한 인사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정권별 현격한 차이도 드러난다.

 

트럼프 정부, 공직자 직접 보유 암호화폐만 최소 2684억원…가상자산 투자 전례 없는 확산

 

재무정보 공개 범위 기준으로만 집계해도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의 전체 암호화폐 보유액수는 1억9300만 달러(약 2684억원) 이상에 달한다. 실제로는 ‘신고 범위’ 내 최저값 기준이라, 실질 금액은 이보다 월등히 클 가능성이 크다.

 

다수 인물이 수십억원대부터 100억원을 넘는 시세차익을 봤다는 관측도 잇따른다. 디지털 자산 신고 인원은 전체의 23%에 달해 역대 미국 연방정부 중 압도적 1위다.

 

특히 테크/블록체인 산업 출신 인사가 대거 입성하며 표면적으로는 “사적 역량이 월등한 인재 유치”란 해명도 나왔지만, 워싱턴 내에서는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이해충돌 논란과 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의회, ‘지니어스 법안’ 등 가상화폐 3대법 가결…스테이블코인 규제 공식화


2025년 7월 17일, 미 하원은 결전 끝에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 등 ▲스테이블코인 규제 ▲가상자산 시장 명확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저지 등 3대 암호화폐 관련 핵심 입법을 표결에 부쳐 찬성 308표 대 반대 122표로 통과시켰다.

 

이번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연방/주 공동 감독구조와 발행사 재무건전성, 발행·보유 투명성 강화 등을 담고 있어 미국은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제도권 관리체제로의 본격 진입을 알렸다.

 

해당 법안은 상원에서 이미 통과된 상태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하면 정식 발효된다. 이에 따라, 미 정부의 가상화폐 정책 기조도 ‘금융권 감독→적극 수용’ 중심으로 급격히 변모할 전망이다. 대선공약에서부터 코인 산업 띄우기를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하원 표결에서도 ‘크립토 위크(Crypto Week)’를 선언하며 입법 촉구연설을 직접 했다.

 

WP “코인 보유 고위직, 합법적 투자처 인정의 상징적 이정표”

 

WP와 관계 언론들은 “바이든 정부 내 아무도 투자 안 했던 가상자산을, 트럼프 정부의 고위직 집단 다수가 직접 보유하면서 산업 합법화에 결정적 신호를 던졌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최근 연방 공식 발표와 법안 통과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내 가상화폐 상장사 및 연계주 주가가 일제히 급등하는 ‘코인 랠리’ 현상도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3월 공식적으로 ‘전략비트코인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과 ‘미국 디지털자산 비축고’를 신설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몰수 등으로 확보한 비트코인·이더리움·솔라나 등 주요 가상자산을 매각하는 대신, 국가 자산으로 장기간 직접 보유하는 첫 조치로 글로벌 시황에 신호를 줬다.

 

정권별 명확해진 ‘암호화폐 간극’…美 가상자산, 백악관서 공식 시대 연다


결론적으로 이번 트럼프 정부 2기에서 고위 관료 4명 중 1명이 크립토 자산을 갖고 있다는 공식 통계는 미 연방정부, 나아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 큰 메시지를 던진다. 각종 이해 충돌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실제로는 블록체인·암호화폐 시장이 빠른 제도권 편입과 성장 신호를 동시에 받고 있는 셈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빌 게이츠 “삼성 폴드폰 애용…이재용 회장이 선물해줘” IT 거물의 ‘갤럭시 사랑’ 공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가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더블 스마트폰을 사용 중임을 공개하며, 해당 제품을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으로부터 선물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발언은 8월 27일 방송되는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록’ 예고편을 통해 알려졌으며, 빌 게이츠는 “삼성 갤럭시 폴드폰을 자주 쓴다”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선물해주셨다”고 말했다. 게이츠가 공개한 모델은 2022년 공개한 갤럭시 Z 폴드 3와 2023년 업그레이드한 갤럭시 Z 폴드 4로 알려졌다. 그는 2022년 온라인 AMA(Ask Me Anything)에서 폴드 3를 사용한다고 밝혔고, 이후 2023년 SNS를 통해 폴드 4를 사용 중임을 알렸다. 빌 게이츠는 폴더블 폰 사용을 언급하며 “초창기 마이크로소프트 시절 들고 다녔던 거대한 ‘벽돌’폰과 비교하면 기술 발전이 놀랍다”고 소감을 전했다. 빌 게이츠는 MS 설립 초기에 애플과의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법정 소송 등 경쟁 구도 속에서도 안드로이드 생태계와 삼성 기기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안드로이드 OS는 전 세계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 72%를 점유하고 있으며

[빅테크칼럼] 전신마비 남성, 뉴럴링크 뇌 칩으로 ‘인생 재설계’…대학생·사업가로 변신한 미래의 사이보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18개월 전 수영 사고로 어깨 아래가 완전히 마비됐던 애리조나에 거주하는 29세의 놀랜드 아르보(Noland Arbaugh) 씨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Neuralink)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뇌 칩 이식 수술로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4년 1월 아르바우는 뉴럴링크의 임플란트를 처음으로 인간에게 이식받은 사례가 됐으며, 현재는 컴퓨터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제어하고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대학생이자 사업가로 거듭났다. 뉴럴링크의 공식발표와 포춘(Fortune)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기기는 그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아르보는 이제 하루 최대 10시간 동안 임플란트를 사용해 컴퓨터를 제어하고, 마리오 카트(Mario Kart)를 비롯한 비디오 게임을 하며, 텔레비전이나 공기청정기 같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뉴럴링크 임플란트는 그의 운동 피질에 1000개 이상의 전극을 연결하여 뇌 신호를 분석,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아르바우는 현재 하루 최대 10시간 이 장치를 활용하며, 아리조나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신경과학 전공을 위한 예비 과목을 수강 중이다. 그는 “내 삶에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