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美 35개 상장사 1000개 이상 비트코인 보유…‘비트코인 빅볼더’로 진격 '초대형 변곡점' 될까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비트코인 시장이 기업 주도로 역대급 변곡점을 맞고 있다.

 

피델리티 디지털 자산 연구총괄 크리스 쿠이퍼에 따르면, 2025년 7월 현재 35개 상장기업이 각각 1000개 이상의 비트코인 보유에 성공, ‘기업 비트코인 빅볼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지난 1분기 24개 기업에서 단 2분기만에 35개로 급증, 두 자릿수의 성장률(46%)을 기록했다.

 

이들 상장사의 비트코인 총 보유량은 90만 BTC 이상이고, 이는 시가 1160억달러를 넘어선다. 이는 비트코인 전체 발행량(2100만개)의 약 4.3%에 해당하는 규모다. 참고로 비트코인 시세는 최근 1BTC=12만9000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확산의 촉매: 트럼프 행정명령 및 정책 변화


이번 기업 도입 가속에는 정책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2025년 3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 비트코인 준비금 창설’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규제 불확실성 해소와 기업 회계기준 완화가 동시에 이뤄졌다. 미 회계기준원(FASB)의 공정가치 평가 적용도 주요 인센티브가 됐다.

 

‘비트코인 대중화’ 가속페달…업종·국가 막론한 상장사 매수 러시, 독식시대 종언

 

비트코인 시장에서 상장기업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고 Cointelegraph, CryptoSlate, TheCoinRepublic, Bitdegree 등의 전문매체들이 보도했다.

 

과거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등 극소수 빅테크 중심의 비트코인 대량매수가 시장을 이끌었다면, 2025년 들어선 그 경향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업종과 지역을 가리지 않고, 중견·신생기업은 물론 성장 정체를 겪는 기업까지 대거 비트코인 매수 대열에 합류하며 ‘분산화 트렌드’가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특히, 2025년 1분기 상장사들의 비트코인 매수량은 9만9857 BTC였으나, 2분기에는 13만4456 BTC로 무려 35% 급증했다. 각 기업의 매수세가 분산되며, 비트코인 보유 상장기업 수 역시 1분기 124곳에서 3분기 278곳으로 두 배 넘게 늘어나는 등, 시장의 판도가 급변하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94개 상장사가 비트코인 보유 행렬을 이끌고 있고, 캐나다(40개), 영국(19개) 등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은 물론, 싱가포르·호주 등 아시아태평양(APAC) 신흥국에서도 잇따라 대형 상장사들의 진입이 이어지고 있다.

 

비트코인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기업들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icroStrategy Inc.)는 현재 22만6331 BTC 보유로, 단일 기업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테크 부문 최강자에서 이제는 비트코인 기업으로 재탄생하며, 업계 트렌드 전환점 역할을 하고 있다.

 

볼콘(Volcon Inc.)은 공격적 행보로 주목받는다. 최근 3183 BTC(약 3억7500만 달러)를 평균 11만7697달러에 매입했으며, 자기주식 매입(1억 달러) 및 비트코인 옵션 전략 운용 등 자금운용 ‘투트랙’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장기적 재무안정성 확보수단으로 규정한 것이 특징이다.

 

데이비스 커머디티(Davis Commodities Ltd.)는 혁신적 재무구조 실험에 나섰다. 농산물 무역기업 최초로 ‘Fractal Bitcoin Reserve’ 모델(비트코인·스테이블코인·토큰화 상품 결합)을 조달금 운용에 도입, 신규 조달금 3000만 달러 중 15%에 해당하는 450만 달러를 비트코인에 직접 투입하며, 비트코인을 적극적 준비자산으로 끌어올렸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군과 국적의 상장기업들이 비트코인 대열에 속속 합류하는 배경으로는, ▲달러 기반 자산의 한계 돌파, ▲준비자산 다각화, ▲인플레이션 방어, ▲변동성 헤지 등의 재무적 동기가 크게 작용한다는 분석이 중론이다.


블록웨어 인텔리전스는 “비트코인 매수는 이제 소수의 전유물에서 탈피, 다양한 업계와 성장세에 있는 기업들이 미래 전략자산으로 선택하는 글로벌 무브먼트”라고 평가했다.

 

시사점과 전망


비트코인 기업 도입은 단순 투자 차원이 아니라, 기업 자금운용·재무안정성 강화·준비자산 다각화 등 전략적 의미를 확대 중이다. 블록웨어 인텔리전스 자료에 따르면 부진한 핵심사업을 가진 기업이 비트코인을 통한 신규 성장동력 확보에 적극적이다.

 

코인베이스 설문에선 기관투자자 83%가 2025년 암호화폐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블록웨어는 하반기에도 최소 36개 상장사가 새로 비트코인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전망했다.

 

블록웨어는 2025년 3분기 전망 리포트에서 “비트코인 매수는 더 이상 소수의 전유물이 아니다. 앞으로 6개월 내 적어도 36곳이 추가 진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최근 비트코인 가격 조정 가능성도 제기되어, 기관 보유 확산이 시장 변동성을 완충하는 역할도 할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

[이슈&논란] 월가 스타 분석가 댄 아이브스, 올트먼의 ‘월드코인’에 베팅…에잇코 홀딩스 주가 하루 새 30배 이상 폭등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월가의 대표 기술주 분석가 댄 아이브스가 오픈AI 샘 올트먼 CEO가 추진하는 바이오메트릭 기반 가상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Worldcoin)’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아이브스는 나스닥 상장 소규모 기업 에잇코 홀딩스(Eightco Holdings)의 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했고, 이 기업은 2억5000만 달러 규모의 사모 유상증자를 통해 월드코인을 주요 재무자산으로 매입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소식이 알려진 직후 월드코인 가격은 40~50% 급등했고, 에잇코 홀딩스 주가는 전일 종가 1.45달러에서 하루 사이 60달러 안팎으로 약 30배 폭등(최고 5700% 이상)하며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댄 아이브스는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에 대한 권위 있는 분석가로, 이번 월드코인 베팅을 통해 AI 기반 신원 인증의 미래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이는 단순한 토큰 투자 전략을 넘어 AI 혁명에서 인간 인증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AI 대규모 언어 모델 구축에도 불구하고 진짜 인간을 식별하는 인증 체계 없이는 AI 성장이 제약될 수

[빅테크칼럼] 구글, 법정에서 '오픈웹 빠르게 쇠퇴' 인정…데이터로 본 점유율·트래픽·규제 압박 '빨간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구글은 최고 경영진이 수개월간 내놓았던 공개 입장과 모순되는 놀라운 시인을 했다. 9월 5일(현지시간) 늦게 제출된 법원 서류에서, 구글은 "오픈 웹이 이미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이는 지난 수개월간 임원진이 줄곧 외쳐온 '웹 생태계 번창' 담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영상적 전환점이 도래했다는 분석이다. seroundtable, press Gazette, Webpronews에 따르면, 구글의 법적 대응 문서 5페이지에는 "사실 오늘날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으며, 원고 측의 매각 제안은 그 쇠퇴를 가속화해 현재 오픈 웹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퍼블리셔들에게 해가 될 것입니다"고 명시됐다. 법정 진술과 임원진 발언의 모순 구글은 미국 법무부의 광고기술 매각 요구에 반박하며,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고 매각 강제 조치는 웹 악화만 가속화할 것"이라고 서류에 명시했다. 반면, 2025년 5월 순다르 피차이 CEO는 "구글이 지난 2년간 웹페이지 크롤링량이 45% 증가했다"고 밝히며 "웹은 사라지지 않고 확장 중"이라 했다. 구글 검색 담당 부사장 닉 폭스 역시 "웹은 번성 중"이라고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