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월가 베어드 "테슬라, 로보틱스·로보택시로 미래 주도" 등급상향…'피지컬 AI' 전환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월가의 권위 있는 증권사들이 일제히 테슬라(Tesla)의 AI 기조 전환과 미래 잠재력에 주목하며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하고 있다.

 

베어드(Baird)는 테슬라가 제조업을 넘어 AI와 로보틱스 혁신 기업으로 전환하는 '피지컬 AI'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지난 19일(현지시간) 테슬라에 대한 등급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높이고 목표주가도 320달러에서 548달러로 무려 71% 인상했다.

 

Teslarati, Yahoo Finance, Investing.com, Barron's, MarketBeat에 따르면, 베어드의 벤 칼로(Ben Kallo) 애널리스트는 "최근 테슬라 주가가 8거래일 중 7일 오르며 약 20% 상승했고, 같은 기간 시가총액도 2300억달러가 늘어났다"면서,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관심은 '미래 성장 동력'인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에너지 저장 사업 등 혁신적 프로젝트로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베어드는 테슬라가 2035년까지 연 2000만대 차량 판매, 1000만대의 로보택시와 옵티머스 로봇 배치, 1000만건의 완전 자율주행(FSD) 구독 달성 등 야심찬 로드맵을 실현할 경우 기업가치가 최소 5.5조달러, 최대 12조달러(주당 3000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 주가는 베어드 보고서 발표 직후 2.21% 급등해 426.07달러(시총 1조4170억달러)로 마감했으며, 최근 한 달간 29%, 올 들어 5% 상승세를 기록하는 등 AI 혁신 모멘텀에 힘입어 월가 평균 목표가(334달러, 팩트셋 기준)도 상회 중이다. 투자전문지 배런스(Barron's)도 S&P500 기업 중 목표가보다 높은 수준에 거래되는 종목은 10% 내외에 불과하다고 평했다.

 

이 같은 AI 기대는 일론 머스크 CEO의 10억달러(약 2570만주) 자사주 대규모 매입과 맞물려 주가에 확실한 긍정 신호를 불어넣었다. 머스크의 이번 주식 매입은 2020년 초 이후 처음으로, 일론 머스크는 최근 이사회가 제안한 '성과 연동 1조달러 보상안' 수혜를 위해 회사 장악력을 더욱 강화하는 행보로 풀이된다. 머스크는 "회사의 AI·로보틱스 미래를 주도하기 위해 25%의 의결권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최근 테슬라의 자동차 사업은 글로벌 판매가 부진해 2025년 2분기 38만4122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으나, AI와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사업이 투자자 관심을 이끌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 인도량이 45만5000대로 집계 컨센서스(44만5000대)를 웃돌 것으로 전망하며,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9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현재 테슬라를 담당하는 미국 내 애널리스트 중 약 45%만이 '매수' 의견을 내고 있다. 이는 S&P500 평균의 55%보다 낮지만, 테슬라가 EV(전기차)·로보틱스·AI 등 미래 혁신에 걸고 있는 베팅이 월가의 평가 프레임을 재정립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최근 1년간 테슬라 주가는 S&P500을 70%p 이상 상회하는 +74%의 상승률을 기록해 미래 성장주로서의 브랜드를 강화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사이버트럭, 출시 2년 미만에 10번째 리콜…6000여대 부품 결함 무상수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2023년 11월 말 첫 출고된 사이버트럭에 대해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10번째 리콜을 단행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더버지, CNET, 일렉트렉, 매셔블, 아레나EV,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이번 리콜은 2024년식 사이버트럭 6197대를 대상으로 하며,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차량에 선택 사양으로 장착된 오프로드 라이트 바 액세서리에 결함이 발견되어 진행된다. 이 부속품은 불량 프라이머로 부착되어 운행 중 떨어질 위험이 있어, 사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테슬라는 이 부품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사이버트럭은 과거에도 지나치게 밝은 주차등, 강철 트림 부품 이탈, 인버터 결함, 경고등 글자 크기 문제 등 다양한 문제로 여러 차례 리콜을 겪었다. 올해 3월에는 전체 생산 차량 약 4만6000대에 달하는 대규모 리콜도 있었다. 당시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외부 트림 패널 접착 불량으로 인한 부품 이탈 문제였다. 2024년을 포함해 테슬라는 총 10회 리콜을 사이버트럭에 대해 실시하며, 제조 초기 단계부터 품질 문제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판매 측면

[내궁내정] ‘K-AI 어벤져스’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도원결의'…삼성동·깐부치킨·드레스코드·바나나우유·270조원·3각공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0월 30일 저녁, 서울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에서 벌어진 ‘러브샷 치맥 회동’은 단순한 만남을 넘어 글로벌 산업 지형에 새로운 이정표를 그렸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현대차그룹 회장 정의선이 ‘러브샷’으로 우정과 협력의 신호탄을 쏘았고, 치킨과 맥주 사이에서 AI 반도체·자율주행·미래차 등 첨단 기술 협력을 폭넓게 논의했다.​ 이모저모 ① ‘깐부치킨’ 선택의 의미와 현장 분위기 만남의 장소는 엔비디아 측의 희망에 따라 ‘깐부치킨’으로 선정됐으며, 이는 2021년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히트 이후 ‘깐부’라는 한국어의 글로벌 인지도를 반영한다. 황 CEO는 “치킨과 맥주를 친구들과 즐기는 게 최고의 자리”라고 밝혔으며, 회동의 친근함을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는 수백 명의 시민과 취재진이 몰려, 저녁 7시경 경찰이 통행을 통제하고 폴리스라인을 설치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이모저모 ② 패션과 팬서비스, 빅테크 거장들의 '드레스 코드' 황 CEO는 검정 가죽 재킷을 입고 10분 일찍 도착해 시민들과 셀카를 찍는 등 거리감 없는 ‘현장형 CEO’의 면모를 보였다. 정의선 회장은 하얀 티셔츠 차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