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기 위한 포괄적 주식교환 협력을 추진하면서, 국내 금융과 가상자산 업계에 전례 없는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9월 25일 복수의 국내외 매체보도와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은 두나무 측과 각각 전담 태스크포스를 운영하며 주식 교환비율 산정을 포함한 인수 협상 막바지 작업에 돌입했다. 실제 거래 성사시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편입돼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로 수직계열화 체제가 완성된다.
두나무 주요 주주로는 송치형 회장(25.5%), 김형년 부회장(13.1%), 카카오인베스트먼트(10.6%), 우리기술투자(7.2%), 한화투자증권(5.9%) 등이 있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는 네이버(지분 약 75%)이며, 미래에셋금융그룹이 나머지를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네이버파이낸셜을 능가한다는 점에 주목하며, 상당한 신주 발행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한다. 다만 네이버가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환비율 산정이 조정될 전망이다.
25일 네이버 주가는 전일 대비 10% 이상 급등, 장중 25만7000원까지 치솟으며 시가총액 40조원을 돌파했다. 시장은 연간 80조원 결제 인프라를 지닌 네이버페이와 글로벌 4위- 국내 1위 거래소 업비트의 결합 시너지, 즉 간편결제부터 디지털자산·쇼핑·외연 확대까지 아우르는 슈퍼앱 플랫폼 탄생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네이버의 밸류에이션 역시 재평가될 수 있다는 증권가 진단이 이어진다.
특히, 이번 협력의 핵심 동력으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이 부각된다. 미래에셋증권 등은 네이버-업비트가 발행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현실화할 경우, 2030년 연간 3000억원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고 분석한다.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리저브(예치금) 운용 수익, 대출 및 수수료 절감, 글로벌 확장 등 다양한 수익원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두나무 역시 최근 업비트 개발자회의에서 자체 블록체인 ‘기와체인(GIWA Chain)’과 월렛을 공개하며 시장 선점 의지를 내비쳤다.
네이버와 두나무는 "스테이블코인, 비상장주식 거래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 중이나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으나, 업계에선 최근 국회의 디지털자산TF 출범과 맞물려 본격적 신사업 진출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는 코인베이스 등 글로벌 거래소들의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 네이버와 업비트 시너지 효과는 디지털 금융주권 경쟁의 중대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양사의 기술생태계 투자 규모는 향후 10년간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즉 이번 네이버-두나무 결합 논의와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는 국내 디지털금융 시장의 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인간, 기술, 법·제도적인 메가트렌드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