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골드만삭스 디지털 자산 임원, 블록체인 회사 이직…"전통금융의 디지털자산 급격이동 신호탄?"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블록체인 산업이 월스트리트의 인사 러시로 한층 뜨거워지고 있다.

 

Mysten Labs 공식 블로그 발표와 The Trade News, Holder News, AMINA Group Research 등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골드만삭스의 전 아메리카 디지털 자산 책임자 무스타파 알 니아마가 블록체인 기술 기업 미스텐 랩스(Mysten Labs)에 글로벌 자본시장 책임자로 합류하며,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 산업의 경계를 허무는 대형 인사 이동이 이뤄졌다.

 

규제 명확성 속 '전략적 타이밍'…GENIUS Act 통과가 배경


이번 인사는 미국 의회의 GENIUS Act 통과로, 미국 금융 시스템에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가 마련된 시점에서 이뤄졌다. 해당 법안은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 명확성을 제고하며, 기관 투자자와 대형 금융사들의 블록체인 도입 본격화 움직임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evin Boon 미스텐 랩스 사장은 "알 니아마는 대중에게 DeFi 활용을 확산시키는 선구자"라며 "주요 금융기관에서 업계 혁신을 적극 주도해온 인물"로 평가했다. 실제 알 니아마는 CFTC(미국상품선물거래위원회) 글로벌 마켓 자문위원회, SIFMA(증권업 금융시장협회) 디지털 자산 워킹그룹 등 미국 주요 금융 규제기관에서 고문 역할을 수행, 복잡한 규제 환경을 관통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DeFi는 '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은행이나 중개 기관 같은 중앙 집중식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 기술을 통해 자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금융은 은행, 증권사, 결제사 등 중앙 기관이 중개해 자금 거래, 대출, 예금, 투자 등을 관리하지만, DeFi는 블록체인 위에서 누구나 참여 가능한 분산 원장과 스마트 계약을 통해 이러한 금융 활동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알 니아마는 Syracuse University 컴퓨터과학 석사, Columbia University Business School 벤처캐피털·사모펀드 이수 등 학문적 배경도 갖추고 있다. 15년 넘는 금융경험을 바탕으로, 자본시장과 블록체인을 가로지르는 전략적 교두보 역할을 기대 받고 있다.

 

SUI 블록체인 성장의 첨병


이번 임명은 Mysten Labs의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SUI 생태계의 성장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 알 니아마는 전통 금융 인프라와 블록체인 기술 접목을 주도하며, SUI 플랫폼 내 토큰화 혁신, 실물자산(RWA: Real World Asset) 시장 통합, 담보 유동성 획기적 개선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SUI는 레이어 1 블록체인이자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빠르고 안전하며 확장 가능한 디지털 자산 소유권 관리를 목표로 설계됐다. SUI는 메타(구 페이스북)가 개발한 Move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며, 블록체인의 구조를 기존의 계정 기반 모델 대신 '객체 중심 모델'로 혁신해 거래 처리 속도와 효율성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미스텐 랩스의 SUI는 최근 Franklin Templeton Digital Assets, 스위스 Sygnum·AMINA Bank 등 글로벌 금융기관들과 파트너십을 광범위하게 체결하며, 기관 중심의 채택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2025년 기준 SUI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 시장 규모는 기관 투자 유입 증가에 힘입어 수십억 달러 대로 추정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알 니아마는 "SUI는 대형 청산소와 글로벌 금융사에서 추진했던 토큰화 프로젝트를 진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블록체인"이라며 플랫폼의 기술적 차별성을 강조했다. 그가 이끄는 Global Capital Markets 부서는 SUI 생태계 내 실물자산 토큰화와 기관 금융 솔루션 개발을 중심으로 전략을 펼칠 전망이다.

 

기관 투자 흐름과 시장 데이터…빠른 팽창세


SUI 블록체인 월간 트랜잭션 수는 2024년 기준 2억건을 돌파했으며, SUI 기반 실물자산(RWA) 거래량은 2025년 상반기 기준 $5억 이상이다. 또 Franklin Templeton·Sygnum 등 글로벌 금융기관 참여 역시 2023~2025년 10여곳 이상 제휴·서비스를 도입했다.

 

블록체인 시장의 "탈(脫)월스트리트" 경향은 계속될 전망이다. GENIUS Act 등 규제환경 개선과 함께, 알 니아마와 같은 월스트리트 출신 전문가 영입이 디지털 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성장 동력 확대로 직결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젠슨 황 “中 반도체는 ‘나노 초’밖에 안 뒤진다"…미중 기술패권 속 경쟁 '불가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최근 BG2 팟캐스트 및 주요 언론 인터뷰에서도 중국 반도체 산업의 미국과 격차를 ‘단지 몇 나노초’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미중간 기술 경쟁이 불가피함을 강도 높게 주장했다. 로이터, 야후파이낸스, 블룸버그, BBC, SCMP, ITIF, TrendForce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의 거대한 인적자원, 근로문화, 그리고 지방간 경쟁시스템이 반도체 제조 역량과 AI 기술 발전을 가속화한다고 진단했다. 미중 기술 격차와 정책 변수 황 CEO는 “중국은 미국에 단지 ‘나노초’밖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을 막는 것보다 오히려 경쟁을 허용해야 미국의 경제적·지정학적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 엔비디아가 설계한 중국 특화 AI 칩 H20 판매는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중단됐으나, 7월 미중 협상을 통해 조건부로 다시 허용된 바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AMD 등이 중국에 칩을 수출할 때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새 제도(수출 라이선스 조건)가 시행되면서 반도체 분야의 국제 경쟁 규칙이 변화하고 있

[이슈&논란] 성범죄자 엡스타인 명단에 머스크 "초대받았지만 거절했다"…일정표의 진실 놓고 '갑론을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민주당은 최근 성범죄자로 알려진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새로운 방문자 명단 문건을 공개하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유명 인사의 이름이 또다시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2025년 9월 27일(현지시간) 미 하원 감독위원회 민주당의 발표를 인용해 머스크가 2014년 12월 6일 카리브해 '리틀 세인트 제임스' 엡스타인 개인 섬 방문자 명단에 올랐다고 단독 보도했다. 문건에는 ‘알림: 일론 머스크, 12월6일 섬 방문(아직도 진행되나요?)’라는 메모가 포함돼 있었으나, 머스크는 즉각적으로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 공식 입장을 밝혀 “스카이뉴스의 보도는 완전히 왜곡된 제목이다. 엡스타인은 나를 섬으로 초대했지만 나는 거절했다”며 강력히 부인했다. 머스크는 자신이 사실상 ‘섬 방문’ 자체를 거부했으며, “실제로 방문한 요크 공작(앤드루 왕자)보다 내 이름이 먼저 언급된 것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앤드루 왕자(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는 2000년 5월 12일 뉴저지에서 플로리다 팜비치로 향하는 엡스타인 전용기에 동승했다는 기록이 이번 문서에 포함됐다. 탑승자 명단에는 앤드루 왕자, 엡스타인, 당시 여자

[내궁내정] 삼성 갤럭시S·갤럭시노트·갤럭시폴드 시리즈 암호명(코드명)에 숨겨진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보안 유지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암호명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보안측면의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철학과 기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특히 이 암호명(코드명, 프로젝트명)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기의 혁신성과 기술적 성취를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10의 '비욘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갤럭시 S20의 '허블'은 카메라 성능을, 갤럭시 S25의 '패러다임'은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AI 통합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 10의 ‘다빈치(Da 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