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이더리움의 부테린 "2030년까지 양자컴퓨터가 암호화를 무너뜨릴 수 있다" 경고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은 양자 컴퓨터가 2030년까지 현재 사용 중인 암호화 기술을 무너뜨릴 가능성이 20%에 달한다고 경고했다. 이 경고는 8월 27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서 부테린과 메릴랜드 대학교 컴퓨터 공학 교수 이안 미어스가 나눈 공개 토론에서 나온 것이다.

 

Binance, Yahoo Finance, CoinCentral, Ainvest, CryptoNews, PQShield, CyberArk, PostQuantum.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는 메타쿨루스의 예측 데이터를 인용한 것으로, 양자 컴퓨터가 현대 암호 기술을 깨뜨리는 중간 시점으로는 2040년을 예상하지만, 2030년까지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망은 기존 전문가들의 예측보다 훨씬 빠른 시간대로, 양자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를 반영한다.

 

양자 컴퓨터가 위협하는 암호화는 단순히 데이터 복호화에 그치지 않는다. 메릴랜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안 미어스 교수에 따르면, 본질적인 문제는 ‘건전성(soundness)’ 즉, 양자 컴퓨터의 연산력을 견디면서도 블록체인 시스템 등 암호 기술이 신뢰를 유지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현재 암호화폐들은 전통적인 컴퓨터가 수천 년이 걸릴 계산을 기반으로 안전을 유지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이를 몇 초 만에 깨뜨릴 수 있어 디지털 금융 시스템 전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

 

현대 디지털 경제는 해킹과 데이터 노출 방지를 위해 암호화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양자 컴퓨터는 퀀텀 비트(양자 비트)의 중첩과 얽힘 현상으로 특정 수학 문제를 기존 컴퓨터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해결한다. 특히 쇼어(Shor)의 알고리즘과 그로버(Grover)의 알고리즘이 RSA, 타원곡선 암호화, 해시 함수 등 현재 주요한 암호체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이더리움은 STARK(Scalable Transparent Arguments of Knowledge) 증명의 양자 내성 특성에 주목하고, 네트워크 내 양자 저항 서명 방식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스틴 드레이크 이더리움 재단 연구원은 양자 내성 서명 알고리즘 연구를 진행 중이며, 현재 양자 공격에 취약한 페더센(Pedersen) 해시 함수 대신 포세이돈(Poseidon) 해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해시 기반 암호 시스템은 양자 컴퓨터가 제공하는 이차적 속도 향상만 대응하면 되는 특성상 전환이 비교적 수월한 것으로 평가된다.

 

글로벌 기준에서도 양자 이후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PQC) 전환은 시급한 과제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2030년까지 양자 취약 알고리즘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고 2035년까지 완전 전환을 완료할 것을 권고하며, 이는 부테린의 양자 위협 예측과 궤를 같이 한다.

 

이와 더불어 '지금 수집, 나중 해독(Harvest Now, Decrypt Later)' 공격 시나리오가 경고되고 있는데, 이는 공격자가 지금 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로 미리 수집해 두었다가 양자 컴퓨터 등장 시점에 맞춰 복호화하는 전략이다. 때문에 민감 데이터는 양자 컴퓨터가 현실화되기 이전부터 보호돼야 한다.

 

향후 이더리움 3.0은 2027년경 윈터니츠(Winternitz) 서명과 zk-STARKs 등 강력한 양자 내성 프로토콜을 도입할 계획이며, 아발란체 등 일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격자 기반 암호화 등 포스트 양자 암호를 채택하면서 양자 위협에 대비하고 있다.

 

양자 컴퓨팅이 아직 실용 단계는 아니지만, 암호 기술의 근간을 흔들 잠재적 위협으로서 이미 전 세계 암호화폐 업계와 보안 커뮤니티는 긴박하게 대응에 나서고 있다. 디지털 자산의 미래 보안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비와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트럼프 디지털세 관세 으름장 뒤엔 저커버그”…백악관 비공개 회동 전격 보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기업에 부과되는 디지털세를 도입하는 국가에 대해 대규모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배경에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의 비공개 백악관 회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블룸버그, 로이터, 뉴욕포스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해외 언론은 2025년 8월 2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저커버그가 지난 주 백악관을 방문해 디지털 서비스 세금 도입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해당 국가에 대해 경제 제재성 관세를 내리겠다는 강경 입장을 발표했다. 디지털세는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이 IT 글로벌 기업들이 특정 국가에서 발생시키는 매출에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구글,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다. 메타는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광고 수익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세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블룸버그는 저커버그와 트럼프가 회동에서 유럽연합(EU)의 과도한 규제 문제, 디지털세 문제, 미국 내 AI 기술 투자 및 메타의 루이지애나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했다.

[CEO혜윰] 280조원 기부한 빌 게이츠 “전용기 타고, 좋은 집 살고 돈도 꽤 쓴다” 솔직 고백…“호기심이 인생 키워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이자 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게이츠 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약 280조원(2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신의 재산을 2045년까지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철학과 함께 솔직한 일상 이야기를 전했다. 2025년 8월 27일 방송된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출연에서 그는 “사실 꽤 많은 돈을 쓴다”며 “매우 좋은 집에 살고, 큰 정원도 있으며 전용기를 타고 여행을 다닌다”고 밝혔다.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을 다닐 수 있게 된 점에 감사함을 표했다. 빌 게이츠는 재산의 99%, 즉 약 280조원을 기부하는 계획에 대해 “아이들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며 “자기 힘으로 경제적 성공을 이루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재산은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고, 수년간 ‘아이들이 왜 죽을까’, ‘우리는 잘 대응하고 있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며 긴 시간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그의 기부철학은 부모의 교육 영향과 ‘더 많이 받은 만큼 더 큰 책임이 따른다’는 어머니의 조언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일상에서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자주 즐기고, 주기적으로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