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3℃
  • 흐림강릉 10.2℃
  • 연무서울 8.0℃
  • 천둥번개대전 7.7℃
  • 흐림대구 10.2℃
  • 연무울산 14.6℃
  • 광주 7.9℃
  • 연무부산 14.6℃
  • 구름많음고창 10.1℃
  • 구름많음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8.2℃
  • 구름많음금산 9.9℃
  • 구름많음강진군 10.5℃
  • 구름조금경주시 12.8℃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트럼프 미디어-크립토닷컴 ‘MCGA’ 출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모델’ 따라 암호화폐 재무회사 설립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이 크립토닷컴 및 특수목적 인수회사 요크빌 어퀴지션과 함께 총 64억200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자산 재무회사 ‘Trump Media Group CRO Strategy Inc.’를 설립한다고 2025년 8월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CoinDesk, Fortune, GlobeNewswire, BlockByte의 보도에 따르면, 이 회사는 크로노스(Cronos) 블록체인의 고유 암호화폐인 CRO 토큰을 대량 취득 및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며, 미국 나스닥에서 'MCGA'라는 티커로 상장된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Make America Great Again' 슬로건을 연상시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합병에는 약 10억 달러 상당의 CRO 토큰(전체 토큰 시가총액의 19%에 해당), 2억 달러의 현금, 2억2000만 달러의 의무 워런트 권리 행사분이 포함된다. 아울러 요크빌 계열사 YA II PN Ltd.가 50억 달러 규모의 주식 신용 한도를 제공해 향후 CRO 토큰 추가 매입을 지원한다. 이로써 트럼프 미디어 그룹은 약 63억 개의 CRO 토큰을 보유, 세계 최대 규모의 CRO 보유자가 됐다.

 

CRO 토큰은 이 발표 직후 약 25~30% 급등하여 토큰당 16센트에서 20센트로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약 66억2000만 달러로 크게 확대됐다.

 

트럼프 미디어 플랫폼과 CRO 토큰 통합


트럼프 미디어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의 트루스소셜(Truth Social) 플랫폼에 CRO 토큰 및 크립토닷컴의 디지털 지갑 인프라를 직접 통합한다. 새로운 리워드 시스템을 도입, 사용자들은 플랫폼 내 활동으로 획득한 '젬'을 CRO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CRO 잔액으로 구독료 및 서비스 결제가 가능해진다.

 

상호 투자도 이뤄져 트럼프 미디어는 1억500만 달러 상당(약 6억8500만개 CRO, 전체의 2% 수준)의 CRO 토큰을 매입하며, 크립토닷컴은 5000만 달러 규모의 트럼프 미디어 주식을 취득한다. 또한, 트럼프 미디어는 보유한 CRO 토큰을 크립토닷컴에 위탁해 스테이킹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사용자들은 크립토닷컴 계정을 개설하면 Truth+ 구독을 무료 혹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도 제공된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모델 벤치마킹한 디지털 자산 재무전략


이번 거래는 2020년 비트코인 대량 매입으로 유명해진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전략을 따르는 사례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현금 자산을 비트코인에 집중 투자하며, 2024년 현재 비트코인 보유액 가치가 약 1000억 달러에 이르고, 기업 가치도 크게 상승했다.

 

트럼프 미디어와 파트너사들은 신주 발행 후 1년간 지분 락업 기간을 설정하고, 이후 3년간 점진적 지분 공개를 통해 장기 투자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주주 신뢰 확보와 전략적 투자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침으로 평가된다.

 

이번 파트너십은 디지털 자산과 전통 미디어 플랫폼의 융합 시도를 넘어, 새로운 디지털 자산 보유 전략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중대한 금융 전략 변화로 해석된다.

 

CRO 토큰의 실질적 활용과 시장에서의 가치 제고, 그리고 트럼프 미디어의 플랫폼 사용자 경험 혁신까지 종합하는 이번 디지털 자산 재무회사 설립은 2025년 가상자산 산업에서 주목받는 주요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