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맑음동두천 17.5℃
  • 맑음강릉 19.5℃
  • 맑음서울 17.5℃
  • 구름조금대전 18.6℃
  • 맑음대구 18.0℃
  • 맑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7.8℃
  • 맑음부산 19.8℃
  • 구름조금고창 17.9℃
  • 맑음제주 20.5℃
  • 맑음강화 16.3℃
  • 맑음보은 17.4℃
  • 구름많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8.9℃
  • 구름조금경주시 18.6℃
  • 맑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는 왜 백악관 보좌관을 '뱀'이라 부를까?…"고어=위선적 이중 행위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백악관의 핵심 인사 책임자를 '뱀(snake)'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면서, 미국 정계와 재계가 들썩이고 있다.

 

머스크의 이례적 발언은 단순한 감정적 충돌을 넘어, 정부 고위직 인사 검증 시스템과 정치적 보복 논란까지 촉발시키고 있다.

 

정치·개인 감정 얽힌 백악관-머스크 갈등의 전모

 

머스크가 백악관 보좌관 세르지오 고어를 '뱀(snake)'이라고 부른 것은, 고어가 겉으로는 공식적이고 신뢰받는 인사 검증 책임자 역할을 하면서도, 실제로는 머스크와의 개인적 갈등을 바탕으로 뒤에서 보복성 행위를 했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지적한 것이다.

 

영어권에서 '뱀'이라는 표현은 전통적으로 '믿을 수 없고, 교활하며, 배신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부정적 은유로 사용된다. 머스크는 고어가 자신을 공개적으로 대적하지 않으면서도, 인사권을 활용해 자신이 추천한 NASA 국장 후보의 낙마를 유도하는 등 음흉하게 뒤에서 공격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즉, 머스크가 말한 '뱀'은 고어가 공식적 직위와는 달리, 개인적 감정과 정치적 이해관계를 앞세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배신과 음모를 꾸몄다는 강한 불신과 분노의 표현이다. 이는 단순한 인신공격이 아니라, 미국 정치권에서 '믿을 수 없는 내부자', '이중적인 행위자'를 상징적으로 비판할 때 쓰는 전형적인 비유다.

 

인사 검증 책임자, 정작 본인은 검증 안 돼


사건의 중심에는 세르지오 고어(Sergio Gor) 백악관 대통령 인사국장이 있다. 뉴욕포스트(The New York Post)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고어는 4000여 명에 달하는 정부 고위직 인사들의 신원 및 안보 검증을 총괄하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영구 보안 인가(permanent security clearance)를 위한 공식 신원조사 서류(Standard Form 86)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미국 연방정부 인사 시스템의 근본적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대목이다.

 

머스크-고어, '개인적 감정'이 정치로 번지다


머스크와 고어의 갈등은 지난 3월 내각 회의에서 머스크가 고어를 공개적으로 질책한 데서 비롯됐다. 이후 고어는 머스크에 대한 감정적 앙금을 품기 시작했다.

 

이후 백악관 내 영향력을 활용해 머스크가 적극적으로 추천한 인물인 재러드 아이잭먼(Jared Isaacman)의 NASA 국장 지명을 막는데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아이잭먼은 머스크의 오랜 친구이자 민간 우주사업의 핵심 인물로, 그의 낙마는 머스크에게 '마지막 모욕'으로 받아들여졌다는 후문이다.

 

정치적 보복? 스페이스X 계약 전면 재검토


머스크의 분노는 SNS를 통해 백악관과 트럼프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220억 달러(약 29조원) 규모 연방정부 계약을 전면 재검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근거 없는 소문" 일축…논란은 계속


백악관 대변인 카롤린 리빗(Karoline Leavitt)은 "근거 없는 가십"이라며 논란을 일축했지만, 고어 본인의 보안 인가 미비 사실에 대해서는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편, 내부 관계자는 "고어는 현재 유효한 보안 인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개인 감정'이 국가 시스템 흔드는 미국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감정 싸움이 아니라, 미국 정부의 인사 검증 시스템과 정치적 이해관계, 그리고 거대 기업과 정부 간의 미묘한 힘겨루기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

 

'머스크는 왜 백악관 보좌관을 뱀이라 부를까?'라는 질문은, 결국 미국 사회의 권력 구조와 신뢰 시스템, 그리고 개인적 감정이 어떻게 국가적 이슈로 비화될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CEO혜윰] DNA 혁명을 이끈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과학과 논란을 함께한 위대한 생물학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하며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제임스 D. 왓슨(1928~2025)이 97세의 나이로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호스피스에서 별세했다. 감염 치료 중이던 병원에서 호스피스로 옮겨진 후 지난 11월 6일 사망했으며, 아들 던컨 왓슨이 이를 공식 확인했다.​ 뉴욕타임즈, AP뉴스, BBC,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25세의 젊은 나이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규명, 유전정보의 저장과 전달 원리를 밝혀내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했다. 이 업적으로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모리스 윌킨스도 공동 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 '사진 51'은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했으나,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윌킨스가 왓슨에게 제공하는 등 연구 윤리 논란도 있었다. 프랭클린은 노벨 수상 이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요절해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왓슨의 발견은 현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 유전자 가위(CRISPR), 법의학 DNA 분석,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