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의 미래’로 불리며 수백만건의 예약을 자랑했던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출시 5개월 만에 입문형인 롱 레인지 후륜구동(RWD) 모델(Long Range Rear-Wheel Drive)을 미국 온라인 구성기에서 슬그머니 내렸다. 이로써 미국 시장에서 가장 저렴한 사이버트럭 옵션이 사라졌다. 가격경쟁력 사라진 RWD…세액공제 만료로 '진입장벽' ↑ Notebookcheck, SSBCrack News, Drive Tesla Canada, Supercar Blondie, teslamagazine.org, Ford Authority, Futurism, EV.com에 따르면, RWD 모델은 4월 미국 시장에 6만9990달러(약 9400만원)로 출시됐고, 여기에 7500달러 연방 EV 세액공제가 적용될 경우 실구매가는 6만2490달러까지 내려갔다. AWD 롱 레인지(7만9990달러)와의 가격차는 약 1만 달러였다. 하지만 9월 30일로 예정된 세액공제 종료와 함께 이 가격 메리트가 사실상 소멸돼, 사실상 모델 존속의 동력도 사라진 셈이다. 국세청(IRS)에 따르면,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9월 30일 전에 계약 및 1회 이상 결제가 완료되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구금 사태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밝히며 근로자들의 안전한 귀국에 안도감을 표했다. 9월 11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오토모티브뉴스 콩그레스에 참석한 정 회장은 "구금됐던 직원들이 안전하게 귀국해 안도했다"며 "수백 명이 구금됐다가 본국으로 송환되는 상황은 그룹 입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지난 9월 4일 미국 이민 당국이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17명을 포함한 475명을 단속, 체포·구금한 초유의 사태 이후 현대차 경영진이 직접 나선 첫 공식 입장이다. 정 회장은 “그 사건에 대해 많이 걱정했다”며 “한국과 미국 정부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구금 사태는 미국 내 딜레마를 보여준다. 미국 정부는 제조업 부흥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하는 한편, 엄격한 이민법 집행을 병행하며 애초 목표가 상충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반도체·배터리 등 고급 숙련 노동자 부족이 심각한데, 이민 비자 발급과 관련된 경직된 제도가 투자 지연과 비용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에서 8년간 근무한 조르지오 발레스트리에리 에너지 엔지니어가 최근 사임하며, CEO 일론 머스크의 리더십 문제를 공개적으로 지적하는 강도 높은 링크드인 게시글을 남겨 업계 전반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유나이티드 레드텍,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발레스트리에리는 테슬라 유럽 에너지 트레이딩 알고리즘과 오토비더 플랫폼 등에서 핵심 역할을 맡았으며, 9월 11일 게시글에서 머스크가 “테슬라의 미션과 여러 국가의 민주주의에 심각한 피해를 줬다”고 비판했다. 조직 내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는 점이, 최근 테슬라 경영진의 집단 이탈에서 드러난다. 2025년 한 해에만 최소 10명의 임원이 떠났으며(예: 북미 영업 부문 부사장 트로이 존스, 머스크의 측근 오미드 아프샤르 등), 2024년 중반 이후 14명의 고위 임원이 사임했다. 이러한 반복적 리더십 유출은 단순 퇴사를 넘어 조직 전반의 신뢰 및 전략적 방향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진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취재에 따르면, 테슬라는 내부 교육에서 직원 사기 저하와 번아웃 문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 2023년 말 약 14만473명에서 2025년 12만1000명으로 인력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UMass Amherst) 물리학자들이 향후 10년 내 천문학자들이 원시 블랙홀(Primordial Black Hole, PBH)의 폭발을 목격할 확률이 90%에 이를 수 있다는 획기적인 예측을 내놓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10만 년에 한 번꼴로 예상되던 폭발 관측 확률을 크게 상향시키며 우주 기원과 기본입자 물리학 연구에 혁신적인 전환점을 예고한다. UMass Amherst 공식 발표, Physical Review Letters, SciTechDaily, Popular Mechanics, LIGO Caltech 뉴스에 따르면, 원시 블랙홀은 빅뱅 직후 우주 초기에 형성된 이론상의 블랙홀로 기존 별의 붕괴로 생성되는 항성 블랙홀과는 다르다. 이들은 질량이 매우 작아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를 방출하며 증발하다가 궁극적으로 폭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진은 특히 '다크-QED 토이 모델'을 활용해 암흑 물질과 연관된 가상의 입자 '다크 전자'를 포함하는 새로운 전기적 상호작용을 가정했다. 이에 따라 원시 블랙홀이 미세한 ‘다크 전기적 전하’를 띠면서 잠시 안정화됐다가 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거대 기술기업 알리바바가 2025년 9월 11일 역대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모델인 Qwen3-Next와 자회사 앤트그룹을 통해 개발한 첫 번째 휴머노이드 로봇 R1을 동시에 공개하며 AI와 로봇공학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alizila, South China Morning Post, DEV Community, Tech Wire Asia, Dataconomy Media, The Verge에 따르면, Qwen3-Next는 1조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진 초대형 언어 모델로, 기존 Qwen3 시리즈 모델 대비 연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장기 문맥을 이해하는 데 최적화된 혁신적인 모델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해당 모델은 8000억개 파라미터급으로 추정되던 전작보다 10배 빠른 처리 속도와 90% 낮은 훈련 비용을 실현했으며, 국내외 언어 이해, 복잡한 지시 수행, 다국어 처리 능력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Qwen3-Next-80B-A3B 버전은 3억개 활성 파라미터만 사용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도입해 비용과 속도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이로써 알리바바는 오픈AI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9월 9일(미국 현지시간) 애플이 야심차게 공개한 아이폰 17 시리즈가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며, 애플 주가는 출시 직후 3.2% 급락해 1주당 $226.79를 기록했다. 이틀 동안 애플 시가총액은 1120억 달러(약 150조원) 가까이 사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최근 2회 거래세션 동안 애플의 주가 낙폭은 4.7%에 달했다. MarketWatch, Financialcontent, Yahoo Finance, CNBC, Morningstar에 따르면, 시장 반응은 ‘AI(인공지능) 패권 경쟁’에서 애플의 존재감이 갈수록 희미해진다는 우려를 여실히 반영했다. “Awe Dropping”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올해 발표행사에서 애플은 극도로 얇은 아이폰 에어와 카메라, 배터리, A19 프로세서 개선 등 하드웨어적 진화를 강조했으나, 인공지능 혁신 관련 내용은 75분 내내 11회에 불과한 언급에 그쳤다. 월가 전문가들은 “AI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기존 강점 위주의 신중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에 집중했다”고 평가한다. AT&T CEO 존 스탠키 역시 골드만삭스 'Communacopia + Technology' 컨퍼런스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9월 10일(현지시간), 글로벌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의 대표 AI 플랫폼인 클로드(Claude)와 개발자용 콘솔, API가 약 30분간 업무 최전선인 미국 근무 시간대에 심각한 서비스 장애를 겪었다. 이에 전 세계 수많은 개발자들이 일시적으로 AI 코딩 도우미 없이 AI 이전시대인 ‘원시인처럼 코딩’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이 사건은 인공지능 코딩 도구에 대한 현대 개발자들의 의존도가 어느 정도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한편, AI 기반 인프라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echCrunch, WebProNews, newsbytesapp에 따르면, 장애는 미국 현지 동부시간 기준 9월 10일 오후 12시 20분경 시작되어 사용자의 GitHub와 Hacker News 등 주요 개발자 커뮤니티에 오류 보고가 봇물을 이루었다. 앤트로픽은 8분 만에 공식 상태 페이지에서 "API, 콘솔, 그리고 클로드.ai가 다운됨"을 공개하며 조속한 복구를 약속했다. 그럼에도 회사 측과 사용자 보고 사이에 장애 시작 시점에 약간의 시간 차이가 존재해 초기 상황은 보다 복잡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애 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라클이 생성형 AI 시대를 이끄는 대표 혁신기업 오픈AI(OpenAI)와 약 3000억 달러(약 400조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 5년 장기 계약을 맺으며,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시장의 중심에 섰다.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로이터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9월 10일(현지시각) 오라클이 2027년부터 오픈AI에 연간 600억 달러 규모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를 체결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오픈AI가 자체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의 미국 내 확장 전략의 핵심 축이면서, 약 4.5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신규 확보한다. 이는 4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미국 내 10GW AI 인프라 구축 목표(투자액 5000억 달러)의 약 절반을 한꺼번에 달성하는 셈이다. 오라클은 텍사스 애빌린 ‘슈퍼클러스터’ 단지를 비롯, 미시간·오하이오·위스콘신·펜실베니아·뉴멕시코·조지아·와이오밍 등 8개 주에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순차적으로 구축해 총 4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B200 AI 칩을 투입할 계획이다. 하드웨어 투자비만 400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역사적인 ‘아르테미스 II(Artemis II)’ 달 궤도 유인우주선 임무 참가자 등록을 시작했다. NASA 공식 홈페이지, Space.com, NPR, National Geographic, India Today에 따르면, 이번 캠페인인 ‘아르테미스 II와 함께 이름 보내기(Send Your Name with Artemis II)’는 2026년 1월 21일까지 무료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이름이 저장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달 궤도 비행을 수행하는 오리온 우주선에 실어 보낸다. 참가자들은 임무 참여를 기념하는 디지털 탑승권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번 계획은 50년 만에 인간을 달 궤도 근처로 보내는 첫 유인 우주 임무인 만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르테미스 II 임무는 NASA의 장기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비행이자, 오리온 우주선의 첫 유인 비행이다. 4명의 우주비행사가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SLS(우주 발사 시스템) 로켓을 타고 약 10일간 지구에서 약 25만 마일 떨어진 달을 한 바퀴 도는 자유 반환 궤도를 비행한다. 임무 수행 중 우주비행사들은 오리온 우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5년 9월 8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Las Megas’ 행사에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메가팩 3(Megapack 3)’와 ‘메가블록(Megablock)’을 공개하며, 설치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통한 에너지 저장 사업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Solar Power World, PV Magazine USA, Teslarati, Drive Tesla Canada, Wood Mackenzie, Market Report Analytics, Energy Storage News,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메가팩 3는 기존 메가팩 2XL(3.9MWh) 대비 약 28% 증가한 5MWh의 단일 유닛 저장 용량을 제공하며, 열관리 구역을 78% 간소화해 신뢰성과 유지보수를 개선했다. 각각의 메가팩 3 유닛은 약 39톤(8만6000파운드) 무게로 글로벌 운송이 가능하고,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에서 공급받은 배터리 셀을 사용한다. 영하 40도에서 영상 60도까지 극한 온도에서의 작동이 가능하며, 25년 이상 약 1만 사이클을 견디는 내구성을 갖췄다. 더 획기적인 제품인 메가블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