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10.1℃
  • 맑음강릉 15.1℃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3.4℃
  • 맑음울산 13.3℃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4.8℃
  • 맑음고창 13.6℃
  • 맑음제주 16.2℃
  • 맑음강화 9.0℃
  • 맑음보은 12.0℃
  • 맑음금산 12.3℃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3.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빅테크

[우주AtoZ] 트럼프, 우주 발사 규제 ‘대폭 완화’…스페이스X에게 약일까 독일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2025년 8월 13일(현지시간) 연방정부의 민간 우주 발사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백악관(Whitehouse.gov)을 비롯한 Newsweek, Phys.org, ProPublica, The Hill, Mashable, PayloadSpace, FA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교통부 장관에게 연방항공청(FAA)이 관리하는 로켓 발사 허가와 관련된 환경영향평가 폐지 또는 간소화를 직접 지시했으며, 발사와 재진입 차량에 대한 “노후되고 중복·과도한 규제” 또한 제거할 것을 주문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비효율적인 허가 절차가 미국 기업의 글로벌 우주시장 선도를 저해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나치게 복잡한 규제와 허가·심사 절차가 민간 우주 발사와 인프라 개발을 지연시키고, 신생 기업에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스페이스X는 2024년 한 해 130회 이상의 로켓 발사를 기록하며, NASA를 포함한 미국 내 최고 수준의 발사 실적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규제 완화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특히 스페이스X의 ‘스타십’ 개발은 텍사스주 보카치카 및 플로리다 LC-39A 등의 발사장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환경영향평가나 사고 조사 절차로 인해 반복적으로 시험 발사가 지연돼 왔다. 트럼프 행정명령에 따라 해당 시설의 시험 주기 단축, 다중발사 허가 절차 간소화, 신규 우주기업 인프라 구축 속도 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산업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에 대해 “로켓 발사 인프라·시장 진입 기회 확대로 민간 우주산업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환경·안전 평가 축소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Center for Biological Diversity 등 환경단체는 “심사 절차 축소는 생태계와 지역사회 안전에 부정적 영향”이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놓았다. 발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대기 오염, 야생동물 교란 등 기존 문제에 대한 규제 강도 약화가 이번 행정명령으로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동시다발적으로 의약품 원료 공급망 강화, 바이든 행정부 시절 시행된 반독점 행정명령 철회 등 경제 분야에서도 광범위한 규제 완화에 서명을 단행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CEO혜윰] DNA혁명 이끈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과학과 논란을 함께한 위대한 생물학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하며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제임스 D. 왓슨(1928~2025)이 97세의 나이로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호스피스에서 별세했다. 감염 치료 중이던 병원에서 호스피스로 옮겨진 후 지난 11월 6일 사망했으며, 아들 던컨 왓슨이 이를 공식 확인했다.​ 뉴욕타임즈, AP뉴스, BBC,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25세의 젊은 나이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규명, 유전정보의 저장과 전달 원리를 밝혀내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했다. 이 업적으로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모리스 윌킨스도 공동 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 '사진 51'은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했으나,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윌킨스가 왓슨에게 제공하는 등 연구 윤리 논란도 있었다. 프랭클린은 노벨 수상 이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요절해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왓슨의 발견은 현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 유전자 가위(CRISPR), 법의학 DNA 분석,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