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 "그록,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을 깨뜨릴 수 있을까?" 물었더니…취약한 비트코인 보안과 양자컴퓨팅 '논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양자 컴퓨터가 암호화폐의 SHA-256 해싱 알고리즘을 해독할 수 있을까?

 

2025년 8월 2일,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AI 챗봇 '그록(Grok)'에게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의 SHA-256 해싱 알고리즘을 장기적으로 깨뜨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X(구 트위터)에 게시하며, 양자컴퓨팅이 암호화폐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에 대한 글로벌 논쟁이 다시 본격화됐다고 Cointelegraph, CoinGape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그록(Grok)의 분석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양자컴퓨터가 SHA-256을 깨뜨릴 확률은 "0%에 가깝고", 2035년까지도 10% 미만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IBM, 다양한 전문가 평가를 근거로 "실제로 공격이 가능하려면 수백만 개의 오류정정 큐비트(logical qubit)가 필요하며, 이는 당분간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 객관적 결론이다.

 

IBM, Google, Microsoft의 '양자 전쟁'…보안에 미칠 파장 커져


이 논쟁의 배경에는 IBM의 야심찬 양자컴퓨팅 로드맵 발표가 있다. IBM은 2033년까지 2000 큐비트(논리 큐비트 기준)의 'Blue Jay' 시스템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2029년 완공 예정인 'Starling' 시스템(200 논리 큐비트)과 더불어, 뉴욕 푸킵시에 위치한 양자 데이터센터에서 양자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IBM은 최근 논문을 통해 새로운 오류정정 방식을 제안, 물리 큐비트 수를 90% 줄여 대규모 양자 컴퓨터 실현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강조한다.

 

현재 IBM, Google(Willow), Microsoft(Majorana 1) 등은 각각 1000 수준의 '노이즈 큐비트'를 구현했으나,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블록체인 보안을 현실적으로 위협할 만한 수준의 시스템은 적어도 10년 이상 남았다"고 입을 모은다.

 

비트코인 개발자 진영은 필요시 SHA-3, SHA-512 등 더 강력한 알고리즘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테슬라의 1만1509 BTC…암호화폐 '보안'에 쏠린 투자자 관심


테슬라는 2025년 2분기 기준, 약 1만1509 BTC(시가 13억1000만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다. 스페이스X도 약 8억5000만 달러 규모를 탑재했다. 머스크는 개인적으로도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음을 공식화했다. 올해 2분기 테슬라는 비트코인에서만 2억8400만 달러의 미실현 평가이익을 거두며, 핵심 자동차 사업의 부진을 상쇄했다.

 

2025년부터 개정된 미국 회계 기준(FASB)에 따라, 테슬라는 분기별로 암호화폐 시가 평가이익을 실적에 반영함으로써 자산가치 변동을 더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실제 위협은 '오래된 지갑'…최대 25% 비트코인 양자공격 취약

 

하지만 낙관만 할 상황은 아니다. 딜로이트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 약 25%의 비트코인이 '양자공격'에 취약하다. 주로 공개키가 노출된 옛 지갑(P2PK, 재사용된 P2PKH)이나 한 번이라도 출금한 주소가 대상인데, 여기에 400~600만 BTC(시가 40억-50억 달러 상당)가 잠들어 있다.

 

상당수는 사토시 나카모토 등 초기 채굴자가 보유한 미이동 코인으로, 실질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낮지만, 기술 혁신이 현실화되면 '양자 해킹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이에 비트코인 개발자들은 잠재적 취약 주소 동결, 신규 주소 강제 사용(BIP 제안), 포스트-양자 암호체계 도입 등 예방책 마련에 분주하다.

 

"진짜 위협은 최소 10년 뒤"…그러나 준비는 '지금'


글로벌 전문가 및 AI의 객관적 평가, 주요 기관의 투자를 모두 종합하면 '실질적인 양자 위협'은 최소 10년 이상 남았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그러나 IBM 등 빅테크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블록체인(비트코인) 투자에 막대한 자금이 걸려 있는 만큼, 업계와 투자자 모두는 사전 대비책과 정보 모니터링을 놓쳐선 안 된다.

 

향후 10년은 블록체인 보안과 슈퍼컴퓨팅 기술, 그리고 글로벌 규제 논의가 맞물려 '디지털 자산 미래'에 있어 결정적 시기로 남을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AI 3총사 도원결의' 깐부치맥 "젠슨 황의 딸 작품이었다"…매디슨 황의 인사이트가 만든 '빅픽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황젠슌)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경제계를 대표하는 두 총수,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과 함께한 소탈한 ‘치맥(치킨+맥주)’ 회동이 국내외 미디어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이 파격적인 만남의 숨은 연출자는 젠슨 황의 딸, 매디슨 황(34)으로 밝혀졌다. 해당 회동은 지난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깐부치킨 매장에서 성사됐다. 삼총사의 만남은 엔비디아 한국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 직전 이뤄졌으며, 한 시간 가량 이어진 술자리에서는 팔짱을 낀 ‘러브샷’까지 펼쳐지는 등 국내 치킨 문화와 글로벌 반도체 리더의 융합이라는 이색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3일 중앙일보 보도와 복수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이 모든 콘셉트와 실무적 실행은 매디슨 황이 직접 주도했다. “AI 깐부”라는 상징적 모임명이 나온 것부터 ‘깐부’라는 장소 선정까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유명 대사 “우리는 깐부잖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글로벌 IT 수장들과 한국 기업 리더들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을 노리는 문화적 퍼포먼스를 만들었다. 매디슨 황은 한 달 전 한국을 미리 방문

[빅테크칼럼] 트럼프-시진핑 회담 이후 '중국, 희토류 규제 중단'…미·중 역사적 무역 휴전 '눈앞'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타결된 획기적인 무역 합의에 따라 새로운 희토류 수출 통제 시행을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종료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11월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이터, 포춘, CNBC, AP, NY Times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2025년 10월 부산 정상회담에서 1년간의 무역 휴전에 합의하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에 대한 반도체 기업 조사를 종료하는 한편, 미국은 일부 관세를 인하하는 등 양국 간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희토류,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흑연 등 핵심 광물의 수출에 대한 중국의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는 내용으로, 백악관은 이를 2025년 4월과 2022년 10월 시행된 제한 조치의 사실상의 철회로 평가했다. 중국은 해당 희토류를 미국 최종 사용자 및 글로벌 공급망에 이익이 되도록 일반 수출 허가서를 발급하게 되며, 이는 글로벌 첨단산업과 군사용 장비에 필수적인 핵심 자원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빅테크칼럼] 머스크 “연말 ‘비행 로드스터’ 시연” 약속…7.5년 지연·환불 논란 속 ‘언빌리버블’ 승부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조 로건 팟캐스트에서 연말 이전 ‘비행 기능’을 포함한 차세대 로드스터 시연을 예고하며 “좋든 나쁘든 잊을 수 없는 데모”를 장담했다는 발언이 확인됐다. 발표 직후 시장 반응과 별개로, 2017년 공개 이후 7.5년에 달하는 지연과 예약금 환불 난항이 겹치며 회의론도 한층 커지고 있다.​ 무엇이 발표됐나 Electrek,Teslarati, Gizmodo,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머스크는 로건에게 “프로토타입 시연이 임박”했고 “올해 말 전 공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피터 틸의 ‘우리는 아직 비행차가 없다’는 지적을 거론해 ‘플라잉 카’ 콘셉트를 정면으로 시사했다.​ 그는 “제임스 본드 영화의 모든 차를 합친 것보다 더 미쳤다”는 수사로 기술적 파격을 예고했고, “데모는 잊지 못할 것”이라는 표현을 두 차례 반복했다.​ 주가·여론의 1차 반응 관련 발언은 10월 31일(현지) 공개된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 에피소드에서 나왔고, 이후 여러 매체가 ‘연내 시연’ 가능성을 헤드라인으로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 대담이 사전 공개된 샘 알트만의 ‘예약 취소’ 공개와 맞물려 다층적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