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의 xAI, 사우디 '휴메인'과 ‘기가와트 데이터센터’ 본격화…오일머니, AI 인프라 헤게모니 뒤흔든다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혁신 AI 기업 xAI가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의 첨단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임차하는 대형 계약을 본격 추진하면서 글로벌 인공지능 인프라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머스크와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AI 동맹' 물밑 협상을 주도하면서, 사우디를 세계적인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시키려는 전략이 총력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xAI, 사우디에서 데이터센터 임차 추진…‘휴메인’ 등 대형 AI 인프라 협상 가동

 

블룸버그, 로이터, 경제지 등 다수 외신에 따르면, xAI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의장으로 있는 AI 기업 ‘휴메인(Humain)’과 대규모 데이터센터 용량 임차를 논의 중이다.

 

이번 협상에서 휴메인은 향후 10년 내 총 6.6GW(기가와트) 데이터센터 전력용량을 목표로 스케일업을 추진 중이며, 1단계로 50MW(메가와트)급시설(총 1만8000개 엔비디아 최첨단 GB300 블랙웰 AI 칩이 탑재)에서 시작해 2025~2034년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xAI-휴메인 협상은 즉각적 단기 수요뿐 아니라 “AI 트레이닝·추론의 글로벌 허브” 역할을 염두에 둔 중장기(수년 단위) 대규모 공급계약(GW-Scale)으로 전망된다. 사우디와 xAI간 거래는 데이터센터 오너십이 아니라 ‘임차(Leasing)’ 방식이 기본이며, xAI는 곧바로 사용 가능한 소규모 데이터센터(최대 200MW) 임대 계약도 별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디 데이터센터 인프라: 세계 최상위급 에너지·AI 칩·자본력 가격경쟁력 "최강"

 

머스크의 xAI가 사우디를 선택하는 배경에는 “미국보다 훨씬 저렴한 에너지 단가”와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천문학적 투자, AI 칩 등 세계 최상위급 디지털 인프라 접근성, 그리고 정치·상업적 우호성이 꼽힌다.

 

현재 휴메인은 2030년까지 1.9GW, 2034년까지 6.6GW 규모의 대형 AI 데이터센터 밸리 구축계획을 출범시켰으며, 첫 시설은 동부 2.3제곱마일 부지에 200MW급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10개 이상으로 설계됐다.

 

이달 초 휴메인은 엔비디아 GB300 블랙웰 칩 1만8000개 일괄 도입계약도 확정, “사우디 AI 고속도로”의 초석을 마련했다. 현지 네옴(NEOM) 지역에는 1.5GW급 순수 신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도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2024년 기준 사우디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는 13억 달러이며, 연평균 19.6% 성장해 2030년 39억 달러 도달이 예상된다. 

 

xAI의 글로벌 AI 인프라 전략, 그리고 ‘콜로서스’ 슈퍼컴퓨터

 

미국 멤피스에는 이미 xAI의 자체 초대형 데이터센터 ‘콜로서스(Colossus)’ 슈퍼클러스터가 가동 중이다. 이 시설은 10만~20만개의 엔비디아 H100 GPU급 AI 프로세서로 무장, 향후 2026년까지 100만개 GPU로 확대할 계획이다. xAI는 추가로 260MW의 전원공급, 100에이커(약 40만㎡) 이상의 용지에 신규 슈퍼컴퓨터와 연계한 세계 최고 수준의 AI 데이터 파크로 확장할 구상도 내비치고 있다.

 

이번 사우디 협력은 미국 내 전력공급·인프라 한계를 넘어 글로벌 멀티허브화, 초대형 AI 트레이닝·추론 인프라의 ‘지리적 다원화’ 전략과 맞닿아 있다.

 

사우디, ‘글로벌 AI 허브’ 선언…AI·반도체·데이터센터 ‘삼위일체’로 초대형 투자 드라이브

 

2024년 5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발표한 대국민 담화에 따르면, 사우디의 휴메인 프로젝트는 AI 산업과 데이터센터 인프라, 대규모 반도체 투자와 ‘제로탄소 에너지’까지 묶은, 비전2030의 대표 ICT 신성장 동력이다. 향후 10년 내 사우디는 AI 전용 데이터센터 전력 용량을 8.1GW로 확대, 세계 AI 컴퓨팅 파워 7% 점유를 목표로 내걸었다.

 

사우디 국부펀드는 약 9400억 달러(1300조원) 이상의 자산을 바탕으로 미국·중국·유럽 빅테크와 AI 슈퍼클러스터 모델 역내 직접 유치 및 투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AI 인프라 헤게모니, 이제는 중동이 판 흔든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 그리고 사우디의 휴메인·국부펀드·네옴 등 현지의 초거대 AI·반도체 인프라 전진 기지, 여기에 미국과 아부다비(UAE)까지 가세한 ‘데이터센터 냉전’이 본격화됐다.

 

이번 xAI-빈살만 ‘기가와트 동맹’은 단순 밸류체인 협력을 넘어, 데이터-전력-반도체-클라우드까지 한 몸뚱어리처럼 연결되는 AI 초강대국 전략의 서막이자, 새로운 글로벌 헤게모니 다툼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AI 인프라 지배권을 거머쥔 국가와 기업이 향후 20년 세계 경제 질서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의 분석처럼, 이번 머스크-빈살만 데이터센터 계약 논의는 중동이 ‘미래산업의 심장’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전신마비 남성, 뉴럴링크 뇌 칩으로 ‘인생 재설계’…대학생·사업가로 변신한 미래의 사이보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18개월 전 수영 사고로 어깨 아래가 완전히 마비됐던 애리조나에 거주하는 29세의 놀랜드 아르보(Noland Arbaugh) 씨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Neuralink)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뇌 칩 이식 수술로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4년 1월 아르바우는 뉴럴링크의 임플란트를 처음으로 인간에게 이식받은 사례가 됐으며, 현재는 컴퓨터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제어하고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대학생이자 사업가로 거듭났다. 뉴럴링크의 공식발표와 포춘(Fortune)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기기는 그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아르보는 이제 하루 최대 10시간 동안 임플란트를 사용해 컴퓨터를 제어하고, 마리오 카트(Mario Kart)를 비롯한 비디오 게임을 하며, 텔레비전이나 공기청정기 같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뉴럴링크 임플란트는 그의 운동 피질에 1000개 이상의 전극을 연결하여 뇌 신호를 분석,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아르바우는 현재 하루 최대 10시간 이 장치를 활용하며, 아리조나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신경과학 전공을 위한 예비 과목을 수강 중이다. 그는 “내 삶에 다시

[빅테크칼럼] 삼성전자·존스홉킨스大 “공학의 노벨상 품었다”…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세계 100대 혁신 기술에 선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이 2025년 ‘R&D 100 어워드’에서 세계 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됐다. 1963년 제정된 이 상은 ‘공학의 노벨상’, ‘산학 혁신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며,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실용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100대 기술을 엄선한다. 이번 수상은 삼성 연구진과 글로벌 산학 협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냉매 기반 냉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 고효율 반도체 박막 펠티어 소자를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노공학 기반의 ‘CHESS’ 박막 소재를 활용, 냉매 대신 전기만으로 냉각을 구현하면서 기존 대비 약 75%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 효과로 소재 사용량을 1/1000 수준으로 줄여 생산 비용과 환경 영향을 대폭 감소시켰다. 펠티어 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의 한 쪽은 냉각되고 다른 쪽은 발열하는 원리를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이다. 전통적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체 기술 수요에 부합하며, 빠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