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황금색 옵티머스 2.5로봇 공개…“2025년 5000대 생산 목표, 미래는 로봇시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최근 독특한 금색 외관과 업그레이드된 설계를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2.5’를 공개하며 로봇 사업에 대한 미래 비전을 다시 한 번 점화했다.

 

Carboncredits.com, CNBC, The Information, Digital Watch Observatory, Wevolver, Ainvest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9월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에서 이번 공개 로봇이 기대를 모은 버전 3이 아닌 2.5임을 명확히 하면서, 공식적인 옵티머스 V3는 11월 예정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옵티머스 2.5는 기존 제품 대비 인체공학적 디자인 개선과 함께 손가락 22자유도에 이르는 정교한 조작 능력을 갖췄다. 액추에이터는 팔뚝 쪽에 위치해 케이블로 손가락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 인간 손의 움직임을 본뜬 점이 큰 기술 진보로 평가된다.

 

또한 테슬라의 AI 어시스턴트 ‘Grok’을 탑재해 음성 대화 기능을 지원하지만, 느린 반응 속도는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세일즈포스 CEO 마크 베니오프가 공개한 영상은 이러한 대화 시연과 함께 로봇이 음성명령에 따라 부엌으로 안내하는 모습을 담아 이목을 끌었다.

 

생산 측면에서는 2025년 연말까지 약 5000대의 옵티머스 로봇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실제 생산량은 수백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내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재설계와 생산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머스크는 2030년까지 월 10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며 장기적 로드맵에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 아질리티 로보틱스, Figure AI 등 글로벌 로봇 기업들이 공격적으로 이족 보행 로봇을 개발 중이다. 특히 가격 경쟁력과 AI 통합 능력에 주목받는 Unitree Robotics의 G1 로봇과, 오픈AI 협력을 통한 Figure AI의 Figure 01이 주요 경쟁자로 평가된다. 옵티머스의 예상 가격은 2만~3만 달러 선으로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췄으나, 기술 완성도 면에서는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는 분석이다.

 

테슬라는 기존 전기차 중심에서 인공지능과 로봇 사업 중심으로 전략적 전환을 가속하며 옵티머스를 회사 미래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머스크는 옵티머스가 향후 테슬라 기업가치의 80%를 차지할 것이라 선언했고, 2050년까지 25조 달러 규모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는 11월 주주총회에서는 ‘옵티머스 댄스 트룹’과 함께 옵티머스 V3의 공식 데뷔가 예정돼 있어 산업계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억만장자·톱배우, 세계 지도자까지 ‘불멸산업’에 17조 베팅"…인류 150세 시대 현실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3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불멸에 이를 수 있다”,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장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부터 할리우드 스타, 그리고 글로벌 정치 지도자까지 전례 없는 규모로 장수 산업에 베팅하며 ‘불멸(immortality)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25년간 이 분야에 투입된 투자금액은 약 125억 달러(한화 17조원)에 달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해 비즈니스 인사이더, 타임, 로이터등의 글로벌 자료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 투자자로는 팔란티어의 피터 틸,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꼽힌다. 틸은 12여개 기업을 통해 장수 관련 산업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올트먼은 세포 노화 역전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에 1억8000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 밖에도 구글의 에릭 슈밋, 조 론스데일, 그리고 바이오 기업 뉴리미트 등에는 억만장자 9명 이상이 2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장수 스타트업

[빅테크칼럼] 머스크, 삼성전자와 손잡은 테슬라 AI6 칩 ‘역대 최고’ 선언…자율주행·로봇AI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9월 6일(현지시간) 자사가 자체 설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칩 관련 최신 설계 검토를 마치고, 차세대 AI6 칩이 “역대 최고의 AI 칩”이 될 것이라고 강력히 자신감을 내비쳤다. 텍스트라티, 블룸버그, 로이터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오늘 AI5 칩 설계팀과 대단한 설계 검토를 마쳤으며, AI5는 이미 역대급이 될 것이고 AI6는 단연 최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테슬라 AI 칩 개발 전략의 전환점은 기존 두 가지 칩 아키텍처 병행 전략에서 하나의 아키텍처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바뀐 점이다. 머스크는 “이를 통해 모든 반도체 인재가 한 곳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며, “생명을 구하는 칩을 개발하고 싶다면 테슬라 반도체 팀에 오라”고 공개 채용 의사도 표명했다. AI5 칩은 파라미터 2500억 이하 모델용 추론 칩 중 비용과 전력 효율 대비 최고 성능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AI6는 AI5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목표로 한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또한 눈길을 끈다. 현재 AI5 칩은 대만 TSMC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AI6 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