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임원 엑소더스에 IT맨이 판매 맡았다…흔들리는 ‘머스크 체제·테슬라 제국'의 변곡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테슬라의 경영진 구조에 충격이 연이어 닥치고 있다.

 

자동차 업계와 IT 투자자, 월가 모두가 주목한 ‘임원들의 대탈출’ 이후, 13년간 정보기술(IT)·데이터 전문가로 역임한 라즈 제가나탄이 갑작스레 판매총책을 맡으면서 여파가 확산 중이라고 Wall Street Journal, Independent, CarBuzz, Business Insider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IT맨’의 급부상, 흔들린 테슬라 영업라인


라즈 제가나탄(Raj Jeganathan)은 실리콘밸리 안팎에서도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테슬라 내부 성장형 인재다. 2012년 이후 IT 및 데이터관리, 프로세스 자동화 등 기술직 포지션에서 테슬라의 내부 인프라를 다져왔다. 최근 핵심 임원 연쇄 퇴사 직후 판매와 영업부문 총책임자로 전격 승진했다.

 

이번 사태는 ‘테크놀로지 중심’ 조직문화의 상징성 결여과 함께, 영업·시장 경험 부족 논란도 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제가나탄에게 자동차 영업이나 국제 판매 실적이 확인된 적은 없다.

 

’줄퇴사’ 신드롬: 누가 떠났나, 왜 떠났나


최근 1년여 간 테슬라에서 12% 이상의 부사장급 이상 임원이 조직을 떠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과거 5년 평균(8%)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북미·유럽 생산/운영 수장 오미드 아프셔(Omead Afshar)가 6월 퇴사했고, 북미 판매를 담당하던 트로이 존스(Troy Jones) 부사장이 15년 만에 자리를 내놓았다.

 

AI·로봇총괄 밀란 코박(Milan Kovac), 배터리 부문장 비니트 메타(Vineet Mehta), 소프트웨어 수장 데이비드 라우(David Lau) 등도 올해 전후로 동시에 조직을 이탈했다. 이외에도 인사, 법무,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고위급 엑소더스가 반복되고 있다.

 

분석기관 AllianceBernstein는 최근 9개월간 머스크 직속 경영진의 연환산 이직률을 44%로 추정해, 업계 평균(9%)의 4배를 넘는다고 산출했다. 모든 임원층을 합쳐도 27%로 동종 업계 대비 훨씬 높다.

 

 

영업부진·정체, 그리고 전략적 혼란


2025년 2분기 테슬라는 38만4122대 차량을 인도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약 13% 감소, 6만여 대 실적이 줄었다. 2024년 대비 매출 역시 11.2% 이상 하락한 227.5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판매모델은 Model 3/Y(37만3728대)로 편중돼 있고, ‘기타’ 차종(모델S/X, 사이버트럭 등)은 1만대 소폭 분기 기록에 그쳤다.

 

테슬라는 AI와 로보틱스(옵티머스, 자율주행 등)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비중을 이동하고 있으나, 당장 핵심인 자동차 판매 채널 총책임에 IT전문가를 등용한 셈이다.

 

빅테크 업계·투자자의 반응과 전망


연이은 임원급 이직, 이례적 직책 이동은 “조직 내 불안정 신호, 성장 피로감 심화, 머스크 원맨 체제의 리스크 확대”로 해석된다. 게다가 올해 테슬라의 임원 평균 재직 연수는 경쟁 글로벌 IT/자동차사 대비 2~3년 짧은 편이며, 외부에서 영입된 인재들의 빠른 ‘이탈’도 반복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7월 23일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와, 머스크의 전략적 방향성 제시에 주목하고 있다.

 

혁신 vs 조직 해체, 변곡점에 선 테슬라


현재 테슬라는 “빠른 혁신과 내부 피로의 도돌이표”에 서 있다. 기존 자동차 산업의 관점에서는 저성과에 대한 냉철한 셋업교체, 테크 관점에서는 변화의 리더십 실험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기술인은 영업을 할 수 있는가?’라는 조직적 실험은, 머스크 체제가 맞이한 시장-경영 이중 시험대로 작동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삼성전자·존스홉킨스大 “공학의 노벨상 품었다”…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세계 100대 혁신 기술에 선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이 2025년 ‘R&D 100 어워드’에서 세계 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됐다. 1963년 제정된 이 상은 ‘공학의 노벨상’, ‘산학 혁신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며,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실용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100대 기술을 엄선한다. 이번 수상은 삼성 연구진과 글로벌 산학 협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냉매 기반 냉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 고효율 반도체 박막 펠티어 소자를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노공학 기반의 ‘CHESS’ 박막 소재를 활용, 냉매 대신 전기만으로 냉각을 구현하면서 기존 대비 약 75%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 효과로 소재 사용량을 1/1000 수준으로 줄여 생산 비용과 환경 영향을 대폭 감소시켰다. 펠티어 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의 한 쪽은 냉각되고 다른 쪽은 발열하는 원리를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이다. 전통적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체 기술 수요에 부합하며, 빠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 가전,

[빅테크칼럼] 머스크 xAI, 매크로하드 AI 벤처로 MS 정조준…"소프트웨어 기업 해체 선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자사의 인공지능 회사 xAI가 '매크로하드(Macrohard)'라는 새로운 AI 기반 소프트웨어 벤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매크로하드는 순수 AI만으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회사”라며, 수백 개의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 직접 도전한다고 발표했다. 매크로하드라는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마이크로’를 ‘매크로’로, ‘소프트’를 ‘하드’로 바꾼 말장난이자 도발적인 네이밍으로, 빌 게이츠와의 과거 공개 불화가 엿보이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xAI는 이 명칭으로 2025년 8월 1일 미국 특허청에 상표를 출원했으며, 자연어 처리, 생성 미디어 소프트웨어, 자동화 및 의사결정 지원 AI 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하는 기술 개발을 표방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 벤처의 핵심 경쟁력으로 ‘수백 개의 전문 코딩 및 이미지·비디오 생성·이해 AI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는 멀티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들 AI가 가상 환경에서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