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970억 달러 규모의 오픈AI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에게 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알려졌다.
CNBC, 로이터, 테크크런치 등 주요 해외 언론과 법원 서류에 따르면, 이같은 사실이 법원 제출 서류를 통해 공개되면서 AI 산업의 권력 다툼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이번 소송과 관련한 법원 기록에 따르면,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잠재적인 금융 협약이나 투자”에 관해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메타나 저커버그는 머스크의 인수 의향서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와 저커버그의 협력 가능성은 AI 업계 내 양대 거물 사이의 경합 구도를 극명히 보여준다.
메타는 자사 AI 역량 강화를 위해 140억 달러 규모로 스케일AI에 투자하고, 오픈AI 핵심 인재인 챗GPT 공동개발자 셩자오(Shengjia Zhao)를 수석 과학자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셩자오는 메타의 최첨단 AI 연구소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책임자로서 저커버그와 직접 협업 중이며, 메타는 AI 인프라에 수백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을 밝혔다.
머스크가 970억 달러 인수를 제안한 시점은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 주도하는 40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자금 유치 라운드를 마무리하던 2025년 2월이었다. 오픈AI 측은 머스크의 제안을 공식 거부했고, 샘 올트먼 CEO는 X(구 트위터)에 “고맙지만 사양한다”며 “머스크가 원한다면 트위터를 97억4000만 달러에 사는 것도 고려하겠다”는 재치 있는 답변을 내놓았다.
머스크는 오픈AI가 본연의 비영리 및 오픈소스 원칙에서 벗어나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긴밀한 협력 아래 영리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반발하며, 직접 xAI를 세워 오픈AI와 정면 경쟁에 나섰다. 법적 다툼도 격화되어 머스크는 오픈AI가 계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고, 오픈AI는 반소를 제기하며 머스크가 공개·소셜미디어를 통해 회사를 괴롭히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이번 법적 공방에서 오픈AI가 메타에 발부한 소환장은 머스크와 저커버그 간의 협력 정황을 밝히려는 의도로, 메타는 내부 문서 제출에 반대하며 관련 정보는 머스크 측에서 확보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AI 산업에서 주요 기업들이 기술 개발과 시장 지배권을 놓고 벌이는 숨 가쁜 경쟁과 잠재적 연대 가능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향후 AI 생태계의 방향성과 권력 구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