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7.0℃
  • 구름많음울산 9.4℃
  • 구름많음광주 7.2℃
  • 흐림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4.0℃
  • 구름많음제주 15.5℃
  • 맑음강화 8.1℃
  • 맑음보은 3.0℃
  • 맑음금산 2.3℃
  • 흐림강진군 5.9℃
  • 구름많음경주시 6.8℃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xAI, 구글·메타에서 AI 슈퍼스타 54명 영입…AI 인재전쟁 불붙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구글과 메타에서 총 54명의 핵심 AI 엔지니어를 공격적으로 영입하며 AI 인재 전쟁에 새로운 불씨를 지폈다.

 

The Information, Times of India, Mitrade 등의 보도에 따르면, 2023년 이후 xAI에 합류한 구글 출신 엔지니어만 최소 40명에 달하며, 2025년 1월 이후 메타 출신도 14명이나 영입된 것으로 언론은 보도했다. 특히 19명의 구글 엔지니어가 2024년에 xAI에 합류했고, 인재 영입 공세는 올해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머스크는 X(구 트위터)를 통해 “경쟁사가 제공하는 미친 듯이 높은 초기 보상 없이도, 실력에 따른 초실력주의(hyper merit-based) 문화가 xAI의 섭외 성공 비결”이라고 직접 밝힌 바 있다.

 

xAI는 개개인의 탁월한 성과에 따라 상당한 보상 인상 및 시가총액 성장의 잠재력을 제시하며, 엔지니어들의 동기 부여와 충성도를 확보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머스크는 “많은 메타 출신 엔지니어들이 xAI에 합류하고 있고, xAI가 메타보다 훨씬 더 높은 시장가치 성장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해외 주요 매체에 따르면, xAI는 2025년 1월 이후 메타에서 14명의 AI 인재를 적극 영입했으며, 이는 실리콘밸리 전역에서 벌어지는 AI 핵심 인재 쟁탈전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반면 메타도 100명 이상의 오픈AI 직원에 직접 접촉해 10명을 영입하는 등, 빅테크 기업 사이의 인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xAI의 슈퍼컴퓨터 ‘콜로서스(Colossus)’가 지원하는 AI 모델 ‘Grok 4’는 2025년 7월 출시 당시 1.7조 파라미터와 최고 수준의 추론능력, 25만6000토큰 콘텍스트 윈도우, 금융·의료·법률·과학 등 핵심 분야의 깊은 지식 네트워크를 갖춘 멀티모달 모델로 눈길을 끌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실력 중심의 인재 유치 전략과 결합돼, xAI가 오픈AI, 구글, 메타 등 기존 빅테크 기업들을 압도하는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그러나 공격적인 영입만큼 내부 도전도 만만치 않았다. xAI 공동창립자 이고르 바부시킨(Igor Babuschkin)은 8월 “인공지능 안전성에 집중하기 위해” 회사를 떠났다고 밝혔다. 또 공동창립자인 카일 코식(Kyle Kosic)은 오픈AI로, 인프라 엔지니어링 책임자 우다이 루다라주(Uday Rudarraju)도 이직하며 내부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빅테크 업계 전문가들은 “초실력주의 문화와 기업 미션, 차별화된 보상 구조가 AI 핵심 인재 유치의 결정적 요소”라고 평가하며, xAI와 같은 혁신 기업의 등장이 글로벌 AI 생태계 경쟁의 판도를 뒤바꾸고 있다고 진단했다.

 

AI 산업 패러다임의 중심에서 xAI가 보여주는 인재 확보와 기술 혁신의 시너지는 앞으로도 전 세계 인공지능 경쟁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챗GPT 週 8억명 건강비서 도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헬스케어 분야에 본격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의료 및 건강 관련 핵심 인재 영입과 업계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이터, 비즈니스 인사이더, 아크리브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6월 미국 최대 의료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독시미티' 공동 창업자이자 의사인 네이트 그로스를 헬스케어 전략 책임자로 영입한 데 이어, 8월에는 메타(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에서 제품 총괄 경력을 가진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데려왔다. 이들 리더십 하에 오픈AI는 의료 진단 보조부터 신약 개발 AI 도구 협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 이용자 규모는 주간 8억명에 육박하며,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도 “건강 관리 분야에서 GPT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헬스케어 시장 진출은 단순한 AI 인프라 공급을 넘어, 의료 현장과 소비자에 직접 다가가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최근 오픈AI는 케냐 의

[빅테크칼럼] 테슬라 전기차 핵심 임원 대거 퇴사, 왜?…사이버트럭·모델Y 판매 부진이어 경영까지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해온 테슬라에서 주요 전기차 사업 핵심 임원들이 잇달아 퇴사하고 있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버트럭과 모델Y, 모델3 등 주력 차량을 총괄하며 테슬라의 미래 전략을 이끌던 간판 임원들이 한꺼번에 회사를 떠나면서 조직 내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판매 부진과 맞물려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해석된다. 로이터, 블룸버그,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트럭 개발과 양산을 책임졌던 시단트 아와스티는 8년간 몸담은 테슬라를 떠난다고 2025년 11월 9일 본인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밝혔다. 아와스티는 2017년 인턴으로 입사해 사이버트럭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지난 7월부터는 주력 세단 모델3 담당으로 이동해 있었다. 같은 날 모델Y 담당 임원 이매뉴얼 라마키아도 8년간 근무를 마치고 퇴사 소식을 전했다. 두 임원 모두 구체적인 퇴사 이유나 향후 행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퇴사는 2024년부터 이어진 경영진 및 기술 인력들의 대거 이탈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데이비드 라우가 AI 기업 오픈AI로 이직했으며, 로봇 사업부 옵티머스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