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애플 AI뉴스가 가짜뉴스라고?…애플 인텔리전스 '오보 생성'으로 뭇매

애플, 메일·뉴스 등 앱 푸쉬 알림 등 AI가 요약
뉴스 내용 왜곡 빈번…국경없는 기자회 "기능 삭제해야" 주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애플(Apple)이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통해 아이폰에 제공하고 있는 뉴스 알림 요약 기능이 내용을 왜곡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미국 IT매체 맥루머스에 따르면, 애플이 최근 영국에서 출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가 잘못된 정보를 생성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최근 애플 인텔리전스는 영국 BBC 앱 뉴스 요약을 통해 ,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CEO 브라이언 톰슨의 살인 혐의로 체포된 루이지 망지오네(Luigi Mangione)가 자살했다는 알림을 띄웠다. BBC 뉴스가 마치 망지오네가 자살했다는 내용을 보도한 것처럼 알림을 요약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BBC는 즉각 애플 측에 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아직 공식적인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이다.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RSF, Reporters Without Borders)는 애플이 출시한 애플 인텔리전스 알림 기능을 두고 "생성 AI 기능이 신뢰할 수 있는 저널리즘을 위협하고 있다"라며 해당 기능을 삭제할 것을 촉구했다. RSF 기술·저널리즘 팀의 빈센트 베르티에(Vincent Berthier)는 "AI는 확률에 기반한 기계이며, 사실은 단순히 주사위를 던져 결정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애플은 이 기능을 즉각 제거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앞서 애플은 최근 iOS 18.2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국가에 애플 인텔리전스 알림 요약 기능을 출시했다. 애플의 자체 AI가 푸시 알림의 주요 세부 정보를 요약해 표시해주는 기능이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뉴스 뿐만 아니라 이메일, 메시지 등 문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알림을 제공해 다수 이용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문제는 뉴스 매체의 보도 내용을 왜곡해 제목을 추출하거나 잘못된 출처를 제공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애플 인텔리전스의 오류는 BBC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지난 11월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의 알림에서도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가 체포됐다는 잘못된 정보가 요약되어 제공된 사례가 발견됐다. 

 

오픈AI의 검색 챗봇 ‘챗GPT 서치’와 같은 다른 생성형 AI의 요약 서비스에서도 오류가 빈번하다. 콜롬비아대학교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개 매체에서 200개의 인용문을 선택해 챗GPT에 출처를 식별하도록 요청한 결과 많은 경우 잘못된 출처를 제공하거나 허구의 정보를 섞어 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

[빅테크칼럼] 美 CEO "정리해고를 AI 성공의 증거·AI가 해고 합리화 명분"…도덕적 부담에서 전략적 이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촉발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위기 신호’에서 ‘경영 성과’로 탈바꿈하며 2025년 미국 기업 고용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CEO들이 인력 감축을 더 이상 조직의 위기 신호로 숨기지 않고, 오히려 AI 성공과 효율화의 지표로 짜임새 있게 포장해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BC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기업 경영진들은 정기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혁신”과 “고효율 경영 체계”를 강조하며, 전례 없는 속도의 인력 감축 데이터를 동반해 이를 ‘전략적 성취’로 내세우고 있다.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버라이즌…“효율 우선, headcount는 줄일수록 좋다” 웰스파고(CEO 찰리 샤프)는 최근 5년 만에 직원 수를 23% 줄였고, 20분기 연속 감축 행진을 이어갔다. 2024년 6월 기준 직원은 22만2544명으로, 2023년 대비 약 3300명, 2019년 이후로는 약 6만7000명 감축됐다. 웰스파고 샤프 CEO는 “자연 감원을 ‘우리의 친구로’ 삼아, AI 기반 솔루션 도입으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뱅크 오

[핫픽] 이재용과 머스크의 궁합 조사해보니 '92%'…테슬라發 23조원 잭팟의 숨은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8일 삼성전자와 테슬라 간에 성사된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계약이 글로벌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 금액은 최소치에 불과하며, 실 생산량은 몇 배 더 늘어날 것”이라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힌 이후, 이번 계약이 갖는 산업적 파급력과 전략적 의미에 대해 국내외 매체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뜨거운 반향 속에, 현장에는 이번 협업을 위트 있게 풍자한 한 장의 이미지가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았다. 해당 이미지는 삼성전자와 머스크(테슬라)를 ‘이름 궁합 테스트’ 형식으로 92%의 높은 궁합률을 기록하며, ‘머스크 님께 일촌을 신청합니다’라는 메시지와 귀여운 그래픽으로 디자인됐다. 이러한 이미지는 실생활의 연애, 우정처럼 기업간 협력도 궁합이 중요하다는 시대적 감각을 익살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화제의 이미지는 본래 연인·친구 궁합 테스트로 활용되는 ‘이름 궁합’ 방식을 변형했지만, 실제 산업 협업에서 '궁합 지수'가 현실적 전략요소로 부각된 사례는 적잖다. 포브스, CNBC 등의 주요 외신들도 2024년 6월 “테슬라와 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