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애플, 공중서 작동하는 차세대 광학 '애플 펜슬' 특허 획득…“아이패드 넘어 모든 기기로 확장” 공간 컨트롤러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애플이 아이패드 터치스크린에 의존하지 않고 사실상 모든 표면과 공중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차세대 애플 펜슬 특허(특허명 "Input Device With Optical Sensors")를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최근 승인받았다.

 

이번 특허는 기존 애플 펜슬과 달리 3차원 공간 내 움직임, 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추적하는 두 가지 첨단 광학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 이로써 애플 펜슬은 최대 10cm 높이의 공중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며, 나무, 종이, 벽 등 터치스크린이 아닌 다양한 재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Patently Apple, Ainvest, Moneycontrol 등 해외 IT 전문 매체들이 보도했다.

 

혁신적 광학 센서 기술과 작동 원리

 

이번 특허 기술은 옵티컬 플로우 센서방식이다. 컴퓨터 마우스에 쓰이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빛의 프레임 간 변화를 분석해 움직임을 감지한다. 또 레이저 스펙클 플로우 센서가 있어 레이저의 미세한 반사 패턴 변화를 추적해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한다.

 

게다가 스타일러스 끝에 회전하는 트랙볼이 내장되어 있으며, 기존 기계식 추적 대신 내부 광학 센서가 볼의 위치 변위를 감지해 긁힘과 오염을 줄이고 다양한 표면에서 신호 정확도를 높인다.

 

이 외에도 힘 감지기, 관성 측정 장치(IMU), 머신 비전 기술과 결합해 제스처 인식, 필기 감지, 3D 객체 생성 등 고도화된 입력 기능을 구현할 계획이다.

 

 

아이패드 넘어 아이폰·맥북·애플워치·비전 프로까지


특허에 포함된 애플의 일러스트는 이 차세대 애플 펜슬이 아이폰, 맥북 프로, 애플 워치, 그리고 공간 컴퓨팅 기기인 비전 프로 헤드셋과도 연동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2007년 스티브 잡스가 “누가 스타일러스를 원하냐”고 말한 이후 애플이 스타일러스 지원을 아이폰에 제공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공간 컨트롤러로서의 활용도 기대된다. 파일 탐색, 커서 제어, 오디오 조정, 전화 걸기 등 시스템 수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애플의 공간 컴퓨팅 전략과도 부합한다. 특히 2025년 WWDC에서 공개된 비전 프로용 로지텍 뮤즈 공간 스타일러스와 유사한 방향성을 가진다.

 

 

기술적·상업적 전망과 과제


특허 출원이 상업적 제품 출시를 보장하지는 않으나, 애플이 입력 장치 혁신에 지속적으로 투자 중임을 시사한다. 차세대 애플 펜슬은 터치스크린 맥북 개발이나 아이폰 스타일러스 통합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기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현재 애플 펜슬은 아이패드 전용으로, 2세대 모델은 최대 12mm 높이에서의 '호버' 기능을 지원하지만, 이번 특허는 이를 훨씬 확장한 개념이다.

 

애플의 이번 차세대 애플 펜슬 특허는 스타일러스의 전통적 한계를 뛰어넘어, 공중과 다양한 비터치 표면에서 작동하는 혁신적 입력 장치로서 미래 공간 컴퓨팅 시대의 핵심 도구가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아이패드를 넘어 아이폰, 맥북, 애플 워치, 비전 프로 등 애플 생태계 전반에 스타일러스 활용을 확대하는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다만, 특허가 실제 제품 출시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며, 향후 애플의 공식 발표와 제품 출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골드만삭스, 주니어뱅커에 ‘분기별 충성 서약’ 요구 "인재 유출 막아라"…월가 인재전쟁 ‘임계점’ 도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골드만삭스가 투자은행(IB) 부문 주니어 뱅커들을 대상으로 분기마다 ‘충성 서약’을 요구하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한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신입 애널리스트들에게 3개월마다 “경쟁사로부터 일자리 제안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증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 조치는 최근 JP모건이 미래 시작 예정인 사모펀드 오퍼를 수락한 1년차 애널리스트를 해고하겠다고 경고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월가의 젊은 인재 쟁탈전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사이클’ 사모펀드 채용, 역대 최단기…은행들 “교육도 안 끝났는데 스카웃” 사모펀드(PE) 업계의 조기 채용 관행은 최근 몇 년 사이 극적으로 앞당겨졌다. 2024년에는 신입 IB 애널리스트들이 입사한 지 한 달도 안 돼 PE 어소시에이트 채용 리크루팅이 시작됐고, 이는 역대 가장 빠른 시점이었다. 실제로 블랙스톤, 아폴로, KKR 등 주요 PE들은 2026년 시작 포지션을 이미 2024년 중반에 채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일부 주니어 뱅커들은 사내 교육 세션을 건너뛰고 PE 면접 준비에 몰두하는 등 은행 내부 혼란도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아폴로 글로벌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