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이슈&논란]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참사…뇌물과 인허가 비리, 시행사 내분까지 '사면초가'

2025년 2월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화재로 6명 사망, 27명 부상
공정률 91% 미만 상태에서 3000만원 뇌물 등으로 허위 감리보고서 제출, 사용승인
시행사 회장은 혐의 부인, 간부들은 인정하며 내부 책임 공방
경찰, 시행사·시공사·공무원 등 29명 입건, 8명 구속, 44명 불구속
안전관리 부실, 인허가 비리, 경제적 손실 우려 등 복합적 구조적 문제 드러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2월 발생한 대형 화재는 단순 산업재해를 넘어, 인허가 비리와 뇌물 제공, 그리고 시행사 내부의 책임 공방까지 얽힌 복합적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다.

 

6명 사망·27명 부상…대형 참사로 드러난 안전관리 부실

 

2025년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작업자 6명이 숨지고 27명이 연기 흡입 등 부상을 입었다. 당시 현장에는 780여명의 하청업체 근로자들이 근무 중이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의 합동 감식 결과, 화재는 B동 1층 배관 관리실(PT룸)에서 용접 작업 중 튄 불티가 가연성 단열재에 옮겨붙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장에는 화재 감시자와 안전관리자가 부재했고, 불티 비산 방지 덮개와 방화포 등 기본적인 안전장치조차 갖춰져 있지 않아 인명 피해가 더욱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동화재신고장치 역시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준공률 91% 미만에도 허위 감리보고서…뇌물·로비로 인허가 통과


경찰 수사에 따르면, 시행사와 시공사는 공정률이 85~91%에 불과한 상태에서 준공 승인을 받기 위해 감리업체를 회유·압박하거나, 3000여만원의 뇌물을 제공해 허위 감리보고서를 기장군청과 소방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소방시설이 미비해 사용 승인이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감리업체 소방담당자에게 1억원을 주겠다는 확약서까지 작성하고, 현금 3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이 확보됐다.

 

이밖에도 시행사 측은 기장군청 고위 공무원에게 골프 접대, 소방서 간부에게 고급호텔 식사권(장당 15만원, 총 124장 중 57장 사용)을 제공하는 등 각종 로비를 벌인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은 시행사, 시공사 대표와 기장군청·소방 공무원 등 29명을 입건해 조사 중이며, 관련 혐의로 8명이 구속, 44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시행사 내부 ‘책임 공방’…회장은 부인, 간부들은 인정


최근 부산지법 동부지원에서 열린 공판준비절차에서 시행사 루펜티스(주) 김대명 회장은 뇌물 공여 등 모든 혐의를 전면 부인한 반면, 본부장과 이사는 뇌물 수수 사실을 인정하며 “김 회장의 지시였다”고 주장해 내부 갈등이 표면화됐다. 김 회장 측은 오히려 본부장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 피고인들 간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의 공식 시행사인 루펜티스(주)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에서 반얀트리 브랜드의 고급 리조트 개발을 주도했다. 

 

 

경제적 손실 우려가 불법행위로…프로젝트파이낸싱 압박


시행사와 시공사는 준공 지연시 하루 2억9000만원의 지체상금과 325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회수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해 불법 로비와 허위 서류 제출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미완공 상태(공정률 91%)에서 2024년 12월 19일 사용승인을 받았다.

 

전문가 “인허가·안전관리 법제도 개선 시급”


경찰과 전문가들은 “현장 확인 없는 서류심사만으로 준공승인이 가능한 현행 건축법 등 관련 제도의 허점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며, 소방시설 완공검사 등 인허가 과정에서의 실질적 현장 확인 의무화와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건물 스스로 냉각시키는 '슈퍼쿨 시멘트' 개발…"도시 열섬 완화와 에너지 절감의 새 장"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스스로 건물을 시원하게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유형의 시멘트가 개발됐다. 중국 동남대학교와 미국 퍼듀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한 독창적인 ‘슈퍼쿨 시멘트’가 전 세계 도시의 건물 냉방과 기후변화 대응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 해당 시멘트는 태양광 반사율 96.2%, 적외선 방출률 96%를 기록하며, 기존 콘크리트 대비 표면 온도를 최대 5.4°C(9.7°F) 낮추는 기능을 입증했다. 실제 건물 옥상 실험에서는 일반 콘크리트가 59°C까지 치솟는 것과 달리, 슈퍼쿨 시멘트는 훨씬 낮은 온도를 유지했다. 이 연구는 2025년 8월 Science Advances에 게재됐으며, Tech Xplore, New Scientist 등의 해외매체도 보도했다. 이 소재의 핵심은 표면에 형성된 에트링가이트 결정이 햇빛을 반사하는 ‘거울’ 역할과 동시에 대기로 열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기존 시멘트가 태양열을 흡수해 건물을 가열하는 것과 달리, 이 시멘트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냉방장치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도심 열섬 현상으로 인해 도시 내 온도는 주변 지역보다 6~8°F 높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