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이슈&논란] 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플라스틱 부품 결함’에 3만대 전량 리콜…"중국제조, 관리미흡, 사후리콜 사각지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품질 결함이 확인된 오르테(㈜삼부자), 소베맘(㈜제이드앤인터내셔날) 젖병세척기 2종에 대해 2025년 8월 28일부터 자발적 전량 리콜을 실시한다.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해당 젖병세척기의 내부 플라스틱 부품이 마모·균열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으로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피해 신고가 수백건 접수된 데다, 플라스틱 파손물이 아기 젖병에 남아 미세플라스틱 유입 우려까지 제기된 점을 심각하게 판단했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은 오르테 ZMW-STHB03(OBC-80A)와 소베맘 ZMW-STHB01(SBM-DW01)으로, 각각 2023년 12월~2025년 2월, 2023년 12월~2025년 3월 사이 생산된 시리얼넘버 제품은 환불·교환이 가능하다. 그 외 동일모델 전체에 대해선 무상 수리(부품 제공) 조치가 이뤄진다. 이번에 리콜되는 젖병세척기는 총 3만403대에 달한다.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이번 문제로 7월 17일부터 8월 12일까지 약 한 달 사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젖병세척기 피해 상담만 451건에 이른다. 이 중 소베맘 관련 상담이 269건, 오르테가 165건, 기타 브랜드는 17건으로 집계됐다. 해당 사태로 인해 피해자 커뮤니티 회원 수도 6000명을 돌파하며 집단 불안이 고조됐다.

 

업체 측은 문제를 인지한 이후에도 공지를 통한 적극적 안내나 신속한 공식 리콜 대신, 뒤늦게 부품 교체와 제한적 환불에 머물렀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국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두 제품의 플라스틱 내부 부품은 세척 및 건조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고온다습 환경과 진동에 노출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어 마모·파손이 발생했다. 문제가 된 두 제품 모두 안전확인 의무 이행 후 시중에 유통된 제품이나, 안전관리항목이 아닌 품질 불량에 의한 사건임이 확인됐다.

 

주목할 점은 국내 젖병세척기 사건의 대부분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중국에서 제조됐다가 국내로 들여와 판매된 제품이라는 사실이다. 이번 오르테와 소베맘 모두 OEM 생산 후 수입된 제품이다.

 

덕분에 관리 미흡과 사후 리콜 사각지대 문제가 동시에 불거졌다. 일부 제품은 안전확인대상 어린이제품이 아닌, 전기생활용품 안전관리 범주로 인증을 받으면서, 실제 아기들이 사용하는 제품임에도 안전 관리가 미흡하다는 구조적 한계가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향후 무상수리 대상 제품의 결함 재발을 집중 점검함과 동시에, 시중 유통 중인 젖병세척기 전체에 대해 미세 플라스틱 검출 등 건강 위해 가능성을 조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단체들은 “유아용품은 더욱 엄격한 품질·안전 관리가 이뤄져야 하며, 이번 사태는 제조업체와 정부 모두 정책적 허점을 보완해야 할 계기”라고 지적했다.

 

국내외 현황을 보면, 젖병세척기 및 영유아 가전에서 플라스틱 부품 결함 등으로 인한 대규모 리콜이 공개적으로 발표된 사례는 한정적이며, 현 국내 사태와 같이 ‘미세플라스틱 유입’ 가능성까지 제기된 경우는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미국·유럽 시장에서도 영유아 제품의 안전 강화 규제와 리콜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나, 리콜에는 종종 수천~수만대에 그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일부 국가에서는 아기 건강에 직접 영향을 주는 소재 관련 결함이 확인될 시 즉각적인 시장 퇴출 조치가 이뤄지기도 한다.

 

이처럼 아기 건강과 직결되는 생활가전의 대규모 리콜은 제품 안전체계와 사후관리에 대한 근본적 재정비 필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목표가 11만1000원 상향"…인공지능 수요확대·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월가의 대표적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2025년 10월 10일,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4% 상향한 11만1000원으로 발표했다. 이는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와 메모리 반도체 D램 및 낸드플래시 시장의 회복과 공급 부족 전망에 따른 것이다. 해당 목표가는 삼성전자가 앞으로 약 18% 주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 분석에 따르면 AI 산업의 확대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지배력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 공급이 부족해 가격이 상승, ‘슈퍼사이클’ 진입을 예상한다. 2025년 10월 10일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6.7%상승한 9만4400원을 기록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목표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삼성전자 목표가를 11만5000원으로 설정하며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2026년 이후 실적 기대감을 강조했다. 이는 AI 관련 반도체 수요뿐 아니라 기존 스토리지 수요가 낸드플래시 SSD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2025년

[The Numbers] 프랜차이즈 본사매출 11% '쑥' vs 가맹점 –7.6% '쏙'…본사-가맹점‘성장 불균형’심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업계의 ‘성장 불균형’이 한층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후인 2022년부터 지난해 까지 가맹본사 매출액이 10.8% 증가하는 동안 가맹점들의 평균 매출액은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 치킨, 피자, 편의점 업종에서 가맹점수는 증가하는데 점포당 매출액은 감소하는 시장 포화의 전형적 문제를 드러냈다. 10월 1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 시스템과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프랜차이즈 대표격인 커피, 치킨, 피자, 편의점, 제과제빵, 외식, 화장품 등 7개 업종의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3년치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해당 조사는 코로나 팬데믹이 종료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비교가능한 프랜차이즈 115개 가맹본부에 속한 9만2885개 가맹점들의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 본사 매출액과 영업이익 등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 국내 대표 7개 업종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는 2022년 8만7108개에서 지난해 9만2885개로 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은 3억2723만원에서 3억248만원으로 -7.6% 감소했다. 이 기간 가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