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2.0℃
  • 맑음강릉 15.3℃
  • 연무서울 13.2℃
  • 연무대전 13.7℃
  • 맑음대구 14.1℃
  • 맑음울산 15.9℃
  • 구름조금광주 15.1℃
  • 맑음부산 15.5℃
  • 맑음고창 12.9℃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11.1℃
  • 맑음보은 13.2℃
  • 맑음금산 13.6℃
  • 맑음강진군 14.9℃
  • 구름많음경주시 12.2℃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인도, 미국 스마트폰 수출 1위 국가로 "중국 추월 세대교체"…이유는 애플의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도가 2025년 2분기 미국 스마트폰 수출 1위 국가로 중국을 제치고 이름을 올렸다.

 

시장조사기관 Canalys와 Statista, CBNC 등 복수의 글로벌 미디어 보도에 따르면 인도산 스마트폰의 미국 수출 점유율은 2025년 2분기(4~6월) 기준 44%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불과 1년 전(2024년) 13%에 불과하던 인도가 ‘대이변’을 만들어낸 것이다. 반면 중국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61%에서 25%로 급락했다. 베트남도 이번 변화의 수혜국으로 부상하며 30%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글로벌 공급망, 인도 중심으로 재편


인도 스마트폰 제조업의 대미 수출량은 1년 만에 240% 급증했고, 2025년 상반기 수출량만 3900만대를 기록했다. 인도의 전체 모바일 생산량도 2014-15년 1.8만 크로르(약 2.06억 달러)에서 2024-25년 54.5만 크로르(약 624억 달러)로 폭증했다. 스마트폰 수출액은 127배 뛰어 2.0만 크로르(약 22.9억 달러)까지 성장했다.

 

애플,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으로 제조지 대이동


이 변화의 중심에는 애플(Apple)이 있다. 애플은 미국-중국 간의 무역갈등 심화, 관세 압박에 대응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가속화했다. 2025년 상반기 애플의 인도 수출량은 20.4만 대를 넘어 1년 전 대비 53~57% 증가했다.

 

2025년 상반기 인도산 아이폰의 77%가 미국 시장으로 수출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54%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특히 아이폰 16이 인도의 전체 스마트폰 수출 중 18%를 차지하며 인도 수출의 대표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제조기업 타타(Tata)는 2025년 1~5월 기준 7.5만대라는 기록적인 실적을 올리며 폭스콘에 이어 주요 생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삼성·모토로라 등 스마트폰 제조공장 이전 행렬 가속


애플 외에도 삼성은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이 268% 증가했고, 모토로라 역시 미국행 출하량이 7배 가까이 뛰면서 거의 95%의 출하량을 미국에 집중했다. 베트남도 공급망 이전 수혜국으로 등극하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30%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인도에서는 폭스콘이 97%의 아이폰 생산분을 미국에 수출했고, 타타 역시 주요 생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인도 제조 생태계의 질적 도약


인도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등 제조업 육성 정책 효과도 절대적이었다. 2014-15년 2개에 불과하던 생산공장 수는 2024-25년에는 300개로 150배 증가했다.

 

전체 전자제품 및 모바일 제조 수출액은 4.35억 달러에서 37.47억 달러로 약 8.6배, 휴대폰 부문만 따지면 127배 신장됐다. 수입의존도 역시 75%에서 0.02%로 사실상 자립형 구조 전환에 성공했다.

 

관세·정책 불확실성, 미래에 변수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8월 인도산 상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스마트폰은 상무부의 조사 완료까지 한시적으로 면제되어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을 제조할 경우 별도의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어, 연말 정책 방향성에 따라 업계 리스크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는 국내외 제조사들이 앞으로도 공급망 재편과 정책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