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인도, 미국 스마트폰 수출 1위 국가로 "중국 추월 세대교체"…이유는 애플의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도가 2025년 2분기 미국 스마트폰 수출 1위 국가로 중국을 제치고 이름을 올렸다.

 

시장조사기관 Canalys와 Statista, CBNC 등 복수의 글로벌 미디어 보도에 따르면 인도산 스마트폰의 미국 수출 점유율은 2025년 2분기(4~6월) 기준 44%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불과 1년 전(2024년) 13%에 불과하던 인도가 ‘대이변’을 만들어낸 것이다. 반면 중국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61%에서 25%로 급락했다. 베트남도 이번 변화의 수혜국으로 부상하며 30%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글로벌 공급망, 인도 중심으로 재편


인도 스마트폰 제조업의 대미 수출량은 1년 만에 240% 급증했고, 2025년 상반기 수출량만 3900만대를 기록했다. 인도의 전체 모바일 생산량도 2014-15년 1.8만 크로르(약 2.06억 달러)에서 2024-25년 54.5만 크로르(약 624억 달러)로 폭증했다. 스마트폰 수출액은 127배 뛰어 2.0만 크로르(약 22.9억 달러)까지 성장했다.

 

애플,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으로 제조지 대이동


이 변화의 중심에는 애플(Apple)이 있다. 애플은 미국-중국 간의 무역갈등 심화, 관세 압박에 대응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가속화했다. 2025년 상반기 애플의 인도 수출량은 20.4만 대를 넘어 1년 전 대비 53~57% 증가했다.

 

2025년 상반기 인도산 아이폰의 77%가 미국 시장으로 수출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54%에서 크게 오른 수치다. 특히 아이폰 16이 인도의 전체 스마트폰 수출 중 18%를 차지하며 인도 수출의 대표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제조기업 타타(Tata)는 2025년 1~5월 기준 7.5만대라는 기록적인 실적을 올리며 폭스콘에 이어 주요 생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삼성·모토로라 등 스마트폰 제조공장 이전 행렬 가속


애플 외에도 삼성은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이 268% 증가했고, 모토로라 역시 미국행 출하량이 7배 가까이 뛰면서 거의 95%의 출하량을 미국에 집중했다. 베트남도 공급망 이전 수혜국으로 등극하며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30%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인도에서는 폭스콘이 97%의 아이폰 생산분을 미국에 수출했고, 타타 역시 주요 생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인도 제조 생태계의 질적 도약


인도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등 제조업 육성 정책 효과도 절대적이었다. 2014-15년 2개에 불과하던 생산공장 수는 2024-25년에는 300개로 150배 증가했다.

 

전체 전자제품 및 모바일 제조 수출액은 4.35억 달러에서 37.47억 달러로 약 8.6배, 휴대폰 부문만 따지면 127배 신장됐다. 수입의존도 역시 75%에서 0.02%로 사실상 자립형 구조 전환에 성공했다.

 

관세·정책 불확실성, 미래에 변수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8월 인도산 상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스마트폰은 상무부의 조사 완료까지 한시적으로 면제되어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을 제조할 경우 별도의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어, 연말 정책 방향성에 따라 업계 리스크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는 국내외 제조사들이 앞으로도 공급망 재편과 정책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