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xAI, 멤피스 데이터센터 ‘무허가 대기오염’ 소송당해…AI 혁신과 환경정의 '충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기업 xAI가 미국 대표 인권단체 NAACP와 환경단체들로부터 ‘대기오염’ 소송에 직면했다.

 

멤피스 지역 흑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아이들 생명을 위협하면서 몇 푼 준다고?”라는 분노가 터져나오고 있다. 이번 사안은 AI 혁신의 이면에 드리운 환경정의와 지역사회 건강권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다.

 

xAI 멤피스 데이터센터, ‘무허가’ 가스 터빈 35기 가동…대기오염 논란

 

xAI는 2024년 6월부터 테네시주 멤피스 남부에 세계 최대 규모의 AI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 ‘콜로서스(Colossus)’를 가동 중이다. 이 시설은 전력 수요가 막대해 자체적으로 35기의 메탄가스 발전 터빈을 설치, 가동하면서 연간 1200~2000톤의 질소산화물(NOx) 등 유해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이 지역은 이미 미국 내 천식·호흡기 질환 비율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NAACP와 SELC(Southern Environmental Law Center)는 “기존에도 산업오염 부담이 큰 흑인 커뮤니티에 추가적 건강위험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클린에어법’ 위반…허가 없는 발전기, 최적 방지기술 미적용

 

문제의 핵심은 xAI가 연방 및 지역 대기환경보호법(Clean Air Act)상 필수적인 ‘사전 허가’ 없이 발전용 가스 터빈을 설치·운영했다는 점이다. SELC와 NAACP는 “xAI가 364일 무허가 운영이 허용된다는 예외조항을 주장하지만, 대형 터빈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최적 방지기술(Best Available Control Technology)도 적용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항공 촬영과 열화상 분석 결과, 35기 중 33기가 실제로 가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터빈은 인근 가스발전소나 정유공장보다 더 많은 오염물질을 내뿜는 것으로 추정된다. SELC는 “xAI가 설치한 터빈은 잠재적으로 연간 2000톤 이상의 NOx를 배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환경정의” 대 “경제효과”…지역사회 반발과 xAI의 반론

 

멤피스 흑인 커뮤니티와 환경단체들은 “이미 환경오염에 시달리는 지역에 또다시 대규모 오염원을 들여왔다”며 ‘환경 인종차별(Environmental Racism)’을 강하게 성토했다. NAACP는 “대기업이 흑인 커뮤니티를 장애물쯤으로 취급하고, 무허가로 오염을 일으키는 관행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xAI 측은 “임시 발전설비는 모든 관련법을 준수하고 있다”며, “35만 달러 규모 변전소, 8000만 달러 규모 수처리장 등 지역 인프라 투자와 수백 개 일자리 창출, 수천만 달러 세수 증가 등 경제적 효과를 강조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와 환경단체는 “건강권 침해 앞에 경제적 이익은 의미가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법적 쟁점과 전망…‘AI 데이터센터’와 환경규제의 충돌

 

SELC와 NAACP는 2025년 6월 17일 xAI에 60일 내 소송 예고장을 발송, “허가 없는 발전기 가동, 오염물질 방지기술 미적용, 지역주민 건강권 침해 등 다중 위법”을 주장했다. 'Clean Air Act' 위반이 인정될 경우, xAI는 하루 2만5000달러의 벌금과 운영중단 등 강력한 제재에 직면할 수 있다.

 

이 사안은 AI·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센터 에너지 수요와 환경규제, 지역사회 건강권, 환경정의 등 복합 이슈가 충돌하는 대표적 사례로 부상했다. 업계 전반에 “AI 혁신은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동반해야 한다”는 경종을 울리고 있다.

 

머스크 xAI의 멤피스 데이터센터 논란은 AI·디지털 혁신의 그늘에 가려진 ‘환경정의’와 ‘사회적 책임’ 문제를 극명하게 드러냈다.

 

대규모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와 환경영향 평가, 지역사회와의 소통·참여, 환경규제 준수 등 다각적 접근이 요구된다. 향후 소송 결과와 xAI의 대응은 글로벌 AI 산업의 지속가능성 논의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보그 표지 장식한 금발 모델은 AI"…패션업계 ‘진짜와 가짜’ 논란, 다양성 후퇴 우려까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호 보그(Vogue) 미국판에 게스(Guess)가 실은 광고에서 인공지능(AI)으로 창조한 금발 여성 모델이 등장해 전 세계 패션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화려한 줄무늬 원피스와 백을 든 금발의 완벽한 모델. 하지만 이 화보의 하단에는 ‘AI 모델’임이 조그맣게 적혀 있었고, 이 사실이 대중에 알려지며 논란은 일파만파로 확산됐다. “모델 일자리·현실감 위협”…독자들 항의 쇄도·구독 취소 미국 ABC뉴스, CNN, BBC 등 다양한 매체는 이번 보그의 AI 모델 게재가 현실 모델은 물론 포토그래퍼,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체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했다. 실제로 레딧 등 해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현실 여성의 자리를 가짜가 빼앗았다”, “이젠 잡지도 안 본다”며 보그 구독을 해지하는 독자까지 속출했다. 한 틱톡 영상은 270만뷰를 넘기며 AI 모델 논란에 불을 지폈고, “실제 여성도 충분하다. 이제는 실존하지도 않는 ‘완벽한’ 모습을 요구받게 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AI 모델, 왜 문제인가?…‘미의 기준’ 획일화·다양성 후퇴 비판 비판의 핵심은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금발·이상적 몸매’

테슬라 옵티머스에 삼성전기 ‘카메라의 눈’ 공급…머스크·이재용의 '미래동맹' 전기차·xAI 넘어 피지컬AI까지 '확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기가 테슬라와 손잡으며 차세대 인공지능(AI) 로봇 시장의 중심무대에 본격 진입했다.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삼성전기가 첨단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AI6 반도체 공급, 삼성전기는 ‘로봇의 눈’을 책임지며, 삼성그룹 전체가 테슬라의 미래 성장 실험장에 깊이 관여하게 됐다. 테슬라 로봇, 삼성전기의 기술을 장착하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2022년 1세대(젠1)를 시작으로 현재 3세대까지 진화한 첨단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다. 테슬라는 아직 외부 판매를 진행하지 않고 있지만, 이미 자체 공장 등에 배치해 실사용 테스트와 성능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25년 말부터 옵티머스 수천 대를 생산하고, 4년 이내 연간 100만 대에 이를 것”이라는 초대형 생산 계획까지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거대한 프로젝트에서 ‘환경을 보고 인식하는 눈’ 역할의 카메라 모듈은 삼성전기가 소니 이미지센서 기반 렌즈·구동부 등의 강점을 더해 직접 모듈화해 공급한다. 삼성전기는 이로써 테슬라 전기차에 이어 로봇까지 협업영역을 넓혀, 글로벌 로봇 카메라 시장 넘버원

저커버그, AI 스마트 안경으로 아이폰에 선전포고…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주도권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Meta)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과 웨어러블 하드웨어를 결합한 ‘스마트 안경’ 전략으로 애플 아이폰 등 현재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한 거대 플랫폼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BBC, CNBC, The Verge 등의 매체보도에 따르면, 메타의 이 전략은 스마트폰 이후 시대를 겨냥한 ‘포스트 스마트폰’ 비전으로, 향후 5년 내 시장 판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메타, AI·웨어러블에 수억 달러 투자…“스마트폰 이후 세상 연다” 메타는 최근 AI가 탑재된 스마트 안경 개발에 수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 이 스마트 안경은 음성과 영상 명령으로 정보를 즉시 제공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며, 일상 속 상호작용의 핵심 기기가 될 것으로 저커버그는 내다봤다. 특히 패션 브랜드 레이밴(Ray-Ban)과 협업한 ‘레이밴 스토리’가 메타의 초기 웨어러블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저커버그는 “스마트폰이 모든 것을 지배하던 시기를 넘어, AI와 웨어러블의 결합이 또 다른 혁명을 이끌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 이 판을 주도할 절호의 기회에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애플,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