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골드만삭스 "테슬라 목표주가, 300달러에서 395달러로 31.7% 상향"…'중립적 낙관론' 유지한 이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골드만삭스가 테슬라(Tesla, NASDAQ:TSLA)의 목표주가를 기존 300달러에서 395달러로 31.7% 상향 조정하며, 장기적 성장에 대한 기대와 단기적 실적 개선 모멘텀을 동시에 부각했다.

 

그러나 현재 주가 430달러(2025년 9월 18일 종가 기준) 대비 약 7% 하락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투자의견은 여전히 '중립(Neutral)'을 유지한다.

 

단기 모멘텀: 인도량과 머스크의 10억달러 매수

 

CNBC, New York Times, CNN, TipRanks, Barclays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자동차 인도량 전망이 잇따라 상향 조정되며 테슬라 주가에도 탄력이 붙었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 차량 인도량을 45만5000대로(컨센서스 43만9000대) 상향했고, 바클레이즈(Barclays)는 46만5000대로 내다봤다. 이는 미국 전기차 보조금(7500달러) 만료를 앞둔 수요 폭증, 모델 Y 출시 등 다양한 호재가 반영된 결과다.

 

한편 일론 머스크 CEO가 9월 중순 직접 25억7000만주의 테슬라 주식을 평균 372~397달러에 매입(총 10억달러 상당)한 것도 투자 심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해당 매수 소식 이후 테슬라 주가는 하루 6%가 넘게 오르며 연초 대비 87%, 9월 들어서만 27.5% 상승해 S&P 500 상승률(2.7%)을 압도했다.

 

중장기 성장과 리스크: AI·로봇 기대 vs. 실행 변동성


골드만삭스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테슬라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율주행(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오프티머스) 개발 등 파괴적 AI·로보틱스 부문에 주목한다. 실제로 새 로봇 플랜의 연내 시제품 발표, 2026년 양산 로드맵 등이 구체화되면서 ‘혁신기업’이라는 밸류에이션 프리미엄도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등 글로벌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시장 경쟁 심화와 신사업의 성공적 실행 여부가 테슬라의 실적 탄력성에 중대한 변수로 꼽힌다.

 

골드만삭스는 2030년 테슬라 주당순이익(EPS)을 2~3달러(최저)~20달러(최고)로 전망하며, 가장 현실적인 기준선은 7~9달러라고 평가했다. 이는 연복리 성장률 40~50%를 전제한 수치다. 또한 현 주가 기준 P/E(주가수익비율) 251배, 시가총액 1.42조달러, 최근 분기 총이익률 17.5% 등은 밸류 부담에 대한 신호다.

 

투자전략 함의 및 시장평가


월가에서는 일론 머스크의 대규모 자사주 매입과 신규 성과급 패키지를 2018년의 ‘테슬라 대폭등’ 분기점(1350% 주가 상승)과 비교하며, 경영진의 ‘장기 몰입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다만, 세부사업(로보틱스·자율주행)의 현실화 시점과 수익성 전환에 대한 불확실성이 계속 부각되고 있다.

 

중국 시장에선 8월 테슬라 인도량이 전월 대비 22.6%나 늘어난 8만3197대를 기록했다. 현지 맞춤형 가격 인하, 중국계 AI 소프트웨어·서비스(바이두맵스, 위챗 등) 탑재로 현지화 전략 강화도 시장전략의 차별점으로 부상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트럼프-시진핑 회담 이후 '중국, 희토류 규제 중단'…미·중 역사적 무역 휴전 '눈앞'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타결된 획기적인 무역 합의에 따라 새로운 희토류 수출 통제 시행을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종료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11월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이터, 포춘, CNBC, AP, NY Times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2025년 10월 부산 정상회담에서 1년간의 무역 휴전에 합의하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에 대한 반도체 기업 조사를 종료하는 한편, 미국은 일부 관세를 인하하는 등 양국 간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희토류,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흑연 등 핵심 광물의 수출에 대한 중국의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는 내용으로, 백악관은 이를 2025년 4월과 2022년 10월 시행된 제한 조치의 사실상의 철회로 평가했다. 중국은 해당 희토류를 미국 최종 사용자 및 글로벌 공급망에 이익이 되도록 일반 수출 허가서를 발급하게 되며, 이는 글로벌 첨단산업과 군사용 장비에 필수적인 핵심 자원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빅테크칼럼] 머스크 “연말 ‘비행 로드스터’ 시연” 약속…7.5년 지연·환불 논란 속 ‘언빌리버블’ 승부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조 로건 팟캐스트에서 연말 이전 ‘비행 기능’을 포함한 차세대 로드스터 시연을 예고하며 “좋든 나쁘든 잊을 수 없는 데모”를 장담했다는 발언이 확인됐다. 발표 직후 시장 반응과 별개로, 2017년 공개 이후 7.5년에 달하는 지연과 예약금 환불 난항이 겹치며 회의론도 한층 커지고 있다.​ 무엇이 발표됐나 Electrek,Teslarati, Gizmodo,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머스크는 로건에게 “프로토타입 시연이 임박”했고 “올해 말 전 공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피터 틸의 ‘우리는 아직 비행차가 없다’는 지적을 거론해 ‘플라잉 카’ 콘셉트를 정면으로 시사했다.​ 그는 “제임스 본드 영화의 모든 차를 합친 것보다 더 미쳤다”는 수사로 기술적 파격을 예고했고, “데모는 잊지 못할 것”이라는 표현을 두 차례 반복했다.​ 주가·여론의 1차 반응 관련 발언은 10월 31일(현지) 공개된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 에피소드에서 나왔고, 이후 여러 매체가 ‘연내 시연’ 가능성을 헤드라인으로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 대담이 사전 공개된 샘 알트만의 ‘예약 취소’ 공개와 맞물려 다층적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