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13.8℃
  • 맑음서울 8.8℃
  • 구름많음대전 7.1℃
  • 구름많음대구 8.6℃
  • 흐림울산 10.7℃
  • 흐림광주 9.2℃
  • 흐림부산 14.5℃
  • 구름많음고창 6.4℃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5.1℃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많음금산 5.0℃
  • 흐림강진군 8.6℃
  • 흐림경주시 7.9℃
  • 흐림거제 10.9℃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트럼프 정부에 “온실가스 배출규제 유지” 촉구… 美 전기차 시장 향방 ‘기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트럼프 행정부와 환경보호청(EPA)이 추진 중인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규제 완화 및 ‘엔데인저먼트 파인딩(Endangerment Finding)’ 철회 시도에 공식 반대 의견을 제출하고, 규제 유지를 촉구했다. 이는 최근 미 자동차산업의 규제 변화와 함께 전기차 시장 구조에도 중대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Reuters, TechCrunch, Axios, NPR, Investing.com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EPA에 제출한 공식 견해에서 “2009년 제정된 엔데인저먼트 파인딩과 그에 근거한 배출가스 규제는 법적, 과학적 근거 위에서 15년 이상 확립된 규제 시스템”이라며, 전기차 관련 투자의 예측 가능성과 지속성을 보장하는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온실가스 규제를 위해 의회가 EPA에 부여한 합법적 권한 행사가 실효화될 수 있게, 이미 축적된 과학적·사실적 증거 기반을 훼손하지 말 것”을 정중히 촉구했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7월, EPA의 온실가스 배출규제 권한과 2009년 엔데인저먼트 파인딩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자동차 업체들은 연비 및 온실가스 규제 회피가 가능해지며, 자체 전기차 전환 압력도 급격히 완화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기차 의무판매 정책은 소비자·시장 현실과 괴리됐다”는 주장을 피력하며, 전기차 연방 보조금의 조기 폐지도 단행했다.

 

 

실제로 지난 바이든 대통령 시절 도입된 강도 높은 온실가스 규제안은 2032년까지 미국 신차 판매량의 50~56%를 전기차(EV)로 끌어올린다는 목표였다.

 

EPA 공식 예측에 따르면, 2025년 현재 미국 신차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7.3%에 불과하다. EPA는 이 규제를 통해 휘발유 및 하이브리드 차량 비중을 2032년 29%까지 줄이는 한편, 연간 850억 달러(약 115조원)의 경제·사회적 베네핏을 달성할 것이라 발표한 바 있다.

 

반면, GM·도요타·폭스바겐 등 주요 완성차업체의 연합체인 ‘자동차혁신연합(Alliance for Automotive Innovation)’은 최근 EPA에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치는 시장·인프라·소비자 현실에 비춰 불가능하다”며,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업계는 9월 30일 7500달러 규모의 전기차 보조금 종료와 맞물려 EV 수요가 급감할 것이라 전망한다. 실제 지난 10년간 EV 세액공제는 구매자의 EV 선택에 확실한 인센티브로 작동했으나, 올해를 기점으로 시장은 정부 지원 없이 가격·충전 인프라 등 ‘실질적 경쟁력’만으로 평가받게 됐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철회 시도는 정치·산업계 논란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테슬라는 “미국 환경 규제의 예측 가능성과 장기 지속성이야말로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미래형 모빌리티 투자의 전제가 된다”며, “과학적 근거와 오랜 판례에 기반한 국가 정책의 중단 없는 이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AI 모델이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다" 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 경고…"우수성 아닌 무료 때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가 최근 공개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우수한 품질 때문이 아닌 비용 부담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서방 국가들이 주로 폐쇄형(closed-source) AI 모델에 투자하는 반면, 중국은 장대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해 많은 국가들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코리아, 블룸버그, SCMP에 따르면, 슈미트는 “미국과 서구권은 대형 AI 모델을 폐쇄형으로 운영하며 상당한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은 최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급하며 이들은 무료다. 자금력이 부족한 다수 국가들은 품질이 아닌 가격 때문에 중국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수로 드러난 중국 AI 생태계 성장 중국 알리바바의 대표 AI 모델인 Qwen 시리즈는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올해 누적 다운로드 3억8530만건을 기록하며 메타의 Llama(3억4620만건)를 앞섰다. 현재 허깅페이스에서 중국산 파생 언어모델이 전체 신규 모델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메

[빅테크칼럼] AI 투자 열풍에 빅테크, 사상 최대 930억 달러 채권 발행…"인프라 붐과 시장 불안 동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