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0.8℃
  • 구름많음강릉 13.4℃
  • 맑음서울 5.7℃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5.0℃
  • 맑음울산 6.8℃
  • 구름조금광주 7.0℃
  • 맑음부산 12.8℃
  • 구름많음고창 5.1℃
  • 구름조금제주 12.0℃
  • 구름조금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1.6℃
  • 흐림금산 3.4℃
  • 구름조금강진군 4.5℃
  • 구름조금경주시 3.9℃
  • 맑음거제 8.3℃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이슈&논란] 테슬라 배터리관리시스템 수리, 평균 23.4일…국내 서비스센터 14곳에 불과해 '불편 가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 전기차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수리가 국내에서 평균 3주가 넘게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이 테슬라코리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8월부터 2025년 9월 17일까지 약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BMS 수리 건수 4637건의 평균 수리 기간은 23.4일로 집계됐다.

 

BMS는 전기차 배터리의 전압 및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해 배터리의 최적 성능과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시스템이다.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한 수리가 필수적이나, 실제 수리 완료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리고 있어 소비자 불편이 크다.

 

수리 기간이 7일 미만인 경우는 전체의 24.5%에 불과하며, 7일에서 29일까지 걸린 사례가 47.8%를 차지했다. 1개월 이상 장기 수리된 사례도 22.7%에 달하며, 최장 수리 기간은 2년 6개월(926일)이나 됐다.

 

특히 같은 차량에서 BMS 오류가 반복돼 여러 차례 수리받은 사례도 보고됐다. 2회 이상 수리한 차량이 245대로 집계됐다. 또한, 신차에서 수 km 주행 후 BMS 오류가 발생한 경우도 있어 초기 품질 문제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제는 테슬라 국내 등록 대수가 2020년 약 1만5000대에서 2024년 9만3000대, 2025년 상반기 기준 11만2000대로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서비스센터는 전국 14곳에 불과해 상당수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대전·울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 등 8개 시도에는 서비스센터가 없어 지역별 편차와 접근성 문제도 심각하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다른 수입 전기차 브랜드가 70곳에 달하는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인 것과 대조된다.

 

또한 테슬라의 배터리 보증 기간은 8년(16만 km)으로 현대자동차그룹 주요 전기차 보증 기간(10년)보다 2년 짧으며, 보증 만료 후 수리 비용은 차량 소유자가 부담해야 해 수리비가 최소 888만원에서 3000만원을 넘는 경우도 보고됐다.

 

박용갑 의원은 “테슬라코리아는 전국적인 정비망 구축, 명절 및 연휴 긴급 점검 체계 가동, 배터리 보증 기간 연장 등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테슬라의 급격한 국내 성장세에 비해 정비망 확충이 뒤처지면서 배터리관리시스템 등 핵심 부품 수리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국회와 관계 당국이 실질적인 개선책 마련에 나설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