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내세우는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시스템에 대해 미국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이 크게 늘고 있다.
CNBC, 클린테크니카, 에이인베스트,테슬라라티, 인베스트 뉴스에 따르면, 미국의 컨설팅 업체 슬링샷 스트래티지가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35%가 FSD 기능 탑재가 테슬라 구매 가능성을 떨어뜨린다고 답했으며, 오직 14%만이 오히려 구매 의사를 높인다고 밝혔다. 나머지 51%는 FSD 탑재 여부가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FSD는 운전자의 감시 아래 운전 대부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보조 시스템이다. 하지만 설문 참여자 중 48%는 이 기술에 강력한 법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지난 8월 미 마이애미 연방법원이 플로리다 2019년 오토파일럿 관련 치명적 사고에 대해 테슬라에 약 2억4300만 달러(약 3378억원)의 배상을 명령하고, 사고 책임의 33%를 테슬라 측에 인정한 판결과 맞물려 소비자 신뢰 하락을 반영하는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같은 기간 동안 테슬라 차량을 '안전하지 않다'고 보는 비율은 34%에서 36%로 상승했고, '매우 안전하다'고 평가한 응답은 17%에서 13%로 줄었다. 소비자들은 FSD 관련 과장된 홍보와 명확하지 않은 안전 경고, 그리고 사고 위험 가능성을 우려하며, 자율주행차량 제조사에 대한 사고 책임 강화와 광고 가이드라인 엄격화 요구가 거세다.
이러한 부정적 여론은 테슬라의 미국 내 브랜드 평판에 타격을 입히고 있으며 유럽 시장 판매도 7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유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BYD와 현대기아차 등이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부상하면서 테슬라는 기술 신뢰성 확보와 소비자 신뢰 회복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한편, 미국 교통부는 자율주행 기술 경쟁 촉진을 위해 규제 완화를 추진 중이며, 테슬라 역시 오토파일럿 기능을 탑재한 ‘로보택시’ 출시 준비에 들어간 상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기술 혁신과 함께 사고 예방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