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애플 아이폰15 '개봉박두'···아는만큼 보인다 '관전포인트'

한국시간 13일 오전 3시 ‘아이폰15’ 공개
아이폰 최초 C타입 충전…프로·프로맥스는 ‘A17·티타늄·카메라 향상’ 기대
‘애플워치9’도 공개…심박 측정 센서 향상

아이폰15 프로 모델 렌더링 이미지. [애플인사이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5’ 공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스마트폰 업계는 물론 삼성, LG 등 부품공급업체들도 폭풍전야의 모습이다. 흥행돌풍을 몰고올지, 찻잔 속 태풍으로 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게다가 애플의 이번 최신폰 공개는 중국의 아이폰 사용 금지 조치와 경쟁사인 중국 화웨이가 최신폰을 출시하는 등 미중갈등과 글로벌 빅테크간 미묘한 신경전이 이뤄지는 가운데 이뤄져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13일(한국시간) 오전 3시에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스티브 잡스 홀에서 '원더러스트'라는 제목의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 주인공은 ‘아이폰15’ 시리즈와 ‘애플워치9’ 및 ‘애플워치 울트라2’ 등이다. 

 

특히 전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는 ‘아이폰15’ 시리즈는 ▲일반 ▲플러스 ▲프로 ▲프로 맥스 등 4종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9월 15일부터 공식 판매에 들어가며, 사전 주문 고객에게 먼저 아이폰을 배포하고, 일반 대중에게는 9월 22일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일반 라인업으로 분류되는 ‘아이폰15’ 일반과 플러스 모델은 주요 크기와 무게가 전작(아이폰14)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가 있더라도 1mm 미만 또는 1g 정도의 미세한 감소다.

 

프로와 프로 맥스를 중심으로 고급 소재(티타늄)과 신규 앱 프로세서(AP) 를 탑재하는 등 ‘급 나누기’ 전략이 더 강화되고, 최초로 자체 충전단자가 아닌 ‘USB-C’ 단자를 채용한다.

 

신규AP는 애플이 자체 설계한 ‘A17 바이오닉’으로 4nm(나노미터)가 아닌, 대만 TSMC의 3나노미터 제조 공정을 채택하기로한 만큼 상당한 속도 향상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다만 가격은 약 100달러(한화 약 13만원) 인상이 예상된다. 아이폰15 프로 맥스의 경우, 전시리즈보다 100달러 비싼 1199달러(한화 158만원)가 시작가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전작의 프로, 프로 맥스에만 탑재됐던 AP ‘A16 바이오닉’이 들어가고 화면 상단에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표기해 주는 ‘다이내믹 아일랜드’도 이번 작에는 모든 라인업에 포함될 예정이다.

 

카메라의 경우 특히 프로 맥스 모델에서 더 뚜렷한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 잠망경 렌즈 배열을 통해 ‘아이폰15’ 프로 맥스의 광학 줌 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프로 모델의 카메라는 IMX-803 이미지 센서와 f/1.78 조리개를 사용하는 4800만 화소 메인 카메라와 1270만 화소의 f/2.8 망원, 1340만 화소 f/2.2 초광각 카메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이벤트에선 ‘애플워치9’과 ‘애플워치 울트라2’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용자들 입장에선 ‘워치OS 10’ 도입으로 많은 변화를 예상했지만, 기기 전반적으로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애플워치9’은 41mm와 45mm 등 2가지 크기로 제공되며, 심박수 측정 센서가 업그레이드 돼 정확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폰15 모델별 주요스펙 [트렌드포스]

 

아이폰15 신작출시에 대해 증권가의 관심도 높은 상황이다. KB증권은 아이폰15에 대한 비관론이 크지만 이는 곧 저가매수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은 아이폰15 고급모델 판매 확대로 실적 개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12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과거를 돌이켜보면 아이폰의 과도한 비관론은 늘 저가 매수 기회를 제공했다"면서 "아이폰15는 공개 후 예상보다 견조한 수요를 보일 것"이라고 긍정론을 주장했다.

 

또 "올해 아이폰 출하량은 아이폰14 수요 부진 영향으로 전년 대비 5% 감소가 예상되지만, 아이폰15 출하량은 전년대비 7% 증가한 8000만대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중국 규제, 화웨이 신제품, 글로벌 수요 침체 등 다양한 악재에도 애플이 아이폰15 출하량에 대해 공격적인 이유는 아이폰 대기 수요가 3억대에 달하는 가운데 아이폰15에서 스마트 폰 유저들의 최대 고민이 해소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아이폰15는 애플의 고급화 전략 강화로 프로 시리즈 비중이 전체 생산량의 66%, 최상위 모델인 프로맥스 비중도 40%로 역대급인 가운데 한국 부품 업체들이  반도체, 카메라, 디스플레이의 독점적 공급구조를 확보하고 있다"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은 아이폰15 고급 모델의 판매 확대가 실적 개선의 긍정적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갤럭시Z폴드5 톰브라운 에디션 [삼성전자]

 

한편 애플의 최대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아이폰15' 시리즈 공개 하루 전날 '갤럭시Z폴드5(이하 폴드5) 톰브라운 에디션'을 출시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이번 에디션은 폴드5(512GB)를 비롯해 갤럭시워치6(40mm 블루투스 모델), 가죽 케이스 2종, S펜 등의 패키지로 구성됐다. 디자인은 톰브라운의 시그니처인 빨간색, 흰색, 파란색 등의 색상이 적용됐다. 출고가는 429만원이다.

 

삼성이 아이폰15 시리즈 공개(한국시간 13일 오전 2시) 하루 전날 신제품을 선보인 이유는 애플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이다. 실제 애플은 무서운 기세로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삼성을 위협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