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AI 전쟁 새 국면? 리사 수·샘 올트먼 '깜짝 포옹'…AMD, '엔비디아 독주체제'에 도전하며 오픈AI 연대로 '반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MD가 6월 1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연례 콘퍼런스 '어드밴싱 AI 2025'에서 AI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신형 AI 가속기 MI350X 시리즈를 전격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무대에 깜짝 등장해 리사 수 AMD CEO와 포옹하며, 엔비디아 독주 체제에 정면 도전하는 'AMD-오픈AI 연대'를 공식화했다.

 

오픈AI와의 밀착 협력…AMD, '엔비디아 대안' 본격 선언


리사 수 CEO는 "오픈AI는 칩 설계 초기부터 매우 중대한 피드백을 준 특별한 고객"이라며, 샘 올트먼 CEO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올트먼 CEO 역시 "AMD는 우리가 제안한 유연한 설계 요구를 진지하게 반영했다"며, MI350X 시리즈와 차기 MI400X 개발에 오픈AI가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최적화, 그리고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긴밀한 협력관계가 확인된 셈이다.

 

MI350X, 추론 성능 35배↑…삼성·마이크론 HBM3E 공식 채택

 

AMD가 이번에 공개한 MI350X 시리즈는 전 세대 대비 추론 성능이 35배 향상됐으며, 288GB 용량의 12단 HBM3E(고대역폭메모리)를 탑재했다. 이 메모리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공급하며, 삼성의 경우 MI350X·MI355X에 HBM3E를 공식 납품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는 엔비디아 품질 인증 지연으로 주춤했던 삼성전자 HBM 사업에 반전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오픈 생태계' 전략…엔비디아 쿠다·NV링크에 정면 도전

 

리사 수 CEO는 "AMD는 강력한 하드웨어와 더불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오픈 생태계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의 폐쇄적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쿠다(CUDA)와 독자 GPU 연결 기술 NV링크를 겨냥했다. AMD는 반도체 업계가 공동 표준으로 추진 중인 GPU 간 통신 기술 'UA링크' 로드맵도 공개하며 '반(反) 엔비디아' 진영의 수장임을 자임했다.

 

MI400X, 내년 출시…432GB HBM4·40PF 연산력 예고


AMD는 내년 출시할 MI400X 시리즈에 432GB HBM4(6세대)를 탑재하고, 최대 40PF(페타플롭스)의 연산력을 구현할 계획임을 밝혔다. MI400X는 서버랙 단위의 '헬리오스' 플랫폼으로도 제공돼, AI 인프라 시장에서 엔비디아와의 본격적인 경쟁이 예고된다.

 

샘 올트먼 "AI 발전, 2030년까지 지속…AMD와 협력 기대"


올트먼 CEO는 "AI 발전 속도가 2030년까지 유지될 것"이라며,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복잡한 AI 기능 구현을 위해 AMD와의 협력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AMD 칩 도입을 공식화했고, 실제로 MS, 메타, 오라클, 코히어 등 주요 AI·클라우드 기업과의 협력도 대거 공개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