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2분기 ‘10년만에 최대 매출 감소’…AI·로보택시 전환 속 수익성 '시련'

“최대 10년만에 역대급 감소폭”…2분기 거듭된 실적 부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던 테슬라가 2025년 2분기에도 시장을 충격에 빠뜨렸다. 테슬라가 공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총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줄어든 224억9600만달러(22.5억달러)를 시현, 이는 월가 기대치(227억4000만달러)를 밑도는 역대급 감소폭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등 복수의 외신은 “테슬라가 10년 만에 최대 분기 매출 감소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핵심 사업인 자동차 부문 매출은 166억61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 급감했다. 차량 인도량 역시 38만4122대로 13.5% 감소했다. 에너지 발전·저장 부문 매출 또한 7% 줄어 27억8900만달러에 머물렀다.

 

영업익 42% 급감, 순익도 16% 감소


영업이익은 9억2300만달러로, 지난해 2분기보다 무려 42%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4.1%로 전년 대비 2.2%포인트 하락했다. 순이익은 11억7200만달러로 16% 감소하며 잇따라 하락세를 이어갔다.

 

주당순이익(EPS) 역시 0.40달러로, 월가 목표치 0.43달러를 하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이는 2분기 연속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수준이다.

 

매출·영업익·EPS 삼박자 부진은 전년 동기 대비 차량 인도량 감소와 정부 배출가스 크레딧 수익 감소, 연구개발(R&D)비 급증, 글로벌 전기차 경쟁 심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테슬라 “로보택시·저가모델이 미래”…AI·서비스 전환 천명


테슬라는 위기 국면에서도 주요 전략 변화를 피력했다. 6월부터 새 저가형 모델 생산에 들어갔으며, 2025년 하반기 본격 양산을 예고했다. 전기트럭 ‘세미’와 로보택시 전용 ‘사이버캡’은 2026년 양산 계획이다.

 

또 2분기엔 오스틴에서 로보택시(무인 택시) 서비스를 파일럿 형태로 공식 가동하며 “AI, 로봇공학과 서비스로 사업 확장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테슬라 측은 “올 2분기는 전기차-재생에너지 중심에서 AI·로봇공학 기반 서비스 리더로 전환한 상징적 시기”라고 자평했다.

 

2025년 남은 관전포인트

 

테슬라 주가는 실적 발표 당일 0.14% 하락(332.56달러), 시간외 거래에서 약보합을 기록했다.

 

월가와 전문가는 “판매 급감, 브랜드 이미지 실추, 글로벌 경쟁 격화”를 테슬라의 도전 요인으로 꼽았다.

 

당장 미국·유럽 주요 시장에서 일론 머스크의 정치 행보와 인사 이탈이 테슬라 브랜드 신뢰도에 직격타라는 분석이다.

 

테슬라는 2분기 연속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쇼크’를 주며, 순수 전기차 기업에서 AI·로봇공학 서비스 기업으로의 전환을 공식화했다. 판매·이익·브랜드 가치 하락 속에서 일론 머스크의 전략이 성공할지, 세계 전기차 시장의 향배와 더불어 하반기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억만장자·톱배우, 세계 지도자까지 ‘불멸산업’에 17조 베팅"…인류 150세 시대 현실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3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불멸에 이를 수 있다”,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장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부터 할리우드 스타, 그리고 글로벌 정치 지도자까지 전례 없는 규모로 장수 산업에 베팅하며 ‘불멸(immortality)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25년간 이 분야에 투입된 투자금액은 약 125억 달러(한화 17조원)에 달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해 비즈니스 인사이더, 타임, 로이터등의 글로벌 자료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 투자자로는 팔란티어의 피터 틸,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꼽힌다. 틸은 12여개 기업을 통해 장수 관련 산업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올트먼은 세포 노화 역전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에 1억8000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 밖에도 구글의 에릭 슈밋, 조 론스데일, 그리고 바이오 기업 뉴리미트 등에는 억만장자 9명 이상이 2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장수 스타트업

[빅테크칼럼] 머스크, 삼성전자와 손잡은 테슬라 AI6 칩 ‘역대 최고’ 선언…자율주행·로봇AI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9월 6일(현지시간) 자사가 자체 설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칩 관련 최신 설계 검토를 마치고, 차세대 AI6 칩이 “역대 최고의 AI 칩”이 될 것이라고 강력히 자신감을 내비쳤다. 텍스트라티, 블룸버그, 로이터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오늘 AI5 칩 설계팀과 대단한 설계 검토를 마쳤으며, AI5는 이미 역대급이 될 것이고 AI6는 단연 최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테슬라 AI 칩 개발 전략의 전환점은 기존 두 가지 칩 아키텍처 병행 전략에서 하나의 아키텍처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바뀐 점이다. 머스크는 “이를 통해 모든 반도체 인재가 한 곳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며, “생명을 구하는 칩을 개발하고 싶다면 테슬라 반도체 팀에 오라”고 공개 채용 의사도 표명했다. AI5 칩은 파라미터 2500억 이하 모델용 추론 칩 중 비용과 전력 효율 대비 최고 성능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AI6는 AI5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목표로 한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또한 눈길을 끈다. 현재 AI5 칩은 대만 TSMC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AI6 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