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5.0℃
  • 맑음강릉 18.6℃
  • 연무서울 15.5℃
  • 맑음대전 14.9℃
  • 구름조금대구 16.7℃
  • 흐림울산 15.1℃
  • 맑음광주 16.5℃
  • 흐림부산 15.1℃
  • 맑음고창 16.4℃
  • 구름많음제주 17.8℃
  • 맑음강화 15.9℃
  • 맑음보은 13.5℃
  • 맑음금산 14.1℃
  • 맑음강진군 15.7℃
  • 구름조금경주시 15.6℃
  • 흐림거제 14.7℃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북미 첫 LFP 배터리 공장 완공 '임박'…“중국 의존 탈피, 배터리 혁신 가속”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가 미국 네바다주 스파크스에 건립 중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제조공장이 완공을 앞두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북미 내 최초의 대규모 LFP 배터리 생산시설로, 전기차(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테슬라, 북미 LFP 배터리 내재화…중국 의존도 대폭 낮춘다


CNN, Luxury Tribune, CBC News등의 외신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6월 28일(현지시각) 공식 SNS를 통해 네바다주 스파크스 기가팩토리 내 LFP 배터리 공장 건설이 막바지 단계임을 밝혔다. 공장 외관과 자동화 설비, 마무리 작업이 공개된 영상에는 현지 인력들이 완공을 앞두고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이 담겼다.


이 공장은 연간 약 10GWh 규모의 LFP 배터리 셀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테슬라가 그간 중국 CATL, BYD 등에서 대규모로 수입해온 LFP 배터리 의존도를 현저히 낮추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현지 생산 인센티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다.

 

LFP 배터리, 안전·저비용·지속가능성 ‘3박자’…테슬라 표 혁신 가속


LFP 배터리는 코발트와 니켈이 포함되지 않아 생산비용이 낮고, 화재·폭발 위험이 적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테슬라는 최근 특허(WO2024/229047 A1)에서 LFP/LMFP(리튬망간인산철) 기반에 소량의 니켈계 소재를 첨가해 에너지 밀도와 수명, 저온 성능을 개선한 신형 LFP 배터리 화학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기존 LFP의 원가 경쟁력은 유지하면서도, 성능은 니켈계(NMC) 배터리에 근접하게 끌어올릴 수 있다는 평가다.

 

LFP 배터리는 이미 테슬라의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3·Y, 메가팩, 파워월 등 주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미국 내 생산이 본격화되면, 수입 관세 부담 없이 현지 시장에 공급이 가능해져 가격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CATL 장비 도입·현지화…2025년 시범 양산, 2026년 대량 생산 전망


테슬라는 이번 공장에 중국 CATL의 유휴 설비를 도입해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다. CATL 인력은 초기 설치에만 제한적으로 참여하고, 운영은 테슬라가 전적으로 담당한다.


2025년 하반기 시범 양산을 시작해 2026년부터는 대량 생산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테슬라 엔지니어들의 링크드인 이력 및 업계 분석에 따르면, 이미 수백 대의 차량에 투입 가능한 LFP 시제품 생산 경험을 축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드류 바글리노 전 부사장은 “테슬라의 LFP 배터리 생산 단가는 중국산(2024년 기준 Wh당 0.044달러)보다도 낮출 수 있다”며, 현지화·공정 단순화·공급망 최적화가 핵심 경쟁력임을 강조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환경·경제적 파급효과 주목

 

글로벌 LFP 배터리 시장은 2030년까지 전체 리튬 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 세계 LFP 생산능력의 90% 이상이 중국에 집중돼 있어, 미국·유럽 등 서방국가들은 공급망 리스크 해소를 위해 현지 생산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테슬라의 네바다 공장은 이러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상징적 사례로, 향후 미국 내 전기차·에너지 시장의 가격경쟁력과 기술 자립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지속가능성·윤리적 조달·규제 대응까지…테슬라의 ESG 전략 강화


LFP 배터리는 코발트 미사용으로 인한 윤리적·환경적 논란에서 자유롭고, 생산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도 적다. 테슬라는 이번 현지 공장 완공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한층 강화하고, 미국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규제 대응력도 높일 수 있게 됐다.

 

테슬라의 북미 첫 LFP 배터리 공장 완공은 미국 내 전기차·에너지 산업의 경쟁력 강화, 환경·윤리적 지속가능성, 기술 혁신 등 다층적 효과가 기대된다. 향후 테슬라가 LFP 배터리 대량생산을 본격화할 경우, 중국 중심의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새로운 균열이 생길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AI 모델이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다" 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 경고…"우수성 아닌 무료 때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가 최근 공개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우수한 품질 때문이 아닌 비용 부담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서방 국가들이 주로 폐쇄형(closed-source) AI 모델에 투자하는 반면, 중국은 장대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해 많은 국가들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코리아, 블룸버그, SCMP에 따르면, 슈미트는 “미국과 서구권은 대형 AI 모델을 폐쇄형으로 운영하며 상당한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은 최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급하며 이들은 무료다. 자금력이 부족한 다수 국가들은 품질이 아닌 가격 때문에 중국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수로 드러난 중국 AI 생태계 성장 중국 알리바바의 대표 AI 모델인 Qwen 시리즈는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올해 누적 다운로드 3억8530만건을 기록하며 메타의 Llama(3억4620만건)를 앞섰다. 현재 허깅페이스에서 중국산 파생 언어모델이 전체 신규 모델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메

[빅테크칼럼] AI 투자 열풍에 빅테크, 사상 최대 930억 달러 채권 발행…"인프라 붐과 시장 불안 동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