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5조9442억원(약 43억9000만달러) 상당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2차전지 업계 및 로이터 등 외신은 이 초대형 계약의 실질적 고객사가 미국의 테슬라일 것으로 보고 있다.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계약 규모와 기간
계약 규모는 5조9442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LG엔솔 매출의 23.2%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계약 기간은 2027년 8월 1일부터 2030년 7월 31일까지 3년간(협의 시 최대 7년까지 연장 가능)이다.
이번 계약은 LG엔솔의 총 매출 대비 23% 이상을 차지하는 대형 딜로 평가된다. 특히 공급 대상이 ESS(에너지저장장치) 용 LFP 배터리로, 중국산 배터리에 대해 미국이 40.9%의 고율 관세(내년부턴 58.4%)를 부과하며 미국 현지 공급망이 요청되었던 배경과 맞물려 있다.
테슬라와의 협력, 북미 생산기지 프리미엄
LG엔솔은 미국 미시간주, 오하이오주, 테네시주 등 3개의 단독 생산공장과 GM, 현대차 등과의 합작공장까지 북미에서만 총 7~8곳의 대규모 생산거점을 구축했다. 이 덕에 중국산 대신 미국 현지 생산이 가능, 테슬라의 ESS 사업에 대규모로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업계에서는 LG엔솔의 북미 생산 ESS용 LFP 배터리 가격(셀 기준 약 85달러)로 계산 시, 이번 계약 물량이 약 50GWh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배터리 빅딜, 국내외 투자자·시장 ‘환호’
국내 투자자들은 연일 “테슬라 투자 효과에 LG엔솔이 CATL 등 중국 배터리를 대체한다”라며 주가 상승 기대감을 표출하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와 북미 공급처 다변화 정책이 맞물리며, 한국 배터리 업계의 글로벌 영향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테슬라 반도체 계약도 ‘시너지’
이번 계약은 앞서 삼성전자와 테슬라가 체결한 약 23조원(165억달러) 규모의 AI 반도체(차세대 AI 6 칩)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에 이은 또 하나의 코리아-테슬라 초대형 공급딜로, 국내 기업들의 미국 내 입지는 한층 견고해졌다. 일론 머스크는 직접 “계약 규모는 최소치이며, 실제 생산은 그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밝혀 추가 성장에 대한 기대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