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크루즈 자율주행 수장, 테슬라 AI 총괄로 전격 합류…로보택시 '빅뱅' 예고

헨리 콴 합류한 테슬라, AI·로보택시로 재도약 시동
오스틴서 첫 선 보인 테슬라 로보택시, 성공과 논란의 현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가 미국 자율주행 업계의 거물 헨리 콴(Henry Kuang)을 AI 및 딥러닝 자율주행 담당 디렉터로 영입했다. 콴은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Cruise)에서 자율주행 총책임자를 지낸 인물로, 테슬라의 로보택시(무인 자율주행 택시) 사업 확대와 기술력 강화의 핵심 인재로 주목받고 있다.

 

콴의 합류는 최근 테슬라 오토파일럿(Autopilot) 및 자율주행 부문에서 잇따른 고위 임원 이탈, 대규모 구조조정, 그리고 AI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 중심의 전략 전환이라는 격변의 한가운데 이루어졌다. 실제로 지난 6월 말, 오미드 애프샤(Omead Afshar) 등 핵심 임원들이 동반 퇴사하는 등 조직 불안정이 이어지고 있다.

 

헨리 콴의 자율주행 이력…페이스북에서 크루즈까지


헨리 콴은 메타(구 페이스북)에서 시니어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해, 2020년 크루즈로 이직해 '퍼셉션(Perception) 팀'을 이끌었고, 이후 자율주행 총괄(Senior Director, Head of Autonomy)로 승진했다.

 

크루즈에서 그는 센서 융합, AI 비전,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을 총괄하며, 2023년 크루즈의 대규모 사업 중단 전까지 핵심 리더로 활약했다. 이처럼 AI와 자율주행 전반에 걸친 실무와 리더십 경험을 고루 갖춘 인물은 테슬라 내부에서도 드문 사례다.

 

테슬라 로보택시…약속과 현실의 간극


테슬라의 로보택시 전략은 2016년 '마스터플랜 파트2'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2019년 "2020년까지 100만대 로보택시"라는 일론 머스크의 호언장담으로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 출시는 수차례 연기됐고, 2025년 6월 22일에서야 텍사스 오스틴에서 10~20대의 모델Y 차량을 투입한 제한적 파일럿 서비스가 첫선을 보였다.

 

오스틴 파일럿은 초청받은 주주·인플루언서 대상, 지정된 지오펜스(Geofence) 구역 내에서만 운행, 승객 옆에 테슬라 직원이 '안전 모니터'로 동승하는 등 극도로 제한적 형태다. 요금은 상징적으로 4.20달러로 책정됐다. 아직 완전 무인 자율주행이 아닌, '감독 하의 자율주행' 단계임을 보여준다.

 

리더십 이탈과 조직 불안, 그리고 AI 인재 확보


테슬라는 오토파일럿·자율주행 부문에서 수년간 리더십 이탈이 이어졌다. 2022년 AI 총괄 안드레이 카르파티(Andrej Karpathy), 2024~2025년 소프트웨어·하드웨어·로보틱스 부문 부사장 등 핵심 인력이 줄줄이 퇴사했다. 최근에는 내부 승진 위주 인사정책과 브랜드 이미지 악화, 조직 문화 이슈로 외부 인재 영입이 쉽지 않았던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헨리 콴의 영입은 이례적인 '외부 영입'이자, 테슬라의 AI·자율주행 기술력 재정비 의지를 상징한다는 평가다.

 

기술적·규제적 도전과 시장의 반응


테슬라 로보택시는 카메라 기반 비전 AI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비전 온리' 전략을 고수한다. 이는 라이다(LiDAR)·레이더 등 다중 센서를 활용하는 웨이모(Waymo) 등 경쟁사와 차별화된 접근이지만,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의 신뢰성 논란도 크다.

 

실제 오스틴 파일럿 초반, 일부 차량이 교통법규 위반, 역주행, 돌발 상황에서의 오작동 등으로 연방 도로교통안전국(NHTSA) 조사 대상이 됐다. 텍사스 주의회도 9월 시행될 신규 자율주행차 규제 전까지 서비스 연기를 요구하는 등, 규제 리스크가 상존한다.

 

반면, 초기 이용자들은 "기존 FSD보다 부드럽고 쾌적하다", "앱이 직관적이고, 주행도 안전했다"는 긍정적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웨이모가 수년간 겪은 시행착오를 테슬라도 겪을 것"이라며, 전국적 확산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본다.

 

AI 리더십 확보로 재도약 모색


테슬라의 헨리 콴 영입은 단순한 인재 보강을 넘어, AI·자율주행 기술 내재화와 로보택시 사업의 본격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승부수다.

 

하지만 기술적 완성도, 규제 대응, 조직 안정화라는 삼중 과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콴의 리더십과 테슬라의 '비전 온리' 전략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진정한 무인 로보택시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AI 야망 리셋" 머스크 '도조 슈퍼컴퓨터팀' 해체…Density AI·삼성 동맹 '양날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차와 인공지능(AI) 혁신의 중심에 있었던 테슬라의 도조(Dojo) 슈퍼컴퓨터 프로젝트가 전격적으로 종료된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복수의 해외 매체가 8월 7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도조 슈퍼컴퓨터 팀 해체와 프로젝트 중단을 직접 지시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 반도체·AI 훈련 하드웨어의 핵심을 자임했던 도조 팀 리더 피터 배넌(Peter Bannon)이 회사를 떠나고, 약 20명 규모의 주요 인력들이 새롭게 창업한 DensityAI 등으로 이탈했다. 남은 인원들은 데이터센터, 컴퓨팅, 반도체 등 다른 부서로 재배치됐다. 테슬라 AI 슈퍼컴퓨터 '도조', "500조 수치도 물거품"…성과 내기 직전 셧다운 도조 슈퍼컴퓨터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완성을 위해 자체 개발한 AI 트레이닝 전용 시스템으로, 전 세계 테슬라 차량에서 수집된 막대한 비디오 데이터와 센서를 처리하는 역할을 해왔다. 모건스탠리 등 주요 투자기관은 이 슈퍼컴퓨터가 테슬라 기업가치를 한때 5000억달러(약 670조원)까지 추가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최근까지도 테슬라는 TSMC와 손잡고 성능이 10배 이상

[빅테크칼럼] 중국, 무장 ‘로봇 늑대’ 군사훈련 배치…미래 전쟁 '로봇 혁명' 예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군사 훈련에서 처음으로 무장한 사족보행 '로봇 늑대'를 배치해 자율 무기 시스템과 인간 병사의 통합에서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 중국 중앙텔레비전(CCTV), 글로벌타임즈의 보도에 따르면, 이 70킬로그램의 로봇들은 QBZ-191 돌격소총과 정찰 장비를 장착하고, 인민해방군 76집단군 소속 두 기계화 보병 중대와 함께 협동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은 구릉 초원 지형에서 진행됐으며, 로봇 늑대들이 복잡한 지형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보병과 대형을 유지하며 최대 100미터 거리에서 정밀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이 로봇 늑대는 단순한 로봇개 수준을 넘어 “정찰 및 타격 능력”이 크게 향상된 최신 모델로, 무리 내에서 역할이 분담되어 실제 늑대 무리처럼 작동한다. ‘무리 우두머리’는 정찰 작전을 주도하며 목표 정보를 지휘 센터에 전송하고, 다른 로봇들은 사수, 보급품 및 탄약 운반 등 다양한 지원 임무를 맡는다. 훈련에 참가한 PLA 인민해방군 여단 소속 후테(Hu Te)는 "이번이 로봇 늑대를 직접 지휘한 첫 경험"이라며, "인간과 무인 장비의 원활한 통합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중국남방공업집단

‘머스크 키즈’ 美 19세 ‘천재 공무원’ 에드워드 코리스틴, 집단폭행 당해…트럼프 분노"워싱턴DC 통제할수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워싱턴DC 도심에서 19세 천재 공무원 에드워드 코리스틴이 10대 청소년 10명에게 집단 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코리스틴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일론 머스크와 함께 정부효율부(DOGE)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사건 후 피투성이가 된 모습이 공개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Politico, ABC News, Business Insider, Wired 등의 매체에 따르면, 사건은 8월 3일 새벽 워싱턴DC 로건서클 인근에서 발생했다. 코리스틴과 동행한 여성 파트너가 차량 근처에 있을 때, 10대 청소년들이 갑작스럽게 접근해 차량 강도 시도를 벌였고, 코리스틴이 이를 막으려다 집단 폭행을 당했다. 경찰은 현장에서 두 명의 15세 용의자를 체포하고 도주한 나머지 인원을 추적 중이다. 피해 당시 코리스틴은 얼굴과 몸에 혈흔이 묻은 상태였으며, 현지 응급구조대에서 치료를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건을 계기로 워싱턴DC의 상승하는 청소년 범죄와 갱단 폭력 문제를 강하게 비판하며, 현지 치안 부실을 질타했다. 그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코리스틴의 피범벅 사진을 올리며 “DC 범죄가 완전히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