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4℃
  • 구름많음강릉 10.2℃
  • 천둥번개서울 8.3℃
  • 천둥번개대전 9.0℃
  • 박무대구 3.8℃
  • 박무울산 6.2℃
  • 광주 9.7℃
  • 박무부산 10.5℃
  • 흐림고창 ℃
  • 구름많음제주 15.5℃
  • 흐림강화 6.8℃
  • 흐림보은 3.9℃
  • 흐림금산 3.8℃
  • 구름많음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2.5℃
  • 맑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스페이스X 50번째 드래곤, 궤도 부양 기술 실전 첫 적용… ISS 재보급 임무 성공적 발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현지시간 2025년 8월 24일 이른 아침,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이 33번째 상업용 재보급 임무인 ‘드래곤 CRS-33’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이 우주선은 5000파운드 이상의 과학 실험 장비와 보급품을 싣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한다. 이로써 드래곤 우주선은 ISS를 방문한 횟수 50회를 기록하며 궤도 실험실 방문의 새 이정표를 세웠다.

 

SpaceX와 NASA의 공식 발표와 space.com, spaceflightnow.com, spacexnow.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무의 가장 큰 특징은 드래곤에 탑재된 독립적인 추진 시스템이다. 드래곤 우주선의 트렁크에 장착된 이 새로운 궤도 부양용 부스트 키트는 ISS의 궤도 유지에 기여하는 신기술이다.

 

NASA의 국제우주정거장 프로그램 운영 통합 관리자 빌 스페치에 따르면, 2025년 9월부터 시작해 가을 기간 중 여러 차례 궤도 상승 연소 시험을 통해 ISS 고도 유지에 직접 활용될 예정이다.

 

이 기술은 그동안 주로 러시아의 프로그레스 화물선과 정거장 추진기에서 담당하던 궤도 보정 작업의 부담을 분산시키며, NASA가 2030년경 ISS 퇴역 및 대기권 재진입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드래곤 우주선은 2025년 12월까지 ISS에 도킹된 상태로 머무를 예정이며, 이는 스페이스엑스 측에서도 첫 장기간 화물 임무로 기록된다. 이번 임무에 실린 50여 개 과학 실험과 기술 시연 장비는 3D 금속 프린팅과 바이오프린팅 조직 연구 등 우주 환경에서의 첨단 제조 기술이 미래 달과 화성 임무 등 심우주 탐사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NASA 총괄 관리 대행 션 더피는 "이번 임무를 통해 미세중력 환경에서 금속 부품과 인체 조직을 3D 프린팅하는 기술을 시험해 우주비행사들이 향후 달과 화성 임무에서 필요한 의료와 도구를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학적 화물에는 뼈 손실 예방 연구용 뼈 형성 줄기세포, 신경 재생을 위한 의료 임플란트 3D 프린팅 소재, 미세중력 환경에서 혈관 발달 연구를 위한 바이오프린팅 간 조직 시료, 그리고 우주 공간에서 금속 큐브를 3D 프린팅할 수 있는 물품들이 포함됐다.

 

한편, 발사 성공 후 팰컨 9 로켓 1단 부스터 B1090은 대서양에 위치한 드론쉽 ‘A Shortfall of Gravitas’에 정확히 착륙하며, 이번이 이 부스터의 7번째 비행이자 해당 드론쉽에서의 121번째 착륙 성공 기록이 됐다.

 

스페이스X는 2025년 현재까지 482회 착륙 시도 중 469회의 성공률(약 97.3%)을 기록 중이며, 2025년뿐 아니라 지난 수년간 90% 이상의 착륙 성공률을 꾸준히 유지하며 재사용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50번째 드래곤 임무는 우주 재보급 및 과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ISS가 25년간 사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은 궤도 연구소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는 데 기여하는 동시에, 향후 심우주 탐사를 위한 기술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