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NASA 승무원, 10월 화성 시뮬레이션 임무…휴스턴 'Mars Dune Alpha' 3D프린팅 화성거주지서 378일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오는 10월 19일부터 텍사스 휴스턴 존슨 우주센터의 3D 프린트 'Mars Dune Alpha' 거주지에서 4명의 승무원이 참가하는 378일간의 화성 시뮬레이션 임무(CHAPEA Mission 2)를 시작한다.

 

이 임무는 향후 인류의 화성 탐사를 대비하기 위한 NASA의 대표적 장기 아날로그 프로젝트로서, 2024년 7월 종료된 첫 번째 임무(378일) 데이터에 기반한다.

 

NASA 공식 홈페이지, Daily Galaxy, ICON·BIG 공식 Mars Dune Alpha 기술자료, ABC News, Texas Standard에 따르면, 이 여정은 레드 플래닛(화성)에서의 생활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며, CHAPEA(승무원 건강 및 성능 탐사 아날로그, Crew Hea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 미션은 NASA의 두 번째 종합적 연구로, 언젠가 인류가 화성을 탐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엘리트 승무원’, 화성 임무 전문성 총집결


이번 CHAPEA 2차 임무에는 실전과 연구 능력을 겸비한 4명의 승무원이 선발됐다. 지휘관 로스 엘더(미 공군 소령)는 1800시간의 비행과 200시간의 전투 경험, AI·인간-기계 팀 빌딩 노하우를 보유했다.

 

의무 담당관 엘런 엘리스(미 우주군 대령)는 국가정찰국 통신 시스템 총괄 및 재난관리 등 4개 석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학담당관 매튜 몽고메리는 로봇공학·환경 제어 농업 분야 엔지니어링 컨설턴트이다. 항공 엔지니어 제임스 스파이서는 위성통신·우주선 설계 전문성을 갖췄다. 예비 승무원으로 해병대 대위 에밀리 필립스와 상업 항공사 파일럿 로라 마리가 대기한다.

 

 

3D 프린팅 기술 적용…‘Mars Dune Alpha’의 실험 최첨단 인프라

 

Mars Dune Alpha 거주지는 ICON의 3D 프린터로 시공됐으며, 1700평방피트(약 158㎡) 규모에 승무원 별 개인 공간, 주방, 의료 구역, 작물 재배 공용 공간 등이 설계돼 있다. BIG(비야케 잉겔스 그룹) 건축사무소가 설계에 참여해 실제 화성 기지를 모방, 승무원 피로 최소화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가구와 조명, 온도 등도 맞춤 조정 가능하다.

 

임무 환경·일상…실제 화성 상황 ‘완벽 재현’


승무원들은 실제 화성에서 겪을 수 있는 ▲지구와의 단방향 22분 통신 지연 ▲자원(식량·물·전력) 제한 ▲장비 고장 ▲심리적 고립 등 환경 하에서 378일 간 생활한다.

 

일상 활동에는 가상현실 ‘화성 산책’(Marswalk), 로봇 원격조작, 진단용 의료장비 시험, 그리고 저장식량 보충을 위한 야채·작물 재배가 포함된다. NASA 연구팀은 이번 임무에서 식수 디스펜서, 의료 진단 장비 등 심우주용 신기술을 실제로 검증한다.

 

데이터 축적과 아르테미스·화성 임무 연계…'2030년대 인류 화성 선발' 가속


이번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아르테미스(Artemis) 이후 2030년대 인류 첫 화성 탐사 임무를 위한 전 단계다. 지난 CHAPEA Mission 1(2023.6.25~2024.7.6)에서 승무원들은 각종 스트레스 환경·자원ㆍ식량 제한 상황에서 1년간 실제 생활, 수천 건의 건강·성능 데이터를 축적했다.

 

NASA는 2026년 3차 1년 장기 미션을 추진, 승무원별 건강·심리·기술 적응도를 정량적으로 분석, 최적의 화성 탐사 전략을 수립한다. CHAPEA에서 수집된 자료는 현재 달 복귀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에도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NASA가 밝힌 의미


NASA CHAPEA 책임연구원 그레이스 더글라스는 “자원 제한과 장기간 임무가 승무원 건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함으로써, 인류의 심우주 목표 달성을 위한 길을 열고 있다”고 밝혔다.

 

NASA 프로젝트 매니저 다니엘 에르난데스는 “CHAPEA에서 얻는 가장 큰 성과는 이웃 행성 탐사의 초석을 다질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소유, 美 델타항공 인종차별 폭로에 ‘만취 목격담’ 등장… 진실 공방 '가열'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가수 소유가 미국발 한국행 비행기 안에서 인종차별을 당했다고 폭로한 가운데, 같은 항공편에 탑승했다는 한 승객이 “만취 상태였다”고 주장하는 글이 등장했다가 삭제되면서 진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월 19일 소유는 자신의 SNS를 통해 “너무 피곤한 상태에서 식사 시간을 확인하려고 한국인 승무원을 요청했을 뿐인데, 사무장이 저를 문제 있는 승객처럼 대하며 보안요원까지 불렀다”고 폭로했다. 그는 “그 순간 ‘이게 인종차별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15시간 넘는 비행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소유의 폭로 직후 온라인상에서는 항공사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반대 목격담이 등장했다. 한 네티즌은 “같은 비행기에 탑승했는데, 소유가 만취 상태였다”며 “직원들이 ‘취한 상태에서 비행기 타면 안 된다’고 말하는 걸 들었다. 그런 상황을 인종차별로 몰아가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해당 글은 곧 삭제됐다. 일부 누리꾼들은 “델타항공 비즈니스 좌석에는 한국어 메뉴판이 제공된다”며, 목격담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현재 소유 측과 델타항공 모두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다만 소유가

우주청, ADEX 2025 첫 참가…우주항공관에서 한국 기술과 미래 비전 대중 앞에 선보인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우주항공청(우주청)이 출범 후 처음으로 참여한다. 우주청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천문연구원과 공동으로 ‘우주항공관’을 운영하며,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대표 주자들이 뭉쳐 발사체, 탐사, 위성, 천문 분야의 첨단 기술과 정책 비전을 선보인다. 우주항공관 부스에서는 우주항공 공공기술 소개와 더불어 정부가 중소기업 혁신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SBIR 프로그램 참여 기업 세미나도 진행되어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활발히 추진한다. 이번 전시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항공우주·방위산업 전문 전시회로, 전 세계 주요 기관 및 기업들이 참여하는 국제 행사이기도 하다. 특히 10월 20일 영국의 산업부 및 우주청 대표단과 양자 면담을 통해 우주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브라질 국영항공우주공사(ALADA)와는 내달 예정된 국내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의 첫 상업 발사 지원을 요청한다. 이노스페이스는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25톤급 추력의 1단 하이브리드 엔진과 3톤급 액체메탄 엔진으로

[이슈&논란] 인천행 중국 여객기, 리튬배터리 화재로 상하이 비상착륙…"한국인 승객 보유 보조배터리 발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 항저우에서 인천으로 향하던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CA139편 여객기가 기내 수하물에 실린 리튬배터리 발화로 인해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 비상 착륙했다. 사고는 2025년 10월 18일 오전 9시 47분 항저우 샤오산국제공항을 이륙한 지 약 1시간 18분 후 발생했으며, 항공기는 오전 11시 5분께 안전하게 착륙했다. 18일 중국국제항공과 극목신문 등 중국 매체들 보도에 따르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승무원들이 신속히 대응해 화재를 진압했다. 이후 항공사는 대체 항공기를 투입해 오후 3시 3분 상하이를 재출발, 오후 5시 34분 인천국제공항에 무사히 도착했다.​ 사고 원인과 승객 대응 사고 원인은 승객의 수하물에 실린 리튬배터리의 자연 발화로 확인됐다. 중국국제항공은 공식 성명을 통해 “한 여행객이 수하물 칸에 실은 수하물 내 리튬배터리가 자연 발화했다”며 “승무원들이 절차에 따라 즉시 처치해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밝혔다. 소셜미디어에 공개된 영상에는 기내 수하물 선반에서 불길이 치솟는 장면과 승객들이 비명을 지르는 모습이 담겨 있으며, 승무원들이 소화기를 들고 신속히 대응하는 장면도 확인된다. 한 탑승객은 “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