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NASA, 외계행성 탐지 위한 두 가지 획기적 기술 개발…우주 관측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가 외계 행성 탐사 및 특성화에 핵심적인 두 가지 혁신적 기술을 공개했다.

 

첫 번째는 스토니브룩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정교한 항성 흑점 지도 작성 기술 ‘StarryStarryProcess’이고, 두 번째는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에서 추진 중인 팽창식 스타셰이드(별가리개)다.

 

Space Daily, centauri-dreams.org, NASA Scientific Visualization Studio, Jagran Josh, NASA Science의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이 두 기술은 외계 행성 대기 관측과 별빛 간섭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 향후 여러 임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교한 항성 흑점 지도 작성 기술: 별빛 간섭 문제 해결의 열쇠


2025년 8월 25일 《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된 ‘StarryStarryProcess’는 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인 TESS와 은퇴한 케플러 우주망원경 데이터를 활용해 멀리 떨어진 별의 흑점을 고정밀로 매핑하는 계산 모델이다. 스토니브룩 대학 사비나 사귄바예바 대학원생이 이끄는 연구팀은 이 모델이 기존 ‘별은 균일한 빛을 발하는 원반’이라는 가정을 넘어 별 표면의 복잡한 흑점 분포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처녀자리 141광년 거리의 가스행성 TOI 3884 b 주변 별이 북극 부근에 흑점이 집중돼 있음을 확인, 외계 행성 대기 신호에서 별빛 간섭을 보정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이는 생명지표인 수증기 등 대기 구성의 오차를 줄이고 외계 생명 탐색의 신뢰도를 크게 높인다.

 

브렛 모리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항성 특성을 더 잘 이해하면 행성에 대해서도 더 많이 알 수 있는 일종의 피드백 루프”라며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팽창식 스타셰이드: 질량·비용 획기적 절감 및 자외선 관측 혁신


한편 NASA 고다드센터의 존 매더 박사가 주도하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위한 팽창식 스타셰이드(ISEE)’는 35~100미터 크기의 팽창식 가림막으로 설계돼 기존 전개식 스타셰이드 대비 10배 이상 질량 감소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팽창식 구조는 운반과 전개를 용이하게 해 향후 거주가능 세계 관측소(Habitable Worlds Observatory, HWO) 및 유럽 대형 망원경(39m급)의 관측 능력을 크게 보완할 전망이다.

 

스타셰이드는 망원경과 대상 별 사이에 위치해 별빛을 최대 100억 배까지 차단, 오존 탐지가 가능한 자외선 파장에서도 외계행성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이 큰 차별점이다. 코로나그래프와 달리 어떤 망원경에도 호환되며 광학 효율이 완벽한 것이 특징이다.

 

매더 박사는 “어떤 망원경이라도 외계행성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임무 시사점과 우주 관측 혁신


두 기술은 NASA의 판도라(Pandora) 미션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 올해 가을 스페이스X 팰컨(Falcon) 9 로켓으로 발사되는 판도라는 1년 임무 동안 최소 20개 외계행성을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동시 관측 방식으로 분석해 별빛 간섭과 행성 대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예정이다.

 

이러한 다중 파장 관측은 StarryStarryProcess와 팽창식 스타셰이드의 기술적 진보와 시너지를 내며 외계행성 대기 조성 및 거주 가능성 연구에 새로운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2020년 천체물리학 10년 계획에서 권고된 지구형 외계행성 직접 영상화 및 바이오시그니처 탐색 목표 달성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며, HWO가 포함하는 코로나그래프의 한계를 팽창식 스타셰이드가 보완, 특히 자외선 관측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NASA의 두 가지 첨단 기술 발표는 외계행성 연구에서 별과 행성 간 신호 분리 문제 해결, 비용과 무게 문제 극복, 보다 정밀한 잠재 거주 가능성 탐색 등 다방면에서 미래 우주 탐사에 중대한 이정표를 제시한다. 전문가들은 이 기술들이 향후 수십 년간 외계행성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명적인 도약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무안공항 활주로에 띄운 '179개의 유등’…유족들 합동차례·진상규명 촉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10월 6일 무안공항 활주로에 179개의 LED 유등이 등장했다. 179개의 LED 유등에는 ‘보고싶다’, ‘평안하길’ 등의 문구가 적혀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추석 당일인 6일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기억의 활주로, 별이 된 당신께’ 행사를 열고 희생자를 추모했다. 행사는 오후 7시 어둠이 깔린 뒤 사고 당시 피해를 키운 요인으로 지목되는 활주로의 둔덕 앞에서 진행됐다. 유가족과 광주시장, 국회의원 등 내외빈 300여명이 참석한 합동 차례에서는 희생자들의 애도를 위한 묵념, 추모사, 분향이 엄숙히 진행됐다. 2024년 12월 29일, 태국 방콕을 출발해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동체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를 이탈, 공항 시설물과 충돌 후 폭발하는 참사가 발생해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국내 항공기 사고 중 최대 인명피해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항공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남았다. 사고 원인은 조류 충돌로 인한 랜딩기어 및 유압계통 고장으로 동체 착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조

[내궁내정] 대한항공 1등석엔 어떤 제품들이 제공될까?..지드래곤 입은 프레떼 파자마부터 그라프 어메니티까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대한항공이 2025년 신규 기업 CI 발표에 맞춰 기내 서비스와 용품을 대폭 업그레이드하며 프리미엄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가운데, 일등석 승객에게 제공되는 럭셔리 브랜드들이 주목받고 있다. 가수 지드래곤이 최근 미국 뉴욕에서 귀국하면서 인천공항에서 입었던 파자마가 대한항공 일등석 승객들에게 제공되는 프레떼(Frette) 브랜드 제품으로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이탈리아 160년 전통의 프레떼는 전 세계 6성급 호텔 등이 채택한 최고급 침구 브랜드로, 대한항공과의 협업을 통해 기내용 이불, 베개, 편의복, 슬리퍼 등 전 품목을 제작했다. 특히 일등석에 제공되는 이불과 베개는 보온성과 통기성이 뛰어난 덕다운 소재와 면 3

[우주AtoZ] 베이조스 “수십년 내 수백만명 우주 거주…AI와 로봇이 우주경제 선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향후 수십년 안에 수백만명이 우주에 거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로이터, 테크버즈, 타임스오브인디아, CNBC에 따르면,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베이조스는 “수백만명이 우주에 살게 될 것”이라며 대부분 이들이 자발적으로 우주 거주지를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인류의 생활공간이 지구를 넘어 우주로 확장되며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자리잡을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베이조스는 자신이 설립한 우주개발 기업 블루오리진의 비전을 소개하며, "로봇이 대부분의 노동을 담당하고, 지구 궤도 위에 거대한 AI 데이터센터들이 떠 있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데이터센터들은 풍부하고 끊김 없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지구 기반 데이터센터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면에서 더 우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격한 성장으로 막대한 전력과 냉각용 물이 필요해지면서, 우주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계획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들 거대 데이터센터는 향후 10~20년 내 우주에 세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