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최첨단 로켓·최악의 부상률"…스페이스X ‘스타베이스’, 안전관리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스페이스X의 ‘스타베이스’(Starbase) 시설의 근로자 부상률이 경쟁사를 비롯한 업계 평균의 6배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글로벌 우주 산업 내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고 TechCrunch, Techstory Media, SSBCrack News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업계 평균 치솟는 부상률, '30년 전 수치'로 회귀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이 공개한 2024년 자료에 따르면, 스타베이스의 총 기록 가능한 사고율(TRIR, Total Recordable Incident Rate)은 100명당 4.27건에 달한다. 이는 우주선 제조업계 평균(0.7건)의 약 6배, 항공우주산업 전체 평균(1.6건)의 약 3배 수준이다.

 

역사적으로도 우주선 제조업의 부상률이 1994년 4.2건에서 2023년 0.7건으로 급감한 가운데, 스타베이스의 최신 수치는 ‘30년 전’ 업계의 위험지표와 맞먹는 반면 정책적·기술적 안전개선이 체감되지 않는 셈이다.

 

스페이스X 내에서도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


스페이스X의 다른 주요 시설들은 현저히 낮은 사고율을 보였다. 스타베이스(Starbase) 4.27, 맥그리거(엔진 개발/테스트) 2.48, 바스트롭(위성제조) 3.49, 호손(팔콘로켓 생산) 1.43, 레드먼드(위성제조) 2.89 등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주항공 업계 평균 1.6보다도 높은 수치다.

 

게다가 동종 경쟁사 ‘유나이티드런치얼라이언스’(얼라배마) 1.12건, ‘블루오리진’(플로리다) 1.09건 등과 비교해도 경쟁사들은 스타베이스의 4분의 1 미만에 불과하다.

 

심지어 스페이스X 내 브레이크스루급 위험구역으로 꼽히는 ‘웨스트코스트 부스터 회수팀’ TRIR 7.6건을 제외하면, 스타베이스가 단연 '최고 위험지역'으로 평가된다.

 

반복되는 산업재해, ‘구조적 안전관리 부실’…2019년 이후 위험관리 경고음


2024년 6월, 스페이스X 스타베이스(Starbase)의 현장에서 발생한 크레인 붕괴 사고가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의 공식 조사 대상에 올랐다. 해당 사고는 직전의 스타쉽(Starship) 폭발로 인한 잔해를 치우던 작업 도중 발생한 것으로 밝혀지며, 개발 일정에 쫓긴 현장작업의 위험성이 도마에 올랐다.

 

이전에도 중대한 근로자 산업재해는 반복되어 왔다. 2021년에는 근로자가 부분 손가락 절단을 입는 심각한 사고가 공식 보고되었으며, 연방 조사기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 해에만 3558일에 달하는 제한 근무일과 656일의 상실 근무일이 스타베이스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수치는 단일한 이례적 사고가 아니라, 2019년 해당 시설이 별도의 안전관리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로 이어지고 있는 고질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매년 반복적으로 보고되는 대형 산업재해와 출근 제한·손실 근무일수의 누적 상황이, 스타베이스가 단순 산업안전 관리 실패를 넘어 구조적으로 안전문화가 정착되지 않은 현장임을 방증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OSHA 및 주요 산업안전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간 드러난 다양한 사고와 연속된 재해 통계는, 일회성 실수가 아니라 현장 안전정책과 관리 시스템 자체에 근본적 허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스타베이스의 이같은 반복적 안전사고 패턴은 우주 개발의 빠른 진척을 위한 일정 부담과 현장 여건 미비, 그리고 체계적인 안전거버넌스 미흡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나타난 ‘구조적 위험’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도마 위에 오른 ‘우주개발 속도전-안전’ 딜레마


OSHA는 지난 4년간 스페이스X 시설 14건의 조사를 진행, 이 중 6건을 스타베이스 사고에 집중했다. 전 OSHA 비서실장 데비 버코위츠(전문가)는 “TRIR 수치는 매우 심각한 안전경보”라며 체계적 대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업계에선 단순 통계수치(TRIR)가 전부는 아니라는 견해도 있으나, 스타베이스의 ‘이례적 리스크’는 부정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쉴 새 없는 개발’ 뒤엔 ‘쉴 새 없는 사고’…NASA “TRIR만으론 개입 곤란, 정기 협의”

 

스타베이스는 일론 머스크의 ‘화성 프로젝트’ 및 스타쉽(Starship) 차세대 초대형 우주선 개발의 심장부다. 회사는 2023년 4월 이후 스타쉽을 8회 통합발사했으며, 그중 3차례는 ‘젓가락 암(Chopstick Arm)’을 이용한 슈퍼헤비 부스터 회수 등 혁신적 업적을 쏟아냈다. 하지만 급박한 개발일정의 그늘에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스타쉽의 달 착륙 임무에 4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중대한 안전위반이 발생할 경우 계약상 개입권한을 가진다. 그러나 TRIR 숫자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즉각적 계약해지나 개입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NASA 측은 “안전문제는 정기협의와 현장방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스페이스X와 협업 중”이라고 전했다.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는 ‘우주 속도전’의 이면에, 노동현장의 피로와 위험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핵심 시설이자 ‘혁신의 현장’인 스타베이스가 과거로 회귀한 듯한 산업재해 지표를 보이면서, 우주 산업의 진정한 지속가능성은 개발 속도가 아닌 ‘인간의 안전’이라는 점을 다시금 묻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항공기 비만세 현실화"…美 사우스웨스트항공, ‘플러스 사이즈’ 승객 추가 좌석 구매 의무화 시행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저가항공사 사우스웨스트항공이 2026년 1월 27일부터 ‘플러스 사이즈(passenger of size)’ 승객을 대상으로 추가 좌석을 사전에 구매하도록 하는 새 정책을 도입한다. CNN, LA타임스, 뉴스위크 등의 보도에 따르면, 기존에는 공항에서의 무료 추가 좌석 요청이나 조건부 환불이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환불 요건이 대폭 강화되고 사전 구매를 반드시 해야 하며, 사전 구매 없이 탑승하려는 경우에는 공항에서 추가 좌석을 바로 구입하거나 항공편을 변경해야 한다. 사우스웨스트항공 좌석 폭은 보잉737 모델 기준 15.5인치(약 39cm)에서 17.8인치(약 45cm)로, 양 팔걸이 내 공간에 몸이 맞지 않는 승객이 대상이다. 기존 정책에서는 추가 좌석 구매 후 환불이 비교적 자유로웠으나, 새 환불 정책은 ▲탑승 항공편이 만석이 아닐 것 ▲추가 좌석을 동일한 예약 등급으로 구매했을 것 ▲비행 후 90일 이내에 환불 요청을 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대도시간 주요 노선의 경우 만석이 많아 환불받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번 조치는 사우스웨스트가 기존 ‘고객 중심 정책’과 ‘열린 좌석선택(open

[지구칼럼] 번개, 자동차 배출가스만큼 공기오염? 질소 산화물 배출 '확인'…"대기 오염원이자 정화제 역할 동시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은 번개가 대기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으며, 뇌우가 자동차 배기가스 오염에 필적하는 속도로 질소 산화물을 대기 중에 주입하는 과정도 밝혀냈다. 8월 31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연구팀이 NASA의 첨단 정지궤도 대기질 관측 위성 TEMPO(2023년 발사)를 활용, 번개가 대기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10분 단위로 실시간 추적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 결과, 미국 동부 일대에서 2025년 6월 말 집중적으로 발생한 뇌우에서 번개가 자동차 배기가스와 맞먹는 수준의 질소 산화물(NOx)을 대기에 직접 주입하는 점이 확인됐다. 번개, 전 세계 질소 산화물의 최대 15% 차지 NASA의 자료와 phys.org, miragenews, enn.com, wn.com의 보도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도 천재지변으로 간주된 번개가 오존 생성 등 대기 화학 변화에 영향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으나, 이번의 정밀 계측을 통해 번개가 전 세계 대기 질소 산화물 전체의 10~15%를 차지한다는 구체적 수치가 처음 제시됐다. 참고로 질소 산화물은 자동차, 공장, 발전소 등 인류 산업활동의 부산물로

우주부품 국산화 ‘주춧돌사업’ 본격 착수 "5년간 225억 투자"…6종 핵심소자 개발 및 우주방사선 시험기술 확보 목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2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소자급 우주 부품 국산화와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 개발을 본격 추진하는 ‘미래 우주경제 주춧돌사업’을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주 분야 핵심 부품 6종(수동소자 3종과 능동소자 3종)을 국산화해 양산 공급 단계까지 개발하는 것이 사업의 주요 목표다. 수동소자는 전류 흐름 제한, 전하 저장, 신호 통과·차단 역할을 하며, 능동소자는 전기 신호 증폭, 스위칭,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우주 환경에서 소자의 성능과 내구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양성자 및 중이온 기반의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을 국내 장비를 활용해 개발한다. 이 과제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큐알티(주) 등 총 8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한다. 한창헌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주춧돌사업을 통해 핵심 우주 부품에 대한 해외 공급 위험도를 완화시키고, 기술 자립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이자, 우주 개

[이슈&논란] "비행기만 있고 승무원이 없네" 대한항공 승무원 단체 지각…90분 기다린 200명 승객들 '분통'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대한항공 세부발 인천행 항공편이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1시간 반 늦게 출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8월 16일 필리핀 세부 막탄세부공항에서 인천으로 출발할 예정이던 대한항공 KE616편이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인해 예정 시각보다 1시간 30분 넘게 지연 출발해 승객들의 불만이 크게 폭발했다. 항공사 측은 지연 사유로 ‘연결 항공편 도착 지연’을 안내했으나, 실제 이유는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탑승 준비가 늦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당일 자정 출발 게이트 인근에서는 이미 항공기 한 대가 탑승교에 연결되어 대기했음에도 승무원들이 오전 2시가 돼서야 유니폼을 입은 상태로 도착해 탑승이 시작됐다. 이로 인해 제 시간에 도착한 200여명의 승객은 1시간 30분 동안 공항 게이트 앞에서 기다려야 했던 상황이다. 승객 A씨는 “출발 지연 이유에 대해 공식 안내는 연결 항공편 문제였으나, 실제로는 승무원들이 늦게 도착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대한항공은 악천후로 인해 세부 지역에서 선행 항공편 도착이 늦어지고, 현지 폭우로 교통 통제가 발생하면서 승무원들의 공항 도착이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다만 승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