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스페이스X ‘북극권 정복’ 가속…24기 스타링크 극궤도 발사로 알래스카 인터넷 대역폭 ‘두배’ 도약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가 7월 19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타링크(Starlink) 17-3’ 미션을 통해 24기 스타링크 위성을 드물게 97도 경사의 극궤도(polar orbit)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NASA 공식 블로그, 스타링크 공식발표, 스페이스X Now 통계를 기초로 Spaceflight Now, NewsBytesApp의 보도에 따르면, 7월 19일 현지시각 오후 8시 52분(한국시간 20일 오후 12시 52분), 팰컨 9 로켓은 총 14번째로 임무를 수행한 1단 부스터 B1082와 함께 출발했다.

 

이번 임무로 스페이스X는 북극권 국가 중 인터넷 소외지역이었던 알래스카·북캐나다에 초고속 통신망 확대라는 획기적 전환점을 맞췄다.

 

스페이스X도 “2025년 말까지 극궤도 경사로 400기 이상 위성을 추가할 것"이라며 "알래스카 등 고위도 지역의 인터넷 대역폭 두 배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극지’ 정복 위한 전초전…알래스카 인터넷, 한달 새 피크 시간 속도 두 배 ‘점프’


스페이스X는 이번 발사를 포함, 2025년 말까지 극궤도에 400기 이상의 스타링크 위성 추가 배치를 예고하고 있다. 2024년 7월부터 극궤도 초도 배치 위성이 알래스카 서비스에 본격 투입되면서, 현지 피크타임(최대 트래픽)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한 달 만에 거의 두 배 상승했다”는 데이터가 공식 발표됐다. 이는 고위도 지역 이용자의 소외를 해소하려는 전략적 의지의 결실이다.

 

현재 전 세계 7900기 이상의 활성 스타링크 위성이 저궤도를 ‘네트워크 매트릭스’처럼 커버한다. 2025년 7월 스페이스X는 누적 477회의 1단 부스터 착륙과 443회의 재활용 이력을 기록, 팰컨 9의 신뢰성 및 수명 극대화를 입증한다. 이번 발사에 투입된 2세대 스타링크 미니 위성은 1세대 대비 데이터 처리능력이 4배 증가하여, 매주 총 5000Gbps 이상 용량을 별자리에 추가 중이다.

 

 

올해만 80회+ 발사, ‘서해안=극궤도’ 공식화…NASA TRACERS도 준비

 

2025년 현재 스페이스X의 연간 발사 목표는 기록적인 170회에 달한다. 7월 현재까지 88회가 집계되며, 밴덴버그 발사기지에서는 미국 전체 궤도발사 1/3이 집행되고 있다.

 

각국 과학계의 이목이 집중된 NASA의 지자기 연구 프로젝트 ‘TRACERS’ 임무도 곧 밴덴버그에서 라이드셰어(동승발사)로 예약된 상태다.

 

“고위도·극지 인터넷 전환점”…전 세계 위성통신 시장 판 흔든다


스페이스X의 초고속 스타링크 확장은 전통 통신방식(GEO, MEO 기반) 대비 데이터 레이턴시·가용성에서 압도적 강점을 확보, 경쟁사 대비 네트워크 ‘구석구석’ 확대의 모범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이번 극궤도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2026년부터는 3세대 위성까지 출시 예정으로, 데이터 용량과 서비스 지역 추가 확장이 예고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KAI, 2025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KF-21 양산 맞춰 생산·구매 인력 확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이 9월 2일부터 2025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시작한다. 이번 채용은 △연구개발, △생산관리/기술, △품질, △구매, △경영지원 등 전 직군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특히 지난 공군과의 KF-21 최초 양산 계약 이후 안정적인 생산 역량 확보를 위해 생산기술 분야와 구매 직무의 채용 비중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항공우주산업의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KAI는 미래 먹거리 발굴과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주, UAM(도심항공교통), 무인체계 등 차세대 항공우주 분야에서의 신사업 확장을 준비하며, 이를 주도할 혁신 인재 확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채용 공고와 함께 9월부터는 전국 주요 대학을 직접 찾아가는 캠퍼스 리크루팅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25개 이상의 국내 대학을 방문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채용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며 해당 학교 재학생 뿐만 아니라 졸업생 및 타 학교 학생 등 KAI 신입사원 채용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특히 캠퍼스 리크루팅 현장에서는 해당 학교 출신의 현직자들이 직접 상담에 나서며, 지원자들은 회사 및 직무에

[이슈&논란] "항공기 비만세 현실화"…美 사우스웨스트항공, ‘플러스 사이즈’ 승객 추가 좌석 구매 의무화 시행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저가항공사 사우스웨스트항공이 2026년 1월 27일부터 ‘플러스 사이즈(passenger of size)’ 승객을 대상으로 추가 좌석을 사전에 구매하도록 하는 새 정책을 도입한다. CNN, LA타임스, 뉴스위크 등의 보도에 따르면, 기존에는 공항에서의 무료 추가 좌석 요청이나 조건부 환불이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환불 요건이 대폭 강화되고 사전 구매를 반드시 해야 하며, 사전 구매 없이 탑승하려는 경우에는 공항에서 추가 좌석을 바로 구입하거나 항공편을 변경해야 한다. 사우스웨스트항공 좌석 폭은 보잉737 모델 기준 15.5인치(약 39cm)에서 17.8인치(약 45cm)로, 양 팔걸이 내 공간에 몸이 맞지 않는 승객이 대상이다. 기존 정책에서는 추가 좌석 구매 후 환불이 비교적 자유로웠으나, 새 환불 정책은 ▲탑승 항공편이 만석이 아닐 것 ▲추가 좌석을 동일한 예약 등급으로 구매했을 것 ▲비행 후 90일 이내에 환불 요청을 해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대도시간 주요 노선의 경우 만석이 많아 환불받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번 조치는 사우스웨스트가 기존 ‘고객 중심 정책’과 ‘열린 좌석선택(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