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블루 오리진, NASA 화성 임무 9월 말로 연기…복합 궤도·부스터 회수 '도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블루 오리진이 NASA의 야심찬 ESCAPADE(화성 탈출 및 플라스마 가속·동역학 탐사선) 임무를 탑재한 두 번째 뉴 글렌(New Glenn) 로켓의 발사 일정을 2025년 9월 29일 이후로 재조정하면서, 항공·우주 산업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NASA와의 협력 하에 임무 준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ESCAPADE 임무 개요 및 궤도 특징

 

Space.com, Payload.space, SpaceRef, New Glenn Payload Guide등의 보도에 따르면, ESCAPADE는 약 8000만달러가 투입된 NASA의 SIMPLEx(저비용 천체 탐사) 프로그램의 대표 사례로, 쌍둥이 탐사선 ‘블루’와 ‘골드’가 함께 화성 대기 및 자기권, 태양풍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된다.

 

이는 지구 밖 태양계 심우주 탐사, 우주기상 연구, 인류의 대행성 이주 및 유인 탐사의 관문 중 하나다.

 

발사 창 미스 및 궤도 설계


ESCAPADE는 애초 2024년 10월 직접 화성행 투입이 목표였으나, 1차 발사(1월 NG-1)에서 부스터 회수 실패 및 스케줄 지연으로 인해, 2025년 9월 이후 지구-태양 L2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으로 먼저 이동 후 1년간 우주기상 관측을 진행, 이후 지구 근처에서 중력 보조 기동(gravity assist)을 수행해 2027년 9월 최종 화성 도착이라는 ‘복합 미션 프로파일’로 변경됐다.

 

탐사선 사양

 

각 탐사선은 건조중량 약 200kg, 총중량 550kg 미만으로, Rocket Lab ‘Photon’ 버스 기반, 480x70cm 태양광 패널 2매, 60cm X-밴드 파라볼라 안테나, Arianespace 화학추진계(스러스터) 장착으로 대기·자기권 연구와 고정밀 궤도 제어가 가능하다.

 

 

뉴 글렌 발사 및 부스터 회수 재도전


뉴 글렌 로켓의 사양은 이중식 1·2단 구조, 1단 전체 길이 57.4m(188.5피트), 최대 저궤도(LEO) 투입 중량 45,000kg, 정지궤도(GTO) 1만3000kg, 재사용 1단 부스터 시스템(회수 조건 충족 시)을 채택했다.

 

복구 도전 시나리오

 

1월 첫 발사(“So You're Telling Me There’s a Chance”)에서 궤도 투입에는 성공했으나 대서양 드론 바지선 회수에는 실패했다. NG-2 미션에서는 CEO 데이브 림프가 “처음으로 드론 선박 위 부스터 착륙 및 회수 성공” 의지를 밝히고 있다. 만약 이번에 성공한다면, 스페이스X ‘팔콘9’ 같은 반복 발사체제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임무의 과학적·산업적 가치


ESCAPADE 쌍둥이 탐사선은 각각 화성 궤도에 진입해 마그네토스피어 및 태양풍-대기 상호작용을 실시간 분석, 향후 인류 유인 탐사 시 우주방사선, 자외선, 대기 손실 메커니즘 연구에 기여할 예정이다.

 

NASA는 이번 미션이 “화성 대기 연구, 즉 심우주로 여러 우주비행사·우주선 보호에 결정적 데이터를 제공”이라고 평가를 받고있다. 부수적인 탑재물로는 Viasat의 통신서비스 프로젝트 실증 장비가 동시 발사된다.

 

우주항공 전문가들은 "뉴 글렌의 ESCAPADE 프로젝트는 낮은 비용·최첨단 궤도 설계·부스터 회수 시스템 등 차세대 우주탐사 플랫폼의 첫 시금석"이라며 "향후 화성 유인 탐사, 심우주 대기 연구, 소형 위성 플랫폼 실증 등 미·중·EU간 우주산업 경쟁의 핵심 전환점이 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무기시장에서 '애물단지' 된 F-35, 스위스·캐나다·유럽 줄줄이 구매 재검토…관세·가격인상에 흔들리는 '美 전투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이 수입 무기와 부품에 대해 스위스를 상대로 39%의 관세를 부과하고, F-35 도입비용마저 추가 인상되자 스위스와 여러 유럽 국가들이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도입 결정을 잇따라 재고하고 있다. 폴리티코 유럽판, 디펜스뉴스(Defense News),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미 국방부(DoD) 등의 보도와 자료를 취합해 볼 때, F-35의 글로벌 시장 입지와 미국 방산 산업의 신뢰가 흔들리는 조짐이다. 스위스 현지 정치권에서는 "미국이 F-35 구매국에 미군과 동등한 조건만을 보장한다"며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이 또다시 인상될 경우, 차라리 계약을 파기하거나 이미 지불한 일부 기체만 인도 받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스위스 연방의회에서는 녹색당 발타자르 글레틀리 의원의 주도로 F-35 구매 계획 취소안이 공식 발의되기도 했다. 스위스는 당초 2021년 10조원(60억 스위스프랑)을 투입해 F-35A 36대를 도입하기로 결정, 2027~2030년까지 인도를 계획했으나, 미국 측에 비용 추가 인상을 통보받으면서 부담이 커진 상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스위스에만 국한되

[이슈&논란] 인천공항行 에어아시아, 김포공항에 내렸다고?…미스터리 착륙에 승객 2시간 '진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인천공항 도착 예정이던 말레이시아발 에어아시아 X D7 506편이 2025년 8월 13일 저녁, 예고 없는 김포공항 착륙으로 승객들의 혼란과 불편이 이어졌다. 실제로 항공기 내 안내 방송에서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는 기장 멘트가 나왔지만, 바깥 풍경은 김포였다. 승무원조차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고, 승객에게 되묻는 초유의 장면이 연출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항공편은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에 19시50분 도착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국 상공에서 약간의 선회 후 20시08분, 목적지를 변경해 김포공항에 착륙했다. 이후 약 2시간 동안 김포공항에 머물렀다가, 22시03분에 재이륙해 22시56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승객 불만은 컸다. 취재에 응한 김모씨(38)는 “비상 착륙 원인으로 ‘난기류’, ‘연료 부족’ 얘기가 나왔으나, 실제로 연료를 보충하는 모습도 없었고 인천 도착시 사과도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승무원이 안내방송에서 “연료가 부족해 비상 상황으로 김포에 내린다”고 설명했으나, 승무원들마저 당황해 승객들에 상황을 묻는 모습이 공개됐다. 항공기 착륙 절차상, 목적지 변경은 관제와 항공사 간 긴밀한 교신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