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챗GPT가 일상대화 어휘까지 바꿨다…‘스며들기 효과’로 AI 언어패턴 인간 화법에 영향 주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주변 사람들과의 일상대화에서 ‘surpass(능가하다)', ‘boast(자랑하다)', 'strategically(전략적으로)', ‘significant(중요한)'이란 단어사용이 증가하지 않았나요?

 

바로 이 단어들은 최근 연구팀이 AI가 자주 쓰는 단어로 꼽은 것이다.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연구논문을 기초로 Scientific American, Nature 등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연구팀과 독일 막스플랑크 인문발달연구소 등 다수 글로벌 연구진들이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인간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잇달아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이들은 인공지능 대형언어모델(LLM)인 챗GPT가 단순한 정보 도구를 넘어 인간의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어휘에도 점진적으로 스며들어, 사람들이 AI가 선호하는 일부 단어와 표현 방식을 무의식적으로 따라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AI가 급증시킨 단어들, 일상 발화에서 눈에 띄게 확대…'문화 피드백 루프’ 현상


2025년 7월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AI가 자주 쓰는 ‘surpass’(능가하다)는 단어 사용빈도가 챗GPT 출현 이후 140.79%나 증가했다. ‘boast’(자랑하다)도 140.14%, 이어 ‘strategically’(전략적으로) 87.93%, ‘align’(맞추다) 36.59%, ‘significant’(중요한) 17.35% 증가하는 등 AI 특유의 어휘 패턴이 일상 영어 구어에서 명확히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I가 단어 선택에 쓰는 통계적 경향이 인간에게 되돌아가며 영향을 미치는 ‘문화 피드백 루프’ 현상을 확인했다.

 

반면, ‘delve’(탐구하다)처럼 AI가 과잉 사용한다고 알려진 문어체 단어는 일상 회화에서 증가폭이 크지 않은 반면, ‘realm’(영역), ‘crucial’(중요한)은 오히려 감소세였다. 이는 AI의 영향이 글쓰기와 대화 방식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며, 모든 AI 어휘가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인간과 AI 상호작용으로 변화하는 언어 환경


연구를 주도한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전산언어학자 톰 유젝 교수는 "오늘날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는 AI가 훈련받는 데이터의 일부가 되고, AI가 생성한 언어는 다시 인간이 접하는 언어로 자리잡는 상호작용적 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AI 언어 패턴이 인간 언어에 ‘스며들기 효과’를 일으켜, 우리가 무의식중에 AI와 비슷한 어휘 선택과 말투를 채택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팟캐스트, 유튜브 영상 등 1300여개 이상의 자유 대화 샘플에서 챗GPT 등장 전후 2년간 2000만 단어 이상의 발화 자료를 분석했다. AI 어휘가 사람들의 일상 발화에 유의미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지식인 및 권위자로 인식되는 AI의 언어 영향력이 커진 점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사회문화적 함의와 미래 전망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및 유럽 주요 연구기관들도 AI가 인간 언어 규칙과 문법 패턴을 학습하며, 이와 반대로 인간이 AI 언어 패턴을 따라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고했다. 이는 언어 다양성 감소 우려와 사회적·정치적 편향이 AI 언어 패턴에 내재될 경우, 인간사회 전반의 가치 및 신념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특히 AI가 ‘표준 영어’ 위주 언어패턴을 강화하며 지역 방언과 독특한 언어 특유성을 희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이는 개성과 진정성을 보여주는 인간 언어의 다양한 미묘한 표현들이 축소될 위험성을 경고한다.

 

인간-인공지능 ‘언어 공생’ 시대 도래


챗GPT 이래 AI는 교육, 과학, 업무뿐 아니라 우리 일상 대화의 말투와 어휘 선택까지 점차 바꾸고 있다. 인간과 AI가 서로의 언어를 모방하고 영향을 주고받는 새로운 시대가 열린 셈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언어 다양성 보존과 AI 편향성 통제 등 사회적 논의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도 명확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日 요미우리 신문, 美 AI스타트업 퍼플렉시티 상대로 200억원대 저작권 소송…"미디어와 AI기업간 저작권 갈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신문이 미국의 생성형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자사 온라인 기사 무단 사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 혐의로 손해배상 소송을 도쿄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요미우리는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11만9000여건에 달하는 기사 무단 복제로 인해 자사 웹사이트 방문자 수가 감소하고 광고 수익이 줄어들었다며, 총 21억6800만엔(약 204억원)의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소송은 일본 주요 언론사가 생성형 AI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최초의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평가된다. 요미우리 측은 퍼플렉시티가 AI 기반 검색 서비스로서 이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인터넷 최신 정보를 수집해 요약해 제공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자사 기사를 복제·송신해 복제권과 공중송신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런 무단 이용이 뉴스 사이트 직접 방문을 줄여 정확한 기사접근성을 저해하고 이는 곧 민주주의 기반을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에서도 2024년 12월 월스트리트저널과 뉴욕포스트의 모회사인 다우존스가 뉴욕 연방법원에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유사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바 있어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갈등이

[빅테크칼럼] 테슬라 "AI 야망 리셋" 머스크 '도조 슈퍼컴퓨터팀' 해체…Density AI·삼성 동맹 '양날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차와 인공지능(AI) 혁신의 중심에 있었던 테슬라의 도조(Dojo) 슈퍼컴퓨터 프로젝트가 전격적으로 종료된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복수의 해외 매체가 8월 7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도조 슈퍼컴퓨터 팀 해체와 프로젝트 중단을 직접 지시했다. 이에 따라 테슬라 반도체·AI 훈련 하드웨어의 핵심을 자임했던 도조 팀 리더 피터 배넌(Peter Bannon)이 회사를 떠나고, 약 20명 규모의 주요 인력들이 새롭게 창업한 DensityAI 등으로 이탈했다. 남은 인원들은 데이터센터, 컴퓨팅, 반도체 등 다른 부서로 재배치됐다. 테슬라 AI 슈퍼컴퓨터 '도조', "500조 수치도 물거품"…성과 내기 직전 셧다운 도조 슈퍼컴퓨터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완성을 위해 자체 개발한 AI 트레이닝 전용 시스템으로, 전 세계 테슬라 차량에서 수집된 막대한 비디오 데이터와 센서를 처리하는 역할을 해왔다. 모건스탠리 등 주요 투자기관은 이 슈퍼컴퓨터가 테슬라 기업가치를 한때 5000억달러(약 670조원)까지 추가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최근까지도 테슬라는 TSMC와 손잡고 성능이 10배 이상

[빅테크칼럼] 중국, 무장 ‘로봇 늑대’ 군사훈련 배치…미래 전쟁 '로봇 혁명' 예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인민해방군(PLA)이 군사 훈련에서 처음으로 무장한 사족보행 '로봇 늑대'를 배치해 자율 무기 시스템과 인간 병사의 통합에서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 중국 중앙텔레비전(CCTV), 글로벌타임즈의 보도에 따르면, 이 70킬로그램의 로봇들은 QBZ-191 돌격소총과 정찰 장비를 장착하고, 인민해방군 76집단군 소속 두 기계화 보병 중대와 함께 협동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은 구릉 초원 지형에서 진행됐으며, 로봇 늑대들이 복잡한 지형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보병과 대형을 유지하며 최대 100미터 거리에서 정밀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이 로봇 늑대는 단순한 로봇개 수준을 넘어 “정찰 및 타격 능력”이 크게 향상된 최신 모델로, 무리 내에서 역할이 분담되어 실제 늑대 무리처럼 작동한다. ‘무리 우두머리’는 정찰 작전을 주도하며 목표 정보를 지휘 센터에 전송하고, 다른 로봇들은 사수, 보급품 및 탄약 운반 등 다양한 지원 임무를 맡는다. 훈련에 참가한 PLA 인민해방군 여단 소속 후테(Hu Te)는 "이번이 로봇 늑대를 직접 지휘한 첫 경험"이라며, "인간과 무인 장비의 원활한 통합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중국남방공업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