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체첸 수장 ‘기관총 장착 테슬라 사이버트럭’ 자랑…“머스크 고마워”

카디로프, ‘기관총 사이버트럭’ 자랑
“머스크가 줬다”…테슬라 논평 거부
“제재 불구 美전기차 구입 가능 증명”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람잔 카디로프 러시아 체첸 자치공화국 수장이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로부터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직접 운전해 보는 모습을 공개했다.

 

카디로프는 17일(현지 시각) 자신의 텔레그램에 “존경하는 일론 머스크로부터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받았다”며 영상을 공유했다.

 

카디로프가 직접 사이버트럭의 최고급 모델인 ‘사이버비스트’(Cyberbeast)를 운전하는 모습이 담겼다. 사이버트럭 상단 뒤편에는 기관총이 장착됐다. 카디로프는 몸에 탄약을 두른 채 이 기관총 옆에서 포즈를 취하기도 했다. 약 1분 40초 길이의 이 영상 배경에는 웅장한 느낌을 주는 음악이 깔렸다.

 

 

카디로프는 “새로운 기술을 기쁘게 시험해 보았고, 이것이 ‘야수’라고 불리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 차는 매우 기동성이 좋고, 뛰어난 속도를 내며, 장애물을 쉽게 극복한다. 매우 편리하다”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훌륭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이버트럭은 곧 군사 작전 수행(SVO) 지역으로 보내질 예정”이라며 “이 ‘야수’가 우리 전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하다”고 말했다.

 

카디로프는 머스크를 ‘위대한 천재’라고 추켜세우며 “사이버트럭은 분명히 세계 최고의 자동차 중 하나다. 이 차에 정말 반해버렸다”고 했다. “고맙다(스파시바), 일론 머스크”라며 “그로즈니(체첸공화국 수도)에 오면, 가장 소중한 손님으로 대접하겠다. 우리 러시아 외무부가 이러한 방문에 반대하지는 않을 거로 생각한다”고 했다.

 

카디로프가 자랑한 이 사이버트럭이 실제로 머스크가 제공한 건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제재 속에서도 러시아 권력층이 여전히 미국 기업 테슬라의 고급 전기차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dpa통신은 지적했다.

 

 

테슬라는 러시아에 제품을 공식적으로는 공급하지 않고 있다. 서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러시아에 각종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카디로프도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 대상에 포함돼 있다.


한편 카디로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푸틴의 지지로 체첸공화국 지도자로 자리 잡았다. 푸틴은 카디로프에게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했으며, 그 대가로 카디로프는 푸틴 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돕기 위해 수천명의 병력도 배치했다. 서방에서는 푸틴에 충성하는 대가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카디로프를 ‘푸틴의 개’라고도 부른다. 스스로 푸틴의 ‘발 병사’(foot soldier)’라 칭하며 충성심을 과시한다. 한편 2019년 처음 공개된 전기 픽업트럭인 사이버트럭은 지난해 생산, 판매에 들어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