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5.3℃
  • 맑음강릉 6.5℃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6.0℃
  • 맑음울산 7.8℃
  • 맑음광주 9.2℃
  • 맑음부산 11.5℃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2.6℃
  • 맑음강화 7.4℃
  • 맑음보은 3.6℃
  • 맑음금산 3.7℃
  • 맑음강진군 5.5℃
  • 맑음경주시 4.4℃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틱톡 미국 사업부 140억 달러 매각은 대낮의 강도질" 논란…빅테크 업계 “시장가치 1/3에 불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금융 전문가들과 테크 산업 관계자들이 틱톡 미국 사업부의 140억 달러 매각 가격을 두고 맹렬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투자자들에게 매각을 승인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직후, 여러 전문가들은 이번 평가액이 심각하게 저평가됐으며, 일부는 “대낮의 강도질”이라는 직설적 표현까지 등장시켰다.

 

Bloomberg, Fortune, Yahoo Finance, Rolling Stone에 따르면, JD 밴스 부통령은 오라클, 실버 레이크 매니지먼트, 아부다비의 MGX가 틱톡 미국 사업부의 45% 지분 인수를 준비하고 있으며, 바이트댄스는 국가 안보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20% 미만의 지분만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제안된 밸류에이션을 발표했다.

 

이 거래는 120일 이내에 마무리되어야 하며, 이는 바이트댄스가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금지 조치가 내려지는 2024년 법에 따른 강제 매각을 의미한다.

 

업계 “틱톡 실제 가치의 1/3도 안 돼”


스위스계 자산운용사 Union Bancaire Privée의 아시아 테크놀로지 담당 수석 주식 자문위원 Vey-Sern Ling은 “제안된 가치는 대낮의 강도 같다”며 지나치게 낮은 평가액을 지적했다. 벤처캐피털 Alpha Binwani Capital의 창립자 Ashwin Binwani 역시 “이번 인수는 10년간 가장 저평가된 기술 M&A”라며 틱톡의 실제 가치의 1/3 수준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틱톡 미국 사업부, 매출 대비 ‘저평가’


전문가들은 틱톡 미국 사업부의 140억 달러 평가액이 주가매출비율(P/S)을 약 1.4배로 책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엑손모빌이나 제너럴밀스처럼 성장세가 정체된 대형 기업과 유사한 수준으로, 급성장하는 외국계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성장성과 잠재력을 크게 간과한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비교적으로, 메타(전 페이스북)는 10.8배,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8배로 거래되고 있어 차별성이 두드러진다.

 

이전 추정치와 격차… “최소 3~7배 더 높아야”


블룸버그와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해외 전문 매체들은 틱톡 미국 사업부의 과거 기업·재무 평가치가 300~400억 달러, 일부 분석가는 최대 1000억 달러까지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웨드부시 증권사의 Dan Ives에 따르면, 틱톡의 추천 알고리즘 보유 시 추정가치는 1000억 달러에 육박한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틱톡 미국 사업부는 1억 7천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 연매출 100억 달러 이상이라는 실적을 내고 있어, 미국 내 사업이 글로벌 틱톡 전체 중 수익성 측면에서도 핵심으로 부상했다.

 

“강제매각… 미국·중국간 기술 영유권 갈등 심화”


전문가들은 이번 매각이 자유로운 시장거래가 아닌 정치적 강제매각 성격이 짙다는 점을 지적했다.

 

Zero2Launch 벤처파트너 Alvin Foo는 “ByteDance에게 사실상 팔지 않으면 사업을 접으라는 압박을 가하는 수순”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법률·행정 명령에 따라 바이트댄스가 120일 이내에 미국 사업부 지분 대거 매각을 확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오라클, 실버레이크, 아부다비 MGX 등 전통 소셜미디어 기업이 아닌 사업자가 주도하는 점도 향후 틱톡의 전략·알고리즘 통제권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증권·경제·테크 업계 “정상가치 회복 없인 시장타격 불가피”

 

틱톡 미국 법인의 저평가 논란과 강제매각 이슈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글로벌 플랫폼 산업의 시장가치 결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다수의 빅테크 전문가들은 “강압적 매각으로는 기업의 정상가치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향후 추가 논란과 재평가 요구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챗GPT 週 8억명 건강비서 도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헬스케어 분야에 본격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의료 및 건강 관련 핵심 인재 영입과 업계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이터, 비즈니스 인사이더, 아크리브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6월 미국 최대 의료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독시미티' 공동 창업자이자 의사인 네이트 그로스를 헬스케어 전략 책임자로 영입한 데 이어, 8월에는 메타(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에서 제품 총괄 경력을 가진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데려왔다. 이들 리더십 하에 오픈AI는 의료 진단 보조부터 신약 개발 AI 도구 협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 이용자 규모는 주간 8억명에 육박하며,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도 “건강 관리 분야에서 GPT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헬스케어 시장 진출은 단순한 AI 인프라 공급을 넘어, 의료 현장과 소비자에 직접 다가가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최근 오픈AI는 케냐 의

[빅테크칼럼] 테슬라 전기차 핵심 임원 대거 퇴사, 왜?…사이버트럭·모델Y 판매 부진이어 경영까지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해온 테슬라에서 주요 전기차 사업 핵심 임원들이 잇달아 퇴사하고 있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버트럭과 모델Y, 모델3 등 주력 차량을 총괄하며 테슬라의 미래 전략을 이끌던 간판 임원들이 한꺼번에 회사를 떠나면서 조직 내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판매 부진과 맞물려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해석된다. 로이터, 블룸버그,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트럭 개발과 양산을 책임졌던 시단트 아와스티는 8년간 몸담은 테슬라를 떠난다고 2025년 11월 9일 본인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밝혔다. 아와스티는 2017년 인턴으로 입사해 사이버트럭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지난 7월부터는 주력 세단 모델3 담당으로 이동해 있었다. 같은 날 모델Y 담당 임원 이매뉴얼 라마키아도 8년간 근무를 마치고 퇴사 소식을 전했다. 두 임원 모두 구체적인 퇴사 이유나 향후 행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퇴사는 2024년부터 이어진 경영진 및 기술 인력들의 대거 이탈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데이비드 라우가 AI 기업 오픈AI로 이직했으며, 로봇 사업부 옵티머스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