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X(트위터) 소유주 머스크도 가짜뉴스에 속았다…英 극우인사 리트윗 '망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의 소유주 일론 머스크가 최근 영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폭동과 관련한 가짜 뉴스에 속았다. 머스크는 이 게시물을 리트윗(공유)했다가 망신을 샀다. 

 

소셜 네트워크 X(구 트위터) 소유자 조차도 사이트에서 전파되는 잘못된 정보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다. 최근 영국 폭동이 X에 올라온 살인범의 가짜 이름으로 촉발됐는데, X 소유주인 머스크가 가짜 뉴스 확산에 일조를 한 셈이다.


머스크는 8일(현지시간) 영국의 극우 정당 ‘브리튼 퍼스트’의 의장 애슐리 사이먼이 올린 한 게시물을 리트윗 했다. 사이먼의 게시물에는 ‘(영국 총리) 키어 스타머가 (남미에 있는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에 비상 구금 캠프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라는 제목의 가짜 뉴스가 담겼다.

 

마치 영국 신문 텔레그래프의 뉴스처럼 포장된 글의 제목 아래에는 ‘이 수용소는 현재 진행 중인 폭동으로 인한 수감자들을 구금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영국의 교도소는 이미 수용 인원이 가득 찼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이 있었다.

 

지난달 영국 사우스포트에서 발생한 칼부림 사건 범인이 무슬림 이민자라는 거짓 정보로 영국 전역에서 폭력 시위가 촉발됐는데,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보이는 기사였다.

 

 

하지만 해당 게시물은 가짜 뉴스였다. 텔레그래프 측은 “해당 기사를 게재한 적이 없다”며 “관련 플랫폼에 통보하고 게시물 삭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해당 게시물을 리트윗 한 지 약 30분 후 게시물을 삭제했지만, 삭제되기 전까지 약 200만명의 사용자가 가짜 뉴스를 보았다.

 

머스크의 X를 팔로어 하는 사람이 많은 만큼, 가짜 뉴스의 확산도 빨랐던 것이다. 이 글을 올린 애슐리 사이먼은 2019년 영국의 유명 극우 정당인 브리튼 퍼스트에 합류한 극우 인사로, 이민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왔다.

 

영국 언론인 조쉬 셀프는 자신의 X를 통해 머스크가 가짜뉴스를 리트윗한 뒤 이를 삭제했으나, 이미 100만명이 본 후였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X가 SNS를 운영하면서 가짜뉴스를 걸러내야 함에도 이를 소홀히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머스크는 최근 영국에서 일어난 폭동과 관련, 자신의 의견을 활발히 개진하는 등 이 사태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앤시스코리아, 맞춤형 HBM 전방위 협업으로 두자릿수 고성장…AI·DT 앞세워 韓시장 선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앤시스코리아가 올해 한국 시장에서 전례 없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과 인공지능(AI)을 기업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 박주일 앤시스코리아 대표는 9월 16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시뮬레이션 월드 코리아 2025’ 미디어 인터뷰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등 국내 대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면서 앤시스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향후 성장 전망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앤시스는 미국 피츠버그에 본사를 둔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기업으로, 2012년부터 한국 시장에 진출해 반도체, 자동차, 우주항공 등 주요 산업의 제품 개발 혁신을 지원해왔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도입한 고대역폭메모리(HBM) 관련 프로젝트 전반에 맞춤형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제공하며 폭넓은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박 대표에 따르면 “HBM4와 맞춤형 HBM 개발 과정에서 양사와 전 프로젝트를 함께하며 핵심적인 열·전력 무결성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HBM 설계에서 축적된 열과 전력 문제는 DRAM을 다층으로 쌓는 3D 스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