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과학자들이 X를 떠나 블루스카이로 이동한 까닭 "데이터가 입증"…건강한 커뮤니티 앞세워 과학계SNS '우뚝'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과학자들 상당수가 최근 소셜미디어 플랫폼 'X'(전 트위터)를 대거 떠나 블루스카이로 이동하는 현상이 데이터로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다.

 

과학계는 점점 더 많아지는 허위 정보, 괴롭힘, 그리고 연구자들이 이제 “전문적으로 쓸모없고 불쾌한 플랫폼”이라고 일컫는 X(전 트위터)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대규모로 블루스카이로 옮겨가고 있다. 

 

7월에 발표된 800명 이상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설문조사는 이러한 극적인 변화를 확인해준다. 블루스카이가 전문적 논의와 의미있는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디지털 공간으로 급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rs Technica, Southern Fried Science,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University of Zurich, Altmetric, Digital Science, Reddit, ZDNet, Web Pro News등의 보도에 따르면, 해양 생물학자 데이비드 쉬프먼 박사는 블루스카이가 자신의 과학 블로그 'Southern Fried Science'에 X 대비 100배 이상의 페이지뷰를 끌어내고 있다고 보고했다. 반면, X는 이용자가 크게 줄지 않고 정체 상태에 머무르며 과학 콘텐츠 확산에서 사실상 무력해진 상황이다.

 

또한,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저널에 게재된 논문은 813명의 과학자와 과학 소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 연구자들이 X를 통한 네트워킹과 대중 과학 소통이 점점 어려워졌다고 응답했으며, 이에 비해 블루스카이가 모든 분야에서 대체 플랫폼으로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특히 스위스 취리히대학 연구팀은 2023년부터 2025년 초까지 30만명의 학술 사용자 이동을 분석한 결과, 약 18%가 X에서 블루스카이로 완전 이행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분야별 차이도 컸는데, 인문·예술 분야는 이행률이 31.3%에 달했고, 의학 분야는 13.3%로 비교적 낮았다. 이 연구는 학계 네트워크 외에도 이용자 특성과 학문 분야별 영향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준다.

 

블루스카이의 빠른 성장은 플랫폼의 기술적 특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블루스카이는 X와 달리 알고리즘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게 피드를 직접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열린 프로토콜(A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이 특정 학문 분야에 최적화된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차단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어, X에서 경험되는 악성 콘텐츠와 괴롭힘 문제에 대한 부담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2024년 8월 브라질의 X 임시 금지 조치와 기존 플랫폼 운영자의 정치적 논란이 이주 현상을 가속화했으며, 초기에는 블루스카이의 기능 자체보다는 동료 연구자들의 대규모 이동에 따른 네트워크 효과가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 과학자 설문 응답자는 "트위터가 점점 별로가 되어 갔고, 멋진 사람들이 모두 블루스카이로 옮기고 있었다"고 전했다.

 

출판사와 과학 커뮤니티 역시 이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대표적 과학 미디어인 Ars Technica는 X 팔로워 수가 정체된 반면 2025년 블루스카이 팔로워가 63% 급증해, 여름부터는 블루스카이를 통한 트래픽이 X를 처음으로 앞섰다고 밝혔다.

 

또, 전문 연구자 네트워크는 2024년 11월 기준으로 3만9030명에 이르러 이전 대비 75% 성장하는 등, 단순한 사용자 증가를 넘어 집단 커뮤니케이션과 연대의 확장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블루스카이는 학계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알트메트릭(Altmetric)에도 주요 연구 주목 소스로 추가됐으며, 연구물 공유 및 확산에 있어 이미 X를 넘어서는 존재감으로 자리매김했다.

 

알트메트릭 집계에 따르면 2024년 12월 이후 블루스카이 내 연구 링크 공유 건수는 빠르게 증가해 39만건에 달한다. 디지털 사이언스사의 한 관계자는 “블루스카이가 연구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와 학자들에게 선호되는 소셜미디어 채널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결국 블루스카이는 기능적 우수성과 건강한 커뮤니티 환경이라는 두 축을 바탕으로 전문 연구자들이 협업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데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자리잡으며, X가 잃어버린 과학계 내 소셜미디어 역할을 성공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사회관계망 전환 현상이 향후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트럼프 디지털세 관세 으름장 뒤엔 저커버그”…백악관 비공개 회동 전격 보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기업에 부과되는 디지털세를 도입하는 국가에 대해 대규모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배경에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의 비공개 백악관 회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블룸버그, 로이터, 뉴욕포스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해외 언론은 2025년 8월 2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저커버그가 지난 주 백악관을 방문해 디지털 서비스 세금 도입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해당 국가에 대해 경제 제재성 관세를 내리겠다는 강경 입장을 발표했다. 디지털세는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이 IT 글로벌 기업들이 특정 국가에서 발생시키는 매출에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구글,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다. 메타는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광고 수익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세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블룸버그는 저커버그와 트럼프가 회동에서 유럽연합(EU)의 과도한 규제 문제, 디지털세 문제, 미국 내 AI 기술 투자 및 메타의 루이지애나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했다.

[CEO혜윰] 280조원 기부한 빌 게이츠 “전용기 타고, 좋은 집 살고 돈도 꽤 쓴다” 솔직 고백…“호기심이 인생 키워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이자 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게이츠 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약 280조원(2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신의 재산을 2045년까지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철학과 함께 솔직한 일상 이야기를 전했다. 2025년 8월 27일 방송된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출연에서 그는 “사실 꽤 많은 돈을 쓴다”며 “매우 좋은 집에 살고, 큰 정원도 있으며 전용기를 타고 여행을 다닌다”고 밝혔다.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을 다닐 수 있게 된 점에 감사함을 표했다. 빌 게이츠는 재산의 99%, 즉 약 280조원을 기부하는 계획에 대해 “아이들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며 “자기 힘으로 경제적 성공을 이루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재산은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고, 수년간 ‘아이들이 왜 죽을까’, ‘우리는 잘 대응하고 있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며 긴 시간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그의 기부철학은 부모의 교육 영향과 ‘더 많이 받은 만큼 더 큰 책임이 따른다’는 어머니의 조언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일상에서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자주 즐기고, 주기적으로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