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사이버트럭 '수난시대'···생산중단 이어 주행문제까지 '잡음'

배런스 "테슬라, 사이버트럭 생산 중단"…가속페달 문제로 최소 7일간 생산 중단
사이버트럭까지 주행중 문제 일으키며 '도마위'

머스크는 차체가 스테인리스강 합금 소재로 만들어 총알도 뚫을 수 없을 만큼 견고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방탄 성능을 실험하는 영상을 보여줬다. 테슬라 사이버트럭 총격 영상. [테슬라 공식 엑스(X)]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최근 출시한 사이버트럭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테슬라는 최근 출시된 완전자율주행(FSD)의 기술적 논란에 이어 사이버트럭의 주행 중 문제까지 도마에 올랐다.

 

14일(현지시간) 미국 투자 전문 매체인 배런스는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생산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주말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구매자들에게 배송 지연을 안내했다. 이후 소셜미디어 등에서는 "테슬라가 가속 페달 문제로 최소 7일간 사이버트럭 생산을 중단했다"는 제보가 이어졌다.

 

가격 경쟁에서는 중국 기업에 밀린 테슬라가 야심차게 내놓은 신상인 사이버트럭 생산까지 중단되자 테슬라가 여전히 성장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기는 힘들다는 전망이 나온다.

 

배런스는 "사이버트럭은 테슬라의 야심작이지만 대중성이 부족하고 가격이 비싸다"고 지적했다. 미국 2위 완성차 기업 포드가 전기 픽업트럭 일부 모델의 가격 인하를 발표했을 정도로 픽업트럭에서도 가격 경쟁력은 중요하다.

 

하지만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가격은 6만990달러(약 7940만원)부터 9만9990달러(약 1억3300만원)에 이를 정도로 고가다. 또한 이번 생산 중단으로 2025년인 차량 인도 시기가 미뤄지면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첫 공개 시연 당시부터 문제였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사이버트럭을 공개하면서 해머로 창을 가격해도 깨지지 않는다며 해머질을 하자 곧바로 유리창이 깨지는 망신을 당했다. 이듬해인 2020년 사이버트럭을 출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약속이 실행되는 데는 3년이 더 걸렸다.

 

사이버트럭은 시제품 공개 4년만인 작년 11월 미국에서 공식 출시됐다.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제작된 방탄 트럭이자 사다리꼴의 독특한 외관으로 주목받았다. 선주문량이 200만대를 넘길 정도로 소비자들의 기대를 모았지만 미국 외 판매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을 연간 25만대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분기별로는 약 6만2500대에 이르는 규모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내년 중에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소셜미디어에서 사이버트럭은 종종 조롱거리가 됐다. 사이버트럭이 눈비를 맞아 녹슬고 있는 사진, 눈길에 미끄러져 다른 픽업트럭에 끌려가는 모습 등이 소셜미디어에 올라오며 브랜드가치도 추락했다.

 

테슬라는 아직 사이버트럭 인도 물량을 공식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들어 1분기에 대략 3500대 정도의 사이버트럭을 생산하고 인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테슬라는 1분기에 모두 38만6810대를 인도했다. 이 중 95.6%인 38만6810대는 모델3와 모델Y 차량이다. 나머지 4.4%에 달하는 1만7027대는 모델X SUV, 모델S 세단 및 사이버트럭으로 집계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에 전시 중인 테슬라 사이버트럭 [X(엑스)]

 

테슬라는 올들어 주가가 31.14%나 빠졌다. 월가에서는 올해 테슬라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180만대를 인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1년전 전망치인 240만대보다 내려잡은 수치다.

 

이런 상황에서  IT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소유주들이 주행 관련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고 전했다.

 

4월 초 유튜브 채널 기어다운(Gear Down)에 관련한 영상이 공개됐는데, 영상 속 사이버트럭은 도로로 주행하기 시작하자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하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빨간색으로 깜박이면서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모습이다.

 

이 메시지는 트럭의 시스템이 고전압 시스템 오류를 감지했으며, 차량이 재시동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또 경고 메시지가 깜빡이면서 트럭은 시속 몇 마일로 서서히 느려지기도 했다.

 

아울러 온라인에서 최소 5명의 사이버트럭 소유자가 동일한 경고 화면을 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이버트럭 소유자들은 주행보조(ADAS) 시스템과 충전 문제도 지적했다. 

 

사이버트럭에 발생한 문제사례를 다루는 레딧 포럼(r/Cyberstuck)은 이미 1만명이상의 회원을 확보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