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사이버트럭' 생산 돌입…리비안·포드와 '전기트럭' 3파전

선주문만 50만대 몰렸지만 '반도체난'에 양산 차일피일 미뤄져
이르면 9월 초기 물량 인도 예정
사전주문가 5100만원…출고행사서 가격 확정될듯
포드·GM·리비안과 전기 픽업트럭 '경쟁'

테슬라 사이버트럭 [테슬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의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이 드디어 생산에 돌입했다. 2019년 처음 공개한 뒤 4년 만이다. 업계에서는 수익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고객들은 출고가격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첫 번째 사이버트럭이 텍사스 기가팩토리(테슬라의 초대형 차량·베터리 생산기지)에서 생산됐다”고 밝혔다. 테슬라가 2019년 첫 시제품을 공개한 지 4년 만에 생산을 개시한 것.

 

테슬라는 2021년 사이버트럭을 시장에 내놓는다는 목표였지만, 부품 등 공급망 문제로 출시가 계속 지연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5월 주주 총회에서 “올해 말 사이버트럭을 인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간 25만~50만대를 인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사전주문을 받으면서 최저가를 3만9900달러(약 5100만원)로 책정했지만, 정확한 가격 등은 3분기 중 열릴 출고 행사를 전후해서야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생산 시작을 알리자마자 리비안과 포드의 주가는 하락했다. 이어 포드는 17일 F-150 라이트닝 가격을 기존 대비 약 1만달러 낮춘다고 발표했을 정도로 테슬라발 트럭출시는 업계의 큰 관심사다.

 

현재 북미 자동차 시장에서는 리비안의 R1T와 포드의 F-150 라이트닝 등의 전기 픽업트럭이 판매되고 있는데, R1T 가격은 약 7만달러, F-150 라이트닝은 5만달러 선이다.

 

테슬라는 2019년 신차 발표회에서 사이버트럭 시제품을 공개한 뒤 2021년 생산에 돌입한다고 알렸다. 미국을 중심으로 인기리에 판매되는 픽업트럭 분야에서 전기 트럭을 내놓는 계획을 밝힌 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다. 당시만 해도 전기 픽업트럭을 생산하는 완성차 업체는 없었다. 사이버트럭은 시제품 공개 후 1년여 만에 50만대가 넘는 선주문 대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는 22일(현지시간) 테슬라 사이버트럭 주문이 190만건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딥마인드 CEO "AI 전환, 산업혁명 뛰어넘는 10배 규모의 경제·사회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 딥마인드의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AI 혁명이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크고 10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 단언하며, 전 세계가 향후 10년 내에 전례 없는 경제·사회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하사비스는 48세의 영국 출신 과학자로, 2014년 구글에 인수되기 전 딥마인드의 공동 창립자다. 그는 최근 WIRED, CBS 60 Minutes 등 다수의 국제 인터뷰에서 AI가 인간의 사고 능력을 증폭·대체하는 점에서 과거 산업혁명과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분석했다. 산업혁명이 인간 근육의 기계를 보강하며 100년에 걸쳐 사회를 변화시켰다면, AI 혁명은 인간의 두뇌 역할을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10배 이상의 속도로 진화시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사비스는 “100년이 걸릴 변화를 10년 내에 구현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에 100배의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술혁신 가속도와 경제적 파급력을 동시에 강조한 표현이다. 경제·고용 측면에서도 AI가 초래할 변화는 파급력 강하다. CBS 뉴스에 따르면 현재 AI는 약 25%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직무가 완전 대체되기보다 ‘보강’되는